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강 방송과 스포츠>
* 방송과 스포츠
① 스포츠 관람의 경우 - 대체로 TV로 보는 스포츠가 오히려 리얼하다. 긴장과 열기를 현장에서보다 오히려 TV를 통해, 클로즈업된 화면과 이구석 저구석 카메라가 돌며 비춰주는 화면을 통해 짜릿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② 스포츠 중계 역사는 20년대 라디오가 등장한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미국에서 권투와 야구경기가 라디오로 중계되었고 그러자 점점 청취자가 늘어 1927년도 기록을 보면 한 권투경기를 1500만명이 청취. 그리고 TV가 등장하면서 스포츠가 확실한 오락장르로 자리를 굳혔다. 야구경기, 권투경기를 중계했다.
③ TV와 스포츠는 동반자 관계, 밀월관계로 발전했다. TV는 시청률 높이려고 스포츠를 중계하고, 안방에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게 되니까 스포츠 애호가들이 늘어났고, 남자뿐 아니라 남녀노소 스포츠팬 인구가 확대되었고, 그러면서 스포츠만이 아닌 TV시청인구가 늘어나는 연결고리가 만들어졌다.
* 스포츠와 미디어의 관계
① 현대 스포츠의 특징 - 사람들이 직접 경기를 하지 않고 관중으로 참여한다는 점이다. 그나마 경기장에 직접 가는 사람도 소수일 뿐, 대부분은 TV를 보면서 스포츠 경기를 즐긴다.
② 84년 LA올림픽의 조직위원장이었던 피터 위버로스는 올림픽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대규모 경기장이 아니라 TV 카메라를 들여놓을 수 있는 공간이라고 했다.
③ 사람들이 TV를 통해 중계방송되는 경기를 보게 되면서 스포츠와 TV는 공생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방송은 스포츠가 인기를 모으는데 가장 큰 공헌자였다.
④ TV는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스포츠 경기를 보여주고 선수들의 소식을 들려준다. 이처럼 스포츠가 인기를 더해가는 이유는 TV 덕분이다.
⑤ 방송과 스포츠의 공생관계는 월드컵이나 올림픽과 같이 세계적인 스포츠 행사를 계기로 더욱 긴밀한 관계로 발전했다. 올림픽과 월드컵은 방송과 손을 잡고 세계적인 스포츠 축제로 성장했다.
⑥ 방송국은 중계권료를 지불하고 그 돈은 스포츠 행사의 중요한 재원이 되고 있다. 방송과 스포츠는 서로의 발전과 이익을 위해 손을 잡았다. 이제 스포츠 없는 방송, 방송없는 스포츠는 상상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시드니 올림픽의 경우 TV 중계권으로 얻은 수입이 행사 전체 수입의 반을 넘었다.
⑦ 2002년 한일 월드컵과 2006년 독일 월드컵의 중계권을 위해 국내 방송3사가 지불한 금액은 5500만 달러, 우리돈으로 715억이었다. 올림픽이나 월드컵의 TV중계권료는 회를 더할 때마다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지만 이렇듯 엄청난 금액을 지불하면서 월드컵을 중계하는 것은 그만큼의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⑧ 방송국이 지불하는 중계권료를 실질적으로 부담하는 것은 광고주다. 때문에 방송국은 스포츠 경기 중간에 광고 내보낼 시간이 필요했고 이러한 상황은 스포츠의 룰마저 바꿔 놓았다.
⑨ 상업방송이 발달한 미국에서 축구가 발달하지 못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야구나 농구와 달리 축구는 90분이나 되는 경기중간에 광고를 보여줄 시간은 전후반 사이에 한번뿐이다. 축구가 TV로부터 외면 당하자 룰을 바꾸자는 제안이 등장했다.
⑩ TV는 스포츠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스포츠는 TV의 영향력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한다. 스포츠와 TV가 공생하는 이유는 각자가 서로에게 너무나도 매력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 미디어 스포츠의 사회적 기능
1) 폭력소비를 제도화 시키는 기능 -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공격성이 있고 또 욕구불만도 많고 한데 제도와 규범이 누르고 있다. 이 적대감, 공격성, 폭력성 등을 스포츠 보면서 소비시켜서 공격적 성향을 순화, 정화할 수 있다. 사회적 안전판기능이다.
2) 현대사회의 병리현상에 대한 카타르시스 기능 - 불안심리, 갈등과 좌절 등을 해소하고 정서적으로 안정할 수 있는 카타르시스효과를 스포츠시청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3) 스포츠의 정치화와 내셔널리즘의 조장기능 - 국제경기는 반드시 ‘우리’와 ‘그들’로 구별된다. 그래서 오락의 스포츠를 넘어서 국가간 대결양상이 된다. 그리고 그렇게 하다보면 우리가 남이가 라는식의 집단 응집력이 높아진다.
'방송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8. 방송수용자 (0) | 2022.12.10 |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7. 방송비평 (0) | 2022.12.09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5. 방송과 대중문화 (0) | 2022.12.06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4. 정치광고와 이미지메이킹 (0) | 2022.12.06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3. 방송과 정치 (1)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