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축사양학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6

728x90
반응형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6

- 위액
: 살균 & 단백질의 분해작용
- 동물의 소화기관 및 부속기관의 기능
∙ 단위동물의 위에서는 지방의 소화가 이루어지지 않음
∙ 위의 염산은 pepsinogen을 pspsin으로 활성화시킴


- 말 : 소화기관이 소화해부학적으로 토끼와 가장 유사


- 반추동물은 단위동물과 달리 섬유질성 탄수화물을 주사료로 이용할수 있음
∙ 반추위내 미생물 중에 섬유소 분해효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
# 반추동물 소화기관


- 제1위(반추위, 혹위)
∙ 용적이 180L 정도 (용량 제일 큼)
∙ 점막에 많은 반추위 유두 분포 (케라틴화된 돌기)
∙ 주로 혐기성 미생물들이 서식하며 영양소를 이용해 미생물 대사작용
∙ 발효 일어남
∙ 복부 왼쪽에 위치, 근대에 의해 배낭·복낭·후맹낭(2개)


- 제2위(벌집위)
∙ 조직과 기능은 제1위와 비슷
∙ 벌집 모양이어서 벌집위라고 불림
∙ 8L 정도
∙ 소화가 덜 된 사료를 입으로 보내는 되새김질을 함
∙ 되새김질 기능 / 수축해서 유출작용 → 제3위

 

- 제3위(겹주름위)
∙ 17L 정도
∙ 사료 수분 흡수하여 희석 → 농축 → 식괴 형성


- 제4위(진위)
∙ 화학적 소화가 이루어짐
∙ 분문부, 위저부, 유문부
∙ 21L
∙ 단위동물과 같이 소화효소가 분비되는 곳
∙ 단위동물 위와 비슷한 기능 / 역류방지
∙ 갓 태어난 송아지의 위 중 가장 큼


- 소장
∙ 산도 낮아짐 / 유문괄약근의 이완으로 이루어짐
∙ (속도) 입자도, 비중, 시료 섭취량, 섭취 빈도

 

소의 위
제1위
(혹위, 반추위, Rumen)
- 소의 복부 왼쪽에 위치, 내부는 근대에 의하여 배낭, 복낭, 2개의 후맹낭으로 이루어 짐
- 2위와 함께 사료의 저장, 연화, 혼합, 미생물의 서식처 제공
제2위
(벌집위)
- 반추위와 연결된 제2위, 조직과 기능이 반추위와 비슷,위별 점막이 벌집과 같은 모양
- 사료를 되새김질하는 기능
제3위
(겹주름위)
- 근엽을 통해 사료내용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식괴를 형성, 분해가 잘된 위 내용물을 제4위로 넘어가도록 하는 체의 역할
- 위 내용물의 수분을흡수하여 희석된 상태의 내용물을 농축시켜 다음 소화기관에서 소화작용이 잘 이뤄지게 도움
제4위
(진위)
- 위 소화가 이루어지는 부위. 즉, 반추동물의 위 중에서 단위동물과 같이 소화효소가 분비 되는 곳
- 반추동물의 4개의 위 중에서 단위동물의 위와 같이 소화액에 의한 화학적 소화작용이 일어난 곳,
담즙이 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반추위 내 사료의 이동
- 반추작용과 미생물의 의한 효소작용을 거쳐 일부는 제1위에서 소화, 흡수되고, 나머지 발효산물들은 제3위로 이동
- 제3위로의 식괴의 이동은 제2위의 수축으로 액상식괴들이 밀려나는 유출과정으로 이루어짐
- 제3위에서는 내용물의 수분흡수로 식괴를 농축시켜 제4위와 소장에서 소화가 잘되도록 만듬
- 제4위에서는 단위동물의 위와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위소화작용을 한다
- 소장으로의 내용물 이동은 산도가 낮아지면서 유문괄약근의 이완으로 이루어지는데,
사료의 이동속도는 건물의 입자도, 비중, 사료섭취량 및 섭취빈도에 따라 달라진다

 

- 제1위 미생물 작용
∙ 요소를 이용하여 단백질 합성
∙ 불용성 탄수화물인 섬유소와 전분의 일부는 반추위 미생물에 의해서 휘발성 지방산으로
분해되어 반추위벽을 통해 흡수, 불포화지방에 수소를 첨가하여 트랜스지방산을 만듦
∙ 반추동물 타액에는 Amylase가 조금 or 전혀 여서 탄수화물 소화안된 채 제1위로 들어감
∙ 비타민B,K 합성
∙ 단백질이나 비단백태질소화합물의 일부는 제1위 내에서 소화되지 않고
제4위나 소장에서 소화되기도 하지만 거의 미생물 작용을 받아 아미노산이나 암모니아로 분해
∙ 수소첨가 일어나며 트랜스지방 생성
∙ 탄수화물 분해, 단백질 합성, 지방대사, 비타민 합성


* 반추가축의 제1위 내에서 소화된 탄수화물이
미생물의 체조직 합성에 이용되는 비율
→ 10 ~ 20%


* 반추동물인 소는 제1위내 미생물에 의하여
특유한 영양 작용. 장내 미생물이 영위하는
영양작용과 관계
→ 요소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합성

 

# 닭(가금류) 소화기관
- 소낭 → 선위 → 근위 → 소장
- 이빨이 없어 저작을 하지 못함
- 위 : 소낭 + 선위 + 근위
- 소낭 : 단단한 사료를 부드럽게, 사료저장
- 선위
∙ 소화액(위액, 펩신, 위산)을 분비, 화학적 소화
∙ 음식물 소화를 위해 염산이 분비
∙ 단백질 소화효소인 펩신이 분비되므로 일반 단위동물의 위에 해당되는 소화기관
∙ 점액이 분비되어 위산에 의한 피해를 방지
- 근위 : 사료의 분쇄, 기계적 소화
- 맹장 : 두 개로 갈라져 장간 막에 연결
- 소장 : 아밀라아제, 리파제, 펩티다제, 락타제(X)


