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강 방송과 정치>
* 정치 커뮤니케이션
① 방송과 정치의 관계를 다루는 분야 - 학술적 용어로 “정치커뮤니케이션”이라 한다. 정치인이나 정당이, 목표대상으로 삼은 사람들의 태도나 행동을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그 과정을 통틀어 정치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한다.
② 메시지 전달방법은 크게 두 가지.
㉠ 직접적 방법인 대인접촉
㉡ 미디어를 통한 간접방법.
㉢ 고대 그리스에서는 사람들을 모아놓고 연설하고 개인적으로 만나 설득하는 방식이 다였다. 그래서 스피치와 설득기술이 발달했다.
③ 인구가 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이런 방식은 비효율적이 되었고 마침 매스미디어시대가 되면서 신문, 잡지, 방송, 인터넷을 통한 전달방식이 보편화되었다.
④ 다른 미디어보다 선거에서 방송의 역할이 크다. 과거 기억을 살려보면, 대선 때 유세는 여의도광장에 빽빽하게 모이고 동원된 유권자에게 후보자가 악을 쓰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던 것이 이제는 방송사 TV스튜디오에서 마이크 달고 톤을 낮추고 부드러운 미소로 말하는 방식을 택하게 되었다.
⑤ 16대 대선 때 직접유세는 거의 사라지고 TV토론의 비중이 컸다. 한 조사에 따르면 대선정보를 얻는데 주로 이용한 매체로 TV를 꼽은 응답자가 71.6%이다.
⑥ 정치에서 미디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공정보도에 대한 중요성과 일반의 관심이 높아졌다. 선거는 물론 정치관련 보도에서도 방송의 공정성은 매우 중요하다.
* 선거방송의 공정성
① 선거 시기에 방송보도의 공정성은 매우 중요하다. 선거 시기에 방송은 특히 정치 환경을 적극적으로 감시하는 기능과 유권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더 나아가 중요한 정치적 이슈에 대해 심층적으로 해석과 처방하는 기능까지 해야 한다. 즉, 바람직한 정치문화를 만드는데 일익을 담당해야 하는 것이다.
② 선거방송의 공정성은 두 가지 차원에서 생각할 수 있다.
㉠ 형식의 공정성 - 언론의 역할을 소극적으로 보느냐 적극적으로 보느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 내용의 공정 - 어떻게 하면 유권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서 정치정보 욕구를 충족시킬까를 고민하는 것
③ 현재까지는 형식적인 공정성을 지키려는 측면에 치우쳐있다. 이는 판에 박은 선거보도. 이는 시비 거리를 줄이려는 목적이다.
* 방송과 여론
① 민주정치사회에서 여론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여론형성에 방송이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요즘은 미디어 선거시대이자 여론정치시대이다.
② 방송과 함께 정치와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여론이다. 방송이 여론형성 과정에도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 두 가지 측면이 있다.
1) 긍정적 측면
① 쟁점에 대해 사회구성원의 관심을 끌어내서 여론형성의 계기를 만든다. 즉 감시자(watch dog)와 의제설정자의 기능.
② 쟁점에 관한 정보를 해석하고 평가하여 개인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③ 개인을 사회의 적극적 참여자인 공중으로 바꾸어 놓고 이들에게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토론의 장을 제공한다.
④ 여론형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방송이 대동맥의 역할을 수행하는 셈.
2) 부정적 측면
① 여론오도의 가능성. 방송은 권력을 가진 제도. 소유주나 광고주 등이 압력 행사자. 이들의 입장을 대변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② 정치적 권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을 때. 정부나 여당이 통치행위를 합리화하기 위해 방송보도에 개입하려 할 때. 군사정권에서는 보도지침 같은 직접적 방법으로, 직접적은 아니지만 완곡한 협조요청이나 왜곡된 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간접적 방법으로 개입할 수 있다.
③ 정보가 2단계로 흐른다는 이론이 있다. 여론지도자를 거쳐 일반인에게. 이때 여론지도자가 여론형성의 주도권을 장악하면 대중의 생각과 다른 방향으로 갈 수도 있다.
④ 일반적인 차원에서 방송의 오락화로 정치적 무관심을 조장하여 결국 여론형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
'방송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5. 방송과 대중문화 (0) | 2022.12.06 |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4. 정치광고와 이미지메이킹 (0) | 2022.12.06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2. 방송윤리 (0) | 2022.12.05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1. 방송보도 (1) | 2022.12.02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1. 방송보도 (0) | 2022.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