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학개론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4. 정치광고와 이미지메이킹

728x90
반응형

<14강 정치광고와 이미지메이킹>

* 방송과 정치광고

97년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가 승리한 요인 중 하나는 미디어 선거에서 압승을 거둔 민주당의 선거 전략이었다. 미디어 선거의 핵심은 TV토론과 정치광고이다. 정치 광고란 앞서 말한 것처럼 상품-광고-소비자의 관계처럼 정치인-광고-유권자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정치광고의 역사를 보자. 미국에서 1928년 각 정당후보들이 라디오시간을 사서 1시간씩 방송유세 한 것이 최초이다. 당시 뉴욕타임즈는 후보자들은 지방마다 돌며 각각 다른 선심성 공약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전국적으로 동시전달하는 방송이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양상을 바꿨다는 논평을 했다.

TV시대로 가면서 1940년대 말 50년대 초 트루먼 대통령, 아이젠하워대통령이 TV정치광고 시대를 열었다.

정치광고의 발전과정의 특색을 보면 50년대까지는 정치인을 상품처럼 광고하는데 주력했다.

1단계 - 시간과 광고횟수에 신경을 썼고 후보를 매력적으로 포장하는 데만 관심이 있다.

2단계인 - 60-70년대는 어떻게 하면 유권자의 투표행위에 연결시킬까 즉 마케팅에 관심이 확대되었다. 매체별 광고효과를 비교해서 마케팅기법을 개발하는 노력이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3단계 - 70년대부터 총체적 마케팅을 지향한 단계로 발전. 정치 광고를 어떻게 하면 유권자에 구미에 맞게 상품과 서비스 개발하듯 기획해서 만들어 내어 마케팅할 수 있을까에 주력했다.

요약하자면 1단계는 사람들에게 알리는 광고 수준, 2단계는 어떻게 효과적으로 광고할까를 생각한 단계, 3단계는 효과적 후보자 상품을 개발해내는 단계이다.

 

* 방송과 이미지메이킹

영상시대는 구체적 실체가 아닌 이미지를 중시하는 이미지시대다.

이미지란 특정 대상(사람)의 외적 형태에 대한 인위적 모방이나 재현이다.

즉 이미지는 실체가 아닌 실체를 모방하거나 재현한 그것과 다른 또 하나의 모습, 상이다. 이런 이미지를 TV가 만들어내고 사람들은 그것을 실체인 것으로 착각하고 인식하게 된다. (방송의 특성)

유권자가 정치인에 대한 인식을 정책이 아닌 개인이미지에 따라 하게 된다든가, 정치인 카메라만 들이 대면 평소의 모습과 달리 탤런트가 연기하듯 연출하여 제3자가 되어버리는 것 모두 이미지정치시대의 문제점이다. 후보자가 정책을 계획하고 전달하는데 신경을 덜 쓰고, TV를 어떻게 이용할까에만 주력하여 모든 행사의 우선순위를 방송에 집중하는 것은 문제이다. 그렇게 되면 정치지도자가 아닌 배우정치인, 배우대통령을 뽑을 위험이 있는 것이다.

 

* TV 토론과 이미지정치

방송과 정치의 관계를 얘기할 때 뺄 수 없는 것이 TV토론. TV를 이용한 후보 간 정치토론은 1956년 미국에서 최초로 이루어졌다. 방송역사시간에도 잠깐 다뤘지만 케네디와 닉슨 후보자간의 토론이었다. 이후에는 불리하다고 생각한 후보자들이 거부해서 주춤하다가 76년도 대선에서 재개되어 80-90년대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레이건, 클린턴 대통령 모두 TV가 당선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았고 그래서 TV는 킹메이커라는 별칭이 붙었다. 초기에는 방송사나 민간단체 주관으로 TV토론이 이루어졌지만 80년대말부터 양당합동으로 상설된 대통령후보토론위원회에서 주관. 프라임타임 밤9시에 생중계된다.

우리나라는 선거관련 토론이 95년에 서울시장후보초청토론회로 시작. 9715대 대선때 TV토론이 이루어졌다. 이때 여론조사에서 표 결정에 TV토론이 영향을 미쳤다고 답한 사람이 80% 가까이 됐다.

 

* TV 토론의 정기능과 역기능

TV토론의 정기능 - 정치에 관심을 잃어가는 요즘 유권자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좋은 기회이자 방법이다.

TV토론의 역기능 - 이념, 철학, 비전, 구체적 정책이 아닌 외모, 의상, 목소리 등 겉모습으로 판단하는 것 문제이다. TV토론의 과열현상도 문제. 우리나라 경우 15대 대선 때 문제점으로 너무 많은 회수, 불공정한 진행, 흥미위주의 수준 낮은 진행 등이 지적되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