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3
- 착유기 → 건유기 : 유당 감소
- 우유분비에 부족한 에너지 조달과정 중 현상 : 체지방 분해 / 지방간 발생 / 케토시스 발생
- 건유후기 비유촉진 사양방법(challenge feeding)
∙ 분만 2~3주 전부터 착유사료를 하루에 0.5kg씩 증가 급여
- 신체충실지수(BCS : Body Condition Score)
∙ 젖소 사양관리에서 중요
∙ 1점차이 = 체중60kg
- 체조직 0.45kg → 우유생산량 3.2kg
ex) 체조직 1Kg → 우유생산량 7Kg
- 젖소의 유열
∙ 젖소에 주로 발생하는 대사성질병으로 대부분 분만 시나 분만직후에 발생하며
혈액 내 칼슘 부족 등에 의한 순환장애, 전신마비, 의식불명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병
∙ 비정상적 Ca 대사
∙ 예방대책 : 비타민A,D 및 단백질 충분 섭취
∙ 분만 후 충분한 양의 Ca 공급
∙ 건유기간 중 칼슘섭취량 제한
- 대사성 질병 : 유열 / 케토시스 / 고창증
- 케토시스 : 케톤체가 혈액 내 증가하여 오줌 중 생성, 축적
- 고창증
∙ 반추동물의 경우 반추위내 이상발효에 의한 과도한 가스생성과 트림 반사의 저하로 극도로 위가 팽창하는 대사성 질환이 발생
∙ 발효성 사료로 제1위에서 가스 생성 → 제1,2위 팽창 / 반추위 내 이상발효
- 기종저 : 균에 의해 열성 전염병 / 대사적 질병(X)
- 요결석(반추가축)
∙ 과도한 인을 함유한 농후사료 → Ca, P의 비율 깨짐
∙ 오줌 속 인이 많아짐
∙ 조사료 부족 시 제1위 기능저하와 설사로 칼슘 흡수 불량
- 비타민A 부족으로 요로계 점막상피가 떨어지기 쉬움 → 인산암모늄 마그네슘 결정화 조장
∙ 급수부족으로 오줌 속 여러성분 농도 높아짐 / 밀사
∙ 거세우는 음경의 발육불량으로 요도가 가늘어 요석이 막힘
∙ 예방대책 : 석회석 or 다른 Ca 공급 → 칼슘 : 인 = 1.7~2 : 1
∙ 소금, 염화암모늄을 사료에 0.5~1% 첨가
- 농후사료 급여 : 유당 증가 / 유량 증가 / 단백질 함량은 변화가 없음 / 유지방(X)
- 건물섭취량 : 동물적, 사료적(ex,입자도), 환경적 요인
- 제1위는 곡류 등의 발효로 생성되는 VFA(휘발성지방산)의 화학적 자극과 조사료 등에 의한 물리적 자극으로 발달됨
- 착유우 하절기 관리 대책
∙ 축사 내 환풍기 가동으로 열 스트레스를 경감
∙ 체온을 발산시켜 30도 정도로 낮아지도록 강제 환기방법을 사용
∙ 식욕부진, 유량감소 등의 개체파악을 할 수 있는 세심한 관찰이 필요
# 돼지의 품종
- 뼈, 근육, 지방의 발육과정이 품종간에 차이가 있음
- 라드형 (지방형) : 듀록종, 버크셔종, 폴란드 차이나종, 체스터화이트종
- 베이컨형 (가공형) : 대요크셔종, 탬워스종, 랜드레이스종
- 미트형 (고기형) : 햄프셔, 중요크셔종
- 모계로 널리 사용 : 대요크셔
- 대요크셔종
∙ 모계로 적합 / 대백종이라고도 함 / 과거에는 베이컨형으로 호평 받았지만 최근에는 육용으로 개량되어 육질이 양호
∙ 평균 산자수 10~12두 이상 / 번식능력, 포유능력 우수 / F1모돈 생산하는데 모계나 부계라인으로 활용
- 사육온도 : 분만모돈( 17~21도 ) / 포유자돈( 28~32도 )
- 자돈의 포유관리
∙ 분만 직후 초유를 충분히 급여 / 견치 자르기와 꼬리 자르기를 실시 /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고 샛바람 유입을 방지