# 소화효소
- 탄수화물 : Amylase(아밀라아제), Maltase, Sucrase, Lactase
- 지방 : Lipase(리파아제), Steapsin
- 단백질 : Protease(프로테아제), Pepsin, Trypsin, Peptidase
- 단백질의 소화흡수
∙ 단백질 분해효소 : 펩신(pepsin), 트립신(trypsin), 레닌, arboxypeptidase
∙ 주로 위나 소장에서 일어남 / 능동흡수 됨
-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 단백질의 소화흡수 과정에서 음세포작용(pinocytosis)에 의해서 흡수되는 영양소
- 위에서 주로 분비되는 단백질(아미노산) 분해효소 : 펩신 ( Pepsin )
- 염산(위 점막세포에서 분비)
∙ 펩시노겐 – 염산→ 펩신(활성화)
∙ 위 미생물에 일어나는 발효, 부패 억제
∙ Fe2+ 흡수 도움
∙ 단백질 변성, 이당류 가수분해
- Trypsin Inhibitor(트립신저해인자) : 생콩 급여 시 설사 / 끓이면 파괴 / 단백질 이용저해
- 췌장 분비 소화효소
∙ 아밀라아제, 리파제, 트립신
∙ 췌장에서 분비되어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하여 흡수하게 하는 단백질 소화효소 : 카르복시펩티다아제
- 뮤신 : 위점막에서 분비되는 일종의 뮤코프로테인
- 리파아제(Lipase) : 중성지방 → 글리세롤 + 지방산 / 분해 후 체지방으로 이송
-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단백질 소장에서 흡수 후 이용
∙ 체조직, 우유, 달걀 등의 합성 / 호르몬, 효소 합성
∙ 노쇠한 조직의 대체에 활용
∙ 필수아미노산 합성 (X)
- 요소의 이용
∙ 반추위 내 미생물은 요소로 필수아미노산 합성 가능
∙ 섭취한 순단백질이 반추위 미생물에 의해 아미노산 및 VFA로 분해
∙ 요소중독 결과 신경장애, 호흡곤란, 근육경련, 강직현상 및 구토 수반
∙ 분해가 빨라 중독의 위험이 있어 소량씩 나누어 급여

 

- 단위가축 : 입에서 보내온 사료를 직접 위에서 소화
- 반추위가축 : 보관했다가 되새김질 / 소 · 양
- 단위가축에서 분비하지 않는 탄수화물 소화효소 : 셀룰라제
- 셀룰라제 : 셀룰로스 ( 1 → 4 ) – β - 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 / 섬유소 분해효소
- 단위가축 소화기관 내에서 전분의 최종분해물 : 포도당
- 소가 섭취한 사료의 소화기관 체류시간 : 전분이나 당류 풍부한 소화물은 장내 통과속도 짧
- 반추동물의 소화기관 중 영양소 가장 왕성 흡수 : 소장
- 당류(탄수화물)의 흡수부위 : 소장의 상부, 십이지장
- 반추동물 섬유질성 탄수화물 주사료 : 미생물 내 섬유소분해효소 있어서
- 리보뉴클레아제 : 핵산을 분해하는 효소


# 반추가축의 소화기관 중 영양소별 흡수장소
- 포도당 : 주로 소장
- 휘발성 지방산(VFA)
∙ 제2위벽(단순확산), 제3위에서도 흡수 가능
∙ 제1위 정맥을 통해 문맥을 거쳐 간장으로 들어감
∙ 휘발성 지방산의 조성은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에 따라 크게 변함
∙ pH가 낮으면 휘발성지방산은 이온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빨리 흡수
∙ 젖소에 있어서 휘발성지방산의 일일 총생산량은 건우유가 30~40mol, 착우유가 108mol 정도임
∙ 급여사료 중의 조사료 비율이 높아지면 초산이 증가하고, 농후사료의 비율이 높으면 프로피온산이 증가함

 

- 단순확산 : 물질농도 높 → 낮
- 활성흡수(능동수송)
∙ 역행하여 흡수 / 매개물, 에너지 요구
∙ Na, K, 포도당, L-아미노산 흡수


- 반추위 내 미생물의 기능
∙ 섬유질의 발효와 소화 → 휘발성 지방산(최종분해물)의 생산
∙ 비타민의 합성
- 분해과정 : 섬유소(다당류) → 단당류 → 휘발성 지방산


- 휘발성 지방산
∙ Acetic acid(초산), Propionoic acid(프로피온산), Butyric acid(낙산)
∙ Stearic acid(X) : 대사수 가장 많이 나오는 얘
- 휘발성 지방산 생성비율 : Acetic acid > Propionoic acid > Butyric acid
- 휘발성 지방산 흡수속도 : Butyric acid > Propionoic acid > Acetic acid
- 유지방 합성 : 아세트산(초산, 특히 분자량 작은 지방산), 뷰틸산(낙산)
- 유당 합성 : 프로피온산
- 농후사료 : 전분분해박테리아 증가 Cellulose분해박테리아 감소 → 프로피온산 생성증가
- 조사료로 건초 섭취 : Cellulose분해박테리아 증가 → 초산 생성증가
- 전분 분해 반추미생물 : 아밀로필루스(Amylophillus), 아밀로라이티카(Amylolytica), Bacteroides, Butyrlvibrio, 숙시니모나스(Succinimona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