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생활교육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62. 가족생활교육의 전망

728x90
반응형

62. 가족생활교육의 전망

가족생활교육의 전망은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요구나 필요성과 연관될 것임. ‘왜 가족생활교

육인가에 대한 답은 개인, 가족, 사회에서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며, 가족생활교육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결과 및 기대가 있기 때문일것임

 

1) 가족생활교육의 확산과 발전

 

◆  Lewis-Rowley와 동료들(1993)이 가족생활교육의 발전을 위해 제시한 세 가지 과제

가족생활교육의 집단적 접근이 강조되어야 함.

이론과 연구의 정교화는 교육적 개입과 지원의 실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거임.

비교문화적 연구와 다양한 가족에 대한 연구들이 지원되고 연구됨에 따라 가족생활교육

도 더욱 발전할 수 있음.

 

2) 가족생활교육의 영역확장

 

◆  새로운 가족생활교육의 영역 확장을 위해 Dawn(2003)은 틈새시장 개척을 강조함.

가족생활교육자들이 특유의 방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세팅을 만들과 이를

규정하는 것.

East(1980)의 전문성을 위한 조건에서 지적하듯이 다른 부분과 차별화 되는 독특한 영

역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함. Dawn(2003)은 일/가족생활영역은 가족생활교육자들에게 엄

청나게 큰 잠재력이 있는 영역임을 강조함.

 

3) 가족생활교육사의 전문성 확보

 

◆ 다음 세대의 가족생활교육사들을 위한 권고(Schvaneveldt & Young, 1992; 송정아,

2003)

가족생활교육사는 역사적인 시각을 가지고 문제해결에 임해야 함.

가족생활교육사는 잘 훈련받고, 창조적이어야 하며, 새로움을 유지하고 개선하도록 노력

해야 함.

가족생활교육사와 가족이 한 팀이 되어 상위의 목표를 향해 노력해 나가야 함.

가족생활교육사는 모든 가족은 문제를 가지고 있고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

어야 함.

가족생활교육사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좋았던 과거시절 이면에는 노력이 있었음을 깨닫게

해주어야 함.

가족생활교육사는 핵가족에 대한 공격을 멈추어야 함.

가족생활교육을 위해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