∙ 2~3주 후부터 사료섭취 가능, 거세 추천 (생후 2~3주) / 이유 1주일 전부터 모돈의 사료를 조금씩 줄여 건유 촉진
- 빈혈증 예방
∙ (2차에 걸쳐) 생후 1~3일 / 10~14일에 100~200mg/두씩 대퇴부 or 목부위 근육에 철분주사 (Fe-덱스트란)
∙ 자돈은 분만 직후 급격하게 철분 부족 / Fe, Co, Cu 관련 (Na : 양이온과 음이온 공급, 빈혈상관(X))
- 빈혈의 원인
∙ 순환혈액량 증가로 적혈구 희석 (생리적 빈혈)
∙ 성장 빨라서 자연적으로 철분(Fe) 부족상태 (철결핍성 상태)
- 조기이유 (3~4주령경)
∙ 목적 : 모돈의 번식회전율 높임
∙ 이유 후 모돈의 재발정이 빨리 오기 때문에
- 돼지육질
∙ 비육되어 체중이 클수록 도체율이 높음 / 단백질의 급원에 따라 도체의 지방 대 정육비율이 영향 받음
∙ 저단백질사료에 에너지 급여수준을 과다하게 증가시키면 등지방 두꺼워짐
- 돼지사료의 단백질수준 (비육 전기,후기 기준)
∙ 체중 증가가 되는 후기에 2~3% 낮추어 주는 것이 좋음
∙ 비육돈(50~110kg) 사료(풍건물 90% 기준)의 적정 단백질 함량 : 12 ~ 16%
- 비육돈의 출하체중 기준 : 사료효율, 시장성 (원칙적으로는)
- 상강육 : 근속 사이에 지방이 축적된 것
- 도체평가 중 육질등급 관계 : 지방색 / 지방교잡(근내지방도) / 육색 / 맛(X)
- 도체율 : 가축의 생체중에 대한 도체중의 생산비율
* 돼지의 체중 범위 중 단백질 요구량이 가장 적은 것
→ 100 ~ 150kg
* 식육의 육색과 관련이 있는 성분
→ 미오글로빈
# 돼지의 체적 측정부위
돼지의 체척 측정부위 - 체장, 흉위, 관위, 체중의 4개 부위만 측정하는 경우가 많음 | |
체 장 | 귀상의 중앙에서 체상선을 따라 미근까지의 길이 |
흉위(가슴둘레) | 앞다리 바로 뒤의 몸둘레를 길이로 측정 |
관 위 | 왼쪽 앞다리의 가장 가는 부위를 둘레를 길이 측정 |
체 고 | 어깨상단에서 바닥까지의 직선거리를 길이 측정 |
흉 심 | 앞다리 바로 뒷부분의(흉위를 측정하는 부분) 가슴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가슴상단에서 가슴바닥까지 길이 측정 |
전 폭 | 전구의 가장 넓은 부위의 폭을 측정 |
흉 폭 | 앞다리 바로 뒷부분의 가슴의 폭을 측정 (흉위, 흉심을 측정하는 위치) |
후 폭 | 후구의 제일 넓은 부위의 폭을 측정 |
- 이상적인 육용형, 돼지의 체형
∙ 체장이 길고 체심이 깊 / 발목이 짧고 탄력 / 엉덩이가 넓고 깊
- 비육돈의 지방축적 순서
∙ 신장지방 → 근간지방 → 피하지방 → 근내지방
'가축사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5 (2) | 2024.06.01 |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4 (2) | 2024.05.31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2 (2) | 2024.05.29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1 (1) | 2024.05.28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0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