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축사양학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0

728x90
반응형

핵심 가축사양학 요약 정리 10

- TMR(Total mixed ration) : 사료급여 방법
∙ 반추위 내 산도를 안정 / 사료건물섭취량을 증가
∙ 산유량 증가 및 고능력소의 산유량 유지가 가능 / 볏짚이나 베일형태의 긴 건초는 길이 세절 번거로움


- 곡류사료 분쇄 효과
∙ 에너지 이용률 향상 / 조작하기 용이 / 다른사료와 혼합하기 용이
∙ 소는 거칠게, 돼지는 곱게 (제한급식 시 거칠게)


- 곡류의 수침처리 효과
∙ 전분의 일부를 수화 또는 호화시켜 소화율 개선 가능
∙ 저작이 용이해짐 / 돼지의 경우 유리함
∙ 유해물질 우러나와 무독화됨 / 저장성 매우 불리

 

- 펠레팅(펠렛사료)
∙ 사료회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배합사료 가공처리법 / 사료의 취급 및 수송 용이
∙ 증기 및 가압으로 병원성 세균 등이 파괴됨
∙ 사료성분의 소화율을 향상 / 사료 섭취량, 이용효율, 기호성 증가
∙ 영양소 불균형과 사료 허실 발생을 예방 / 사료 내 비타민의 이용성을 향상
∙ 사료를 펠렛으로 가공할 때 이점 : 사료 급여시 먼지 발생이 적음, 선택적 채식과 사료낭비 적음, 사료의 부피 감소
∙ 단점 : 열에 약한 영양소 파괴 가능 / 음수량 증가


* 사료를 가공 처리하는 이유
- 사료의 표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미생물
또는 소화효소의 작용 면적을 넓게 함

- 사료효율을 증진
- 사료 기호성을 개선

 

- 크럼블사료
∙ 펠렛 사료 거칠게 다시 분쇄
∙ 사료의 부피를 줄이며 사료섭취량을 높이기 위해 가루사료를 고온∙고압하에서 단단한 알맹이 사료로 만든 다음 이를 다시 거칠게 분쇄
- 전분의 알파화(젤라틴화) : 증기압편(플레이크), 가압압편(플레이크), 건열처리가공
- 사료공장 분쇄공정에서 Pre-grinding system의 장점
∙ 분쇄 기능 마비가 생산체계 마비로 연결되지 않음
∙ 최고 동력 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
∙ 개별 사료당 분쇄 공정의 조절이 가능
- 비유젖소의 배합사료 가공법 중 이용효율 가장 높 : 박편처리 (압착 후 잘라)
- 비용 가장 많이드는 가공형태 : 익스트루전 ( 전분 젤라틴화 / 가소성 향상 / 비중이 적고 수분 잘 흡수 )
- 볏짚 알칼리 처리 : 볏짚 중 섬유소의 소화율 향상
- 곡물 저장 중 호흡작용 의해 생기는 부산물 : 열, 물, 탄산가스
- 배합사료 저장 시 사료가치나 풍미를 가장 적게하는 수분함량 : 11~13% (15%이하)
- 사일리지 특유의 냄새와 맛이 있는 산도의 범위 : pH 3.5 ~ 4.1
- 사일리지 : 매초 = 매장사료 / 유산균 잘 활용하여 수분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저장함
- 사일리지 제조 조건
∙ 적당한 온도, 수분
∙ 공기배제
∙ 잡균 번식 방지
( 고품질 사일리지 조제요점 : 재료 적기수확 – 최대양분 축적, 적절한 탄수화물 함량, 수분함량조절과 공기배제, 적절한 첨가제 이용 )

 

5. 가축의 사양관리
- 젖소 : (단백질) TCP / (에너지) TDN
- 돼지 : (단백질) CP, 라이신, 가소화라이신 / (에너지) DE
- 닭 : (단백질) DCP / 에너지 (ME)
- D : digest
- 우리나라 ‘한우사양표준’ 축종별 최초 : 2002년
- NRC 사양표준
∙ 젖소의 정미에너지(Net Energy)의 요구량을 나눠서 제시한 것 / CP, TCP, DE, ME, NE 등
- Morrison 사양표준
∙ Wolff-Lehmann의 사양표준 개정 / DM, DCP, TDN, Ca, P, Carotene, NE
- Kellner 사양표준 : 고형물, 가소화 영양소, 가소화 단백질, 전분가
- KRC : 우리나라 돼지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사양표준
- 가축사양표준
∙ 사양표준은 가축의 종류와 사양목적 등에 따라 요구되는 영양소를 시험에 의하여 과학적으로 결정해 놓은 기준
∙ 미국의 NRC(National Research Council) 사양표준은 CP, TDN, DE, ME, Ca, P, Vitamin 등과
유우, 육우, 말, 돼지, 닭, 여우 및 실험동물 등 여러 가축을 다루었으며 세계 각국에서 널리 사용
∙ 사양표준을 이용하면 해당가축에 알맞은 사료배합과 사료급여량을 정할 수 있어 합리적인 축산이 가능


# 기초대사량
- 기초대사량 : 몸 유지에 소모하는 최소한의 에너지
- 측정 : 동물 영양상태 양호 . 소화 완전히 끝난 상태 . 최적의 온도조건 / 근육 완전 휴식
- 기초대사율 (개체별편차)
∙ 체표면적에 비례 (체중X) / 70 * 체중^0.75
∙ 수가축 > 암가축 / 임신기 > 비임신기
∙ 나이 적은 > 많은 / 오전 > 오후 / 비거세우 > 거세우
- 내생질소대사 : 절식 후 완전기아상태에서 배설되는 질소량
- 가축의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요구량 : 가축 체유지와 새로운 조직에 필요한 E


# 유지요구량 결정 요인
- 외적 : 운동량, 기후, 스트레스, 건강상태, 사료의 급변 / 내적 : 크기, 체질, 개체차이, 생산수준, 비유
- 가축의 적정 임계온도 벗어나면 증가, 허약하거나 질병 시 요구령 증가
- 사료, 기후급변 시에 증가 / 체구 작을수록 요구량 감소
- 도체분석법
∙ 유지E 요구량결정시험 중 시험개시와 종료 시 체조성과
∙ 공복 시 체중 측정하여 유지와 증체에 필요한 요구량 결정법
- 가축의 성장곡선(S자곡선) : 태아시기와 출생 후 성 성숙기까지는 성장률 빨리 증가
- 성장 : 세포수와 세포크기 증가
- 영구세포 : 증가 후 일정 수 유지 ex) 신경세포
- 보상성장 : 발육억제 소에 충분한 영양소 공급으로 다시 성장 회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