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1
# 단백질 요구량
- 결정요인
∙ 분뇨로 없어지는 질소량 / 체중별 증체량에 대한 축적
∙ 사료 중에 함유된 질소의 생물가 / 화학적 등급(X)
- 임신 시 결정요인
∙ 자궁과 양수의 발달 / 유방조직의 생성 / 태아와 태반의 발육 (태아, 태반, 양수, 자궁의 발달 위해 단백질 필요)
- 반추동물은 반추위 내 미생물에 의해 단백질과 아미노산 분해 및 합성이 이루어지기에
- 아미노산의 제한X / 라이신 : 동물성 > 식물성단백질
- 가축의 성 성숙은 영양소의 수준에 영향을 받음
# 임신 가축
- 필요 무기물 : Ca, P Fe
- 단백질 요구량 결정요인 : 자궁과 양수의 발달 / 유방조직의 생성 / 태아와 태반의 발육 (태아, 태반, 양수, 자궁의 발달 위해 단백질 필요)
- 지방조직 : 체내 영양소 활용순서 가장 늦 / 체내 축적지방 형태 : Triglyceride
- 상강육 : 근섬유세포 간에 지방이 축적
- 근육의 발육 : 세포의 수적, 양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동시에 복강과 피하에 축적
- 비육 E 공급 : 초기보다 말기에 더 많은 에너지
- 비육 시 양분요구량 고려사항 : 증체량, 건물, 사료 사정, 생체중
- 라이신
∙ 육성비육돈에서 필수아미노산의 요구량과 효율 가장 높 / 곡류 위주의 사료에서 제1제한아미노산으로 작용
∙ 돈육생산 위해 아미노산 균형 중요 / 라이신은 단백질 축적에 필요
- 마블링 : 고열량사료 (비육 말기)
- 지방의 침착순서 : 신장 – 내장 – 피하 - 근육 내 (신내피근)
지방생산능력 가장 낮 : 가소화 당분
+ 일일 유지에너지가 10Mcal가 필요한 착유우가 하루 동안 4km을 움직인다고 할 때 NRC에 의한 임의활동권장량은? → 1.2Mcal ( 10 x 3 x 4 =1.2 ) |
- 가축의 체중(연령) 증가 : 수분함량 감소 / 지방함량 증가
- 닭, 돼지 필수지방산 (NRC기준) : 리놀레산
- 젖소의 영양소 요구량 (NRC기준) : 소 이동 매 km당 유지E 3%소모
- 아세트산(초산) : 유지율 높이는 효과
- 지방율 정정유 : 유지율 4%의 표준유
- FCM(환산유량)
∙ (0.4 × 산유량) + (15 × (유량 × 유지율))
∙ 지방량 = 유량 × 유지율
+ 유지율이 3.2%인 우유를 1일 22kg 생산할 경우 유지율이 4%인 표준유를 계산하면 약 얼마인가? → 19.4kg ( FCM(환산유량) = 0.4M+15F (M=산유량,F=유지율) = (0.4x22)+15(22x3.2%) =19.36 ) |
+ 유지율이 3.5%인 우유 40kg을 유지율보정유(FCM)로 환산한 값
→ 37kg
( FCM(환산유량 ) = 0.4M+15F (M=산유량,F=유지율) = (0.4x40)+15(40x3.5%) =37 )
+ 유지율 4.5%인 우유 20kg을 유지율이 4% FCM으로 보정
→ 21.5kg
+ 유지율이 3.2%인 우유 20kg을 유지율이 4%인 보정유(FCM)로 환산
→ 17.6kg
( FCM(산환유량) = 4M+15F (M=산유량,F=유지율) = (0.4x20)+15(20x3.2%) = 17.6 )
- 1일 필요 총E (산란계) : 유지E + (달걀1개 생산 시 필요E * 산란율)
- 대란 한 개에 축적E : 360kcal
- 닭 E 이용
∙ 체중 적을수록 E 이용효율 높 / 가벼울수록 전체 E 소비량 낮
∙ 산란능력 높을수록 높
- 산란계 기초대사량(Kcal NE/일) : 68 X Wkg^0.75
- 산란계(적당한) 칼로리/단백질(C/P) 비 : 193 ~ 195
- 산란계 단백질 요구량 : 체중, 1일 증체량, 1일 산란양
- 산란 예비계 사양프로그램 : 초생추 – 중추 – 대추
* 산란계 사양에서 사료내 단백질 함량을 증가 시켜야 할 때 - 다산시 - 체중이 표준치보다 적을 때 - 식욕이 부진할 때 |
- 닭 필수아미노산 : 글라이신 + 10가지 필수아미노산
- 아르기닌
∙ 성장기 병아리에 필수아미노산 / 요소합성 / 정자형성
∙ 염기성 단백질에 다량 함유
- 갈색 산란계 단백질 요구량 (NRC사양표준) : 16%
+ 신선한 계란의 단백질 함량은 12%이고 산란계의 단백질 이용 효율이 55%일 때
산란계가 평균난중 56g의 계란을 매일 산란한다고 하면 산란계의 1일 산란을 위한 단백질 요구량은 얼마인가?
→ 12.2g
( 평균난중 x 단백질함량 = 56x12% = 6.72, (산란계의 1일 산란을 위한 단백질 요구량) x 55% = 6.72 = X x 55% = 6.72 따라서 X=12.2 )
- 브로일러 초생추 NRC 단백질 요구량 : 23%
- 브로일러 사료 단백질 효율 : 64%
- 체중 1.8kg인 산란계 1일 사료섭취량 : 110g (NRC기준)
- 산란계 가장 많이 필요 무기물(광물질) : 칼슘
- 칼슘 : 초산 직전의 육성계에서 유구량 높음 / 산란대비 체내 축적
- 갈색 산란계의 산란 초기사료 Ca함량 : 3.5 ~ 3.7% (산란계 사료는 난각 형성을 위해 Ca 함량이 다른 축종보다 높음)
- 비타민B12 : 부화율 높임
- 가축의 사료 중 비중이 가장 무거운 것 : 산란계
- 3단계 사양 프로그램 적용
- All 3,000kcal/kg ME
- 육추사료
∙ 초생추 (0~6주령) : 18~20% CP(단백질)
∙ 중추 (6~12주령) : 14~16%
∙ 대추 (12주령~산란시작(20주령)) : 12~14%
- C/P율
∙ 낮(성장 빠르고 산란해야하는 시기 / 높(반대, 활성대사 활발X)
∙ (가장 높) 산란용 대추사료
# 영양결핍
- 비타민A : 부화2~3일째 사망, 정상적인 혈액의 발육 실패
- 리보플라빈 : 부화9~14일쩨 사망, 수종, 기형의 발, 발가락 위축, 왜소증
- 판토텐산 : 비정상적 깃털, 발생되지 못한 배자의 피하출혈
- 인(P) : 부화14~18일째 사망, 연약한 부리와 다리, 부화율 감소
'가축사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3 (1) | 2024.05.30 |
---|---|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2 (2) | 2024.05.29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0 (0) | 2024.05.27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9 (2) | 2024.05.26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8 (1) | 2024.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