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요점 정리 74. 전통적 리더십 이론

728x90
반응형

74. 전통적 리더십 이론

1) 특성 이론


사람들에게 훌륭한 리더가 되는 개인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둔 리더십 이론
○  특성 연구는 대부분 비이론적인 것으로서(House & Aditya,1997), 리더십과 사회적 상호작
용에 대한 상식적인 개념에 기반을 둔 것이 대부분이었다.
○  성별, 지배욕, 지성, 외모, 신체적 에너지, 권력욕구, 성취욕구 등을 포함하여 수많은 개인적
특성이 연구되었다.
○  20세기 중반에 Stogdill의 리뷰 연구로 인해 특성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지만, 리더십에서
의 특성에 대한 관심이 최근 30년간 다시 나타나게 되었다.
○  지배력, 지능 및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이 다른 특성 패턴을 가진 사람들보다 리더로 출
현할 가능성이 더 많았다.
○  일부 연구자들은 5요인 특성에 집중했다.
○  70개 이상의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5요인 특성이 리더 출현에 53%, 리더 효과성에서
39%의 설명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외향성과 성실성은 가장 중요하고 일관된 예측변인이었다.
○  최근의 연구는 5요인이 리더십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변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다.
○  리더십 자기 효능: 리더십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개인의 지각된 능력
○  리더십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주관적 능력인 리더십 자기 효능감(LSE)에 외
향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2) 행동 이론


○  리더들이 실제로 무엇을 하는지 규명하는데 집중하는 리더십 이론
○  권위주의적, 민주주의적, 자유방임적, 총 세 가지 유형의 행동 리더십 스타일을 조사했다.
○  대부분의 부하들이 민주주의 리더를 선호하지만 리더 스타일과 부하직원들의 행동들 사이에
관계성이 매우 낮거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  수백 가지의 다양한 리더 행동이 확인되고 여러 차원이 검토된 뒤에, 두 가지 주요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 구조 주도(initiating structure)
* 리더가 집단의 공식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신과 부하 직원의 역할을 정의하는
행동
- 배려(consideration)
* 리더가 지지적 방식으로 행동하고 부하직원에 대한 관심과 존중
○  Judge, Piccolo, 및 Ilies(2004)는 배려와 구조주도 행동 차원과 일련의 리더십 효과성 지표
간의 관계를 메타 분석을 통해 조사했다.
○  두 차원의 리더십 행동과 부하의 직무 만족도, 동기 부여, 리더 성과 및 리더십 효과성 등과
의 관계에서 .22에서 .78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고했다.

○  추가적으로 다양한 직종에서 약 1,000명의 참가자가 참여한 두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너무
적거나 또는 너무 많이 구조주도 행동을 보이는 것은 상사에 대한 부하의 신뢰, 직무만족,
정서적 조직 몰입 및 조직 시민 행동(OCBs)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  하지만 일련의 연구에서 효과적인 리더십을 일관되게 예측하는 것으로 보이는 행동은 발견
되지 않았다. 즉 상황에 따라 효과성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3) 유관성 이론


○  상황적 또는 맥락적 변수를 공식적으로 고려하여 특성 및 행동 이론과 다른 리더십 이론
○  연구자들은 효과적인 리더십을 일관적으로 예측하는 특성이나 행동을 발견 할 수 없었기 때
문에 상황의 역할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  공식적으로 상황적 또는 맥락적 변수를 고려하기 때문에, 특성 이론, 행동 이론과 구분된다.
○  즉, 핵심 질문은 리더십이 일어나는 맥락이나 상황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는 것이다.


(1) Fiedler의 상황이론
○  효과적인 리더십이 리더의 특성과 상황적 특징의 함수라고 주장하는 리더 효과성 상황이론
을 발표했다.
○  구체적으로, 과제-중심의 리더들은 몇몇 상황에 가장 적합하고, 관계-중심의 리더는 나머지
상황에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  Fiedler의 이론은 상황 호의성 또는 리더가 자신이 상황을 통제한다고 인식하는 정도의 측
면에서 설명 된다.
○  부하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갖고, 부하들의 임무가 잘 정의되어 있으며, 리더가 중요한 결정
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면 상황은 호의적인(즉, 리더가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
○  그는 과제 중심적 리더의 통제 가능성이 높거나 낮은 상황에서 가장 잘 수행하는 반면에, 관
계 지향적인 리더는 중간 정도의 통제 상황에서 최고를 리더십 효과를 발휘한다고 주장
○  Fiedler의 이론에 대한 비판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상황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모두 고
려한 최초의 리더십 접근법이었다.
○  따라서 리더십 이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2) 경로-목표 이론 (path-goal theory)
○  리더십이 부하 직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과정임을 고려하면, 효과적인 리더는 이 목표를 달
성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접근방식을 채택하는 사람이다.
○  이와 관련된 이론이 경로-목표이론이다.
○  이 이론은 리더의 행동이 집단 성과와 부하 직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들이 일관적이라는 점과, 동기에 대한 인지 이론을 강조하였다.
○  경로-목표 이론에 따르면 리더는 수행 동기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을 부하에게 제공하는
정도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  경로-목표이론에서는 리더 행동을 4가지로 구분한다.

(3) 리더-구성원 교환(LMX) 이론
○  리더 행동이나 특성보다는 부하와 리더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작업 짝에 대한 이론
○  LMX 이론에 따르면, 리더-구성원 관계의 질은 개인, 팀 및 조직 수준 결과를 예측한다
(Gerstner & Day, 1997).
○  약 80개의 LMX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LMX 관계의 질은 부하직원의 성과 등급,
직무 만족도, 조직 몰입도, 역할 명확성, 역할 갈등 및 이직 의도와 같은 결과 변인과 유의
미한 관련이 있었다.
○  약 250건의 LMX(Dulebohn, Bommer, Liden, Brouer, & Ferris, 2012)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기존 연구 결과들이 지지되었고 새로운 결과도 발견되었다.
○  주요 결론 중 하나는 LMX의 질이 리더를 따르는 사람보다 리더의 행동과 부하에 대한 지각
에 의해 더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고 결론지었다.
○  부하의 성공에 대한 리더의 기대, 대응적인 보상 행동의 사용, 동기 부여, 등에 의해서 LMX
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 리더의 이러한 행동의 결과로, 내집단의 부하들은 조직시민행동 등
을 통해서 추가 노력을 기울여 리더의 행동을 격려하고 보답하고, 이는 다시 LMX를 강화함
○  이 메타 분석의 두 번째 주요 결론은 LMX가 많은 선행요인 → 결과요인 간의 관계의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  연구자들은 핵심 성과를 결정하는 것은 LMX 관계의 질이며 LMX는 선행 변인과 결과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변인이라고 결론지었다(Dulebohn et al., 2012).
○  수행 관련 요인, 집단 내 역학 및 리더-구성원 관계의 다른 측면에 대한 연구는 LMX의 잠
재적인 중요성과 LMX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