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8
* 곡류와 대두박 중심의 양돈 사료에 있어서
가장 결핍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
→ 라이신(lysine)
- 대두박
∙ 적당한 가열처리한게 영양가 높
∙ 단백질원으로 과다급여시에 체지방 연해짐
∙ 메티오닌 충분하지 않아 / 어분과 함께 배합
∙ 조단백질함량 가장 높 ( 대두박(44.95) > 임자박(39.01) > 채종박(36.24) > 아마박(35.79) )
∙ 소나 돼지에서 가소화 조단백질함량이 매우 높아 가축에게 양질의 사료
∙ 단위동물인 가금 및 돼지에게 훌륭항 단백질 및 아미노산 공급원이됨
- 메티오닌 : 깃털의 성장 촉진
- 옥수수 & 대두박
∙ 제한아미노산(필수아미노산) : 메티오닌(제1), 라이신(제2)
(옥수수와 대두박을 위주로 사료배합한 사료의 경우 필수 아미노산 중 라이신과 메티오닌이 제한아미노산으로 되기 쉬우며.
이들 아미노산이 부족하게 되면 정산적인 단백질 대사는 물론 세포의 분화증식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못함으로서 성장률 저하 됨)
- 라이신이 제한아미노산 : 옥수수, 임자박, 밀
- 면실박(목화씨깻묵)
∙ 단백질함량 35%정도
∙ 고시폴이라는 성분있음 (유독성분)
∙ 닭사료에 사용량 제한있음 (항영양인자의 함유로 인해)
∙ 소사료에 면실박은 다른 가축사료보다 안전
∙ 산란계 사료로 사용시 난백을 핑크색, 난황색 퇴색, 흑색반점
→ 환상지방산에 의한 것으로 가열시에 파괴됨
* 고시폴 (gossypol)
: 면실박에 함유되어 많이 급여하면
가축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물질
- 사료의 단백질, 탄수화물에서도 체지방이 합성된다
- 사료 내 단백질의 영양적 특성을 결정짓는 것 : 아미노산 조성
- 사료의 저장성분 중 아이오딘가가 높으면 연성지방 생산됨
- 돼지의 체지방은 백색이지만 번데기기름과 같은 것을 급여하면 황색됨
- 불포화지방산이 많이(아이오딘가 높) 함유 사료 → 연성지방 생성
- 경지방 생산 : 면실박, 야자박
- 아마씨깻묵 : 청산배당체
- 대두박 : 트립신
- 면실박 : 고시폴
- 콩 : 트립신 억제인자, 사포닌, 갑상선종 유기인자
- 채종박(유채박)
∙ 조단백질 함량 35%
∙ 갑상선 종양 일으킬 수 있는 물질 가짐
∙ 글루코시놀레이츠(Glucosinolates)
- Saccharomyces속 : 액상상태로 전 축종에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맥주효모
- 동물성 단백질 급원사료 : 혈분, 피혁분, 우모분, 골분(X)
+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사료 → 혈분
- 어분
∙ 반추위 미분해율이 가장 높은 단백질공급원인 사료 (미분해단백질 70)
∙ 메티오닌, 시스테인, 라이신 함량 높
∙ 비타민B(특히, 리보플라빈, 나이아신)의 함량이 미지성인자를 함유
- 자돈 전용사료인 입질사료의 가장 중요한 주원료 : 탈지분유
- 입질사료
∙ 가능한 빨리 생후5~7일 후
∙ 어미젖과 비슷한 것 / 기호성, 소화이용율 좋은 탈지분유
- 콜라겐태 단백질 : 피혁분
- 근괴사료 : 타피오카
- 동물성 단백질사료
∙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량 높, 미지성장인자 함유
∙ 일반적으로 메티오닌, 라이신 함량 높
∙ 어분과 육골분에는 Ca, P 등의 광물질함량 높
∙ 우모분, 모발분 같은 동물성 단백질은 케라틴태 / 가축 이용성 어려움
- 우지(Tallow, 유지, 지방사료)
∙ 지용성 비타민과 필수 지방산의 공급원
∙ 에너지함량 가장 높은 사료, 사료효율 개선
∙ Boller의 착색 좋게함
∙ 고지방사료 만들기 가능
∙ 가축에 대한 사료의 기호성을 높이고, 사료에서 먼지가 일어나는 것을 감소
∙ 첨가 시 산화되기 쉬움 → 항산화제 사용
- 축우, 육우에 있어 조사료의 상대적 이용가치가 높을 때는 (열량 이용효율) : 겨울
* 호마박
단백질 함량이 약 42~48%이며
참깨를 가공하고 남은 부산물
- 사료의 주성분으로 분류
∙ 단백질사료 : 호마박, 대두박, 임자박, 우모분, 어즙, 어분 (단백질 함량 20%이상)
∙ 지방질사료 : 콩, 콩기름, 옥수수기름, 누에, 번데기, 쌀겨 (지방함량 15%이상)
∙ 전분질사료 : 곡류, 고구마
∙ 섬유질사료 : 목초, 볏짚, 야초, 맥강 (섬유질 함량 20%이상)
- 반추동물용 섬유질 배합사료의 장점
∙ 기호성이 증진되어 건물섭취량이 증가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
∙ 조사료의 섭취량이 증가해 대사장애가 적게 발생
∙ 생식관리가 가능
+ 제과제빵부산물을 이용하여 한육우의 섬유질배합사료를 제조할 때 과다함유로 인해 설사발생이 우려되는 성분
→ 소금, 지방
- 볏짚 : 조사료 중 TDN, 조단백질 함량 가장 낮 / NDF 함량 높 → 저급조사료
- 유지방 : 조사료 부족 시 감소되는 우유성분
- 조사료
∙ 초산 생성 → 유지방 합성, 에너지원
∙ 부피 크고 가소화 영양소 함량 낮
∙ 볏짚, 엔실리지, 콩깍지, 산야초, 목초
- 조사료 세절, 분쇄, 펠렛화 → 유지방 함량 나빠짐
* 젖소에 급여하는 조사료를 분쇄∙펠렛팅 했을 때
- 증체량이 증가
- 젖 생산량이 증가
- 사료섭취량이 증가
- 유지방함량 나빠짐
'가축사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0 (0) | 2024.05.27 |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9 (2) | 2024.05.26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7 (1) | 2024.05.15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6 (1) | 2024.05.12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5 (1) | 2024.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