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축사양학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5

728x90
반응형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5

 

- 단백질효율(PER) : 증체량 / 단백질 섭취량
- 사료의 영양률(NR)
∙ TDN(가소화 양분총량) - DCP(가소화 조단백질) / DCP
∙ (가소화단백질+가소화지방×2.25) / 가소화단백질
- 사료작물 영양가치 성숙기 지남에 따라 변함 : 단백질과 이용가능 탄수화물 감소
- 사료효율(FE) : 증체량 / 사료섭취량
+ 가소화양분총량 (TDN)이 72%, 가소화단백질(DCP)이 12%인 사료의 영양률(NR)?


+ 어느 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이 20%이고,
조단백질의 소화율 80%일때 가소화 단백질 함량
→ 16%
(가소화단백질 = 함량 x 소화율
= 0.2 x 0.8 x 100 =16)

 

- 사료 고형분(DM) 함량
∙ 조단백질 + 조지방 + 가용무기질소물 + 조섬유 + 조회분
∙ 칼슘, 인은 조회분에 포함되어 계산안함
+ 옥수수 엔실리지의 조성분이다. 이 사료의 고형분(DM)함량(%)은?

→ 27.8%
( DM함량 = 2.2+1.2+14.9+7.6+1.9 = 27.8)
* 칼슘과 인은 조회분에 포함되지 않는다

 

+ 수분 70%인 생고구마인 조단백질 함량이
2.0%이면, 이 생고구마의 수분을 10%로
건조시켰을 때의 조단백질 함량
→ 6.0%

 

 

+ 어떤 쥐가 하루에 1g의 지방을 섭취하였고, 0.25g의 지방을 분으로 배설하였다.
이 쥐의 대사성 분지방이 하루에 0.15g이라면 지방의 진정소화율(truedigestibility)은?

 

 

# 사료원료 품질관리

사료의 품질검사방법
경험적 방법 시각, 미각, 후각, 촉각에 의하여
이학적 방법 - 기구, 시약을 이용
- 사별법(체별법): 체를 이용
- 비중선별법, 용적중칭량법, 자석에 의한 방법
- 확대경 및 현미경검사: 분리, 적성검사, 정량검사, 기타 검사
화학적 방법 - 정성분석법: 리그닌의 검출, 사료 중의 무기염류의 검출
- 정량분석법: 사료의 영양소함량 측정
이화학적 방법 - 무기염의 검출
- 항생물질의 검사
미생물학적 감정법
동물시험에 의한 감정법

 

 

2. 소화기관과 소화·흡수
- 소
∙ 섬유소 가장 잘 이용 가능
∙ 혈당 가장 낮음

 

소화기관의 구조와 특성에 따른 분류
단위동물 (돼지, 닭) 구강소화, 위소화, 소장소화가 중심
반추동물 (소, 면양, 산양, 사슴) 각각 반추위와 대장에 서식하는 미생물소화가
풀사료 이용에 중요학 역할
비반추초식동물
(말, 토끼, 기니피그, 햄스터)

 

- 반추동물의 타액
∙ 저작과 삼킴을 도움, 수분함량 높임
∙ 반추위 내 pH를 5~7정도로 유지
∙ 알칼리성으로 반추위에서 발효 시 생성되는 산을 중화하는 완충제
∙ 수분농도를 미생물 작용에 맞도록 조절, 미생물에 영양소 공급
( Na
+ , K+ , Ca2+ , Mg2+ , Cl- , HCO3- , 요소 등이 비교적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어 반추위내 미생물에 영양소 공급원 )
∙ 요소(urea)나 광물질의 재활용을 도움
∙ 거품생성 방지, 고창증 예방 – 뮤신
∙ 소량의 리파제 분비하여 지방의 가수분해
∙ 아밀라아제 (X)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