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축사양학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9

728x90
반응형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9

- 두과목초 : Ca 다량
- 칼슘함량 부족 시 가장 경제적인 광물질사료 : 석회석
- 엔실리지 제조 시 첨가물질 사용 목적
∙ 젖산생성을 촉진 / 유해발효 억제
∙ 사료 내의 pH를 직접 저하시키기 위해
- 초성강직성(그래스테타니 Grass Tetany) : 봄철에 방목중인 육우에서 Mg 결핍으로 발생
- 옥시토신
∙ 유선의 퇴행을 억제
∙ 뇌하수체 호르몬인 프롤락틴의 분비가 감소되면 유즙분비 상피세포의 자극이 불충분하게 되어 분비조직 퇴행
- 타이록신(Thyroxine)
∙ 동물의 성장이나 번식에 관여 / 단백질이나 지방대사 촉진
∙ 호르몬 과다분비시에 단백질과 지방의 축적이 억제 → 체중 감소
∙ 갑상선에서 생성 / 결핍 시 체단백질 합성을 감소시키며 과잉시 아미노산 산화 촉진
- 글루카곤(Glucagon) : 혈당 증가시킴
- 모넨신(Monensin) : 반추위 발효조정제 최초로 승인 받은 물질
- 반추위발효조정제 : 반추위동물의 제1위 내 발효산물을 유효하게 변화시켜 사료효울 개선
- 유기산제 : 자돈 위 내 pH 낮춤
- 유기비소제
∙ 콕시듐병 예방제 / 성장촉진효과
∙ 장 내 서식하는 유해한 미생물 성장 억제
∙ 장 내 Ammonia(암모니아) 생성을 억제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도움
∙ 장벽을 얇게하여 영양소 흡수를 도움 / 질소의 배설을 감소시키는 등 단백질을 절약하는 작용

 

- 비단백태질소화합물(NPN) : Non-Protein Nitrogen Compound
∙ 단백질 침전제로써 침전하지 않는 부분에 함유되는 질소화합물을 총칭
∙ 반추위 내 섬유소를 분해, 이용하는 미생물이 단백질합성 위해 이용하는 질소원
∙ NPN과 유기산을 이용하여 미생물체단백질을 합성
∙ 암모니아, 요소, 아미노산, 아마이드, 요산 / 요소가 대표적
∙ 수용성이고 흡수가 잘됨 / 단백질 아니지만 조단백질 중에 함유


- 반추가축의 조단백질원으로 특성
∙ 요소
∙ 뷰렛
∙ 암모니아

 

4. 사료의 배합과 가공


- 최소가격배합표
∙ 영양소 요구량 , 원료의 성분분석, 원료의 사용가격
∙ 합리적인 사료배합표
( 합리적인 사료배합표를 작성하려면, 축종별 생산단계별로 정확한 영양소 요구량을 알아야 하고,
원료의 성분분석표와 원료의 사용가격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 자료를 활용하면 가축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 요구량을 최소가격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배합비율표의 작성이 가능한데, 이를 최소가격배합표라 한다)

 

- 조단백환산계수 : 6.25
- 조단백량(단백질량) : X * N비율(질소함량) * 6.25(조단백환산계수)
- 단백질에서 질소의 함량 : 16%
- 요소 최대첨가치 : 0.5%

 

+ 대두박(44% 조단백질)과 옥수수(9% 조단백질)를
혼합하여 1000kg의 16% 조단백질 사료를 만들려면
대두박은 얼마나 필요한가?
→ 200kg

 

- 방형법 = 피어슨 공식 Pearson 사료 계산법
- 브로일러 배합사료에서 칼슘 : 인 = 2 : 1 + 비타민D (발육에 효과)
- 브로일러 생산에서 에너지가 높은 사료 급여
∙ 체율 높 / 사료효율 높 / 출하일령 단축

 

 

+ 70%의 총 TDN(가소화 영양분)을 함유한
대두박과, 84%의 TDN을 함유한 옥수수를 배합해
TDN 함량이 78%인 사료를 만들고자 할 때,
대두박과 옥수수를 각각 몇 %씩 섞어야 하는가?
→ 대두박 : 42.86%, 옥수수 : 57.14%

- Feeder Finisher : 액상원료 혼합과정 중 생긴 큰 덩어리, 기타 이물질 제거
- Screw Feeder : 나선식 먹이 혼합기
- Scale Hopper : 분체계량기
- Mixer : 혼합기

 

- 불용성불순물 함량이 중량환산으로 0.15% 이상인 동물성 유지는 금지
- NRC사양표준에 의하면 착유우 급여사료 중에 최소한의 섬유소만 공급 추천
- 조사료 < 농후사료 : 휘발성 지방산 중 프로피온산의 생성비율 가장 증가
- 조사료 : 부피 큼, 가소화영양소 함량 낮
- 농후사료 : 용적이 작고 조섬유함량이 적음
- 유지방 감소를 위해 최소의 조섬유가 사료에 함유량 : 17%
- 산유 젖소 사료 조섬유 함유량 : 16~17%(30kg이상) / 18%(20~29kg) / 19~21%(20kg이하)
- 젖소가 정상적인 제1위 발효와 유지율을 유지하기 위해 최소 섭취 조사료 : 체중 1.5%
- 최종 체지방함량 가장 높이는 급여방법 : 고에너지사료(H)-H-H

 

+ 조단백질 함량이 9%인 옥수수와 조단백질 함량이
33%인 농후사료를 이용하여 조단백질 함량이
15%인 육성비육우 사료를 만들려고 한다면,
옥수수와 농축사료의 배합비율
→ 18(옥수수) : 6(농축사료)

 

- 최종 체지방함량 가장 높이는 급여방법 : 고에너지사료(H)-H-H
- 대사체중 : kg^0.75
- 유지에 필요한 가소화에너지(DE)는 사실 20% 증가시켜서 줘야함
- 음수량 제한 : 분뇨 배설량 감소 / 활력 저하 / 체중 감소 / 섭취량 감소

 

+ 볏짚과 옥수수 사일리지의 TDN이 각각
43%, 67%라고 할 때, 볏짚 40%, 옥수수사일리지
60%를 섞어서 조제한 조사료의 TDN함량은?
→ 57.4%
( { (0.43 x 0.4) + ( 0.67 x 0.6 ) } x 100 = 57.4% )

 

- 혈당설
∙ 가축의 사료 섭취량을 조절하는 기구
∙ 사료 섭취로 혈당이 높아지면 초만중추를 자극하여 섭식을 중단
- 혼합농후사료의 TDN함량 : 각 종류별 (TDN * 배합비)의 합 / ex) 85% * 0.6
- TDN 기준으로 50%이상 농후사료 / 50%이하 조사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