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학개론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1. 방송보도

728x90
반응형

<11강 방송보도>

* TV 뉴스의 중요성과 특성

 

1) TV 뉴스의 중요성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방송뉴스에 기대어 정보를 수집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한다.

뉴스는 넓은 의미의 정보이다.

더욱이 단순히 정보제공만 하는 게 아니라 사건과 인물을 골라서 부각시켜준다.

무엇이 중요한지를 가르쳐주는 기능까지도 하는 것이다.

여론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도 보여준다. 이런 기능을 과거 신문이 했다면 오늘날 TV뉴스가 상당부분을 담당한다.

 

2) TV뉴스 제작 과정

 

* 뉴스선택기준과 보도프로그램의 유형

 

1) 뉴스 선택 기준

방송사는 기자들이 취재하거나 다른 곳에서 입수한 뉴스거리 150여개 중에서 1/10 정도만 추린다. 무엇을 기준으로 할까? 한마디로 뉴스가치가 있는 것을 골라낸다.

 

2) 뉴스 가치

뉴스가치란 근접성, 저명성, 시의성, 갈등성, 인간적 흥미, 영향력 등이다. 여기에 영상과 음향이라는 기술적 요소가 영향을 미친다.

 

3) 뉴스의 유형

뉴스

- 스트레이트뉴스 (뉴스요약, 단신뉴스)

- 뉴스쇼 (종합뉴스)

뉴스관련프로그램

- 뉴스매거진, 뉴스해설, 뉴스특집, 뉴스다큐멘터리,

- 뉴스토크, 뉴스인터뷰

시간과 분량에 따른 구분

- 종합보도 : 9시뉴스

- 간추린보도 : 오전 또는 저녁 뉴스

- 토막소식

- 속보 : 양양산불보도

- 단신뉴스

- 뉴스쇼

심층취재물

- 뉴스다큐 : MBC 시사매거진 2580

- 뉴스특집 : 쓰나미 관련보도

- 인터뷰프로그램 : SBS 한수진의 선데이클릭

- 사회고발프로그램 : SBS 그것이 알고 싶다

- 패널토론프로그램 : MBC 이슈 & 이슈

 

* 보도프로그램의 제작원칙

 

1) 공정성

공정성 - 한편에 서지 않는 중립적 자세 견지하는 것.

시청자가 현상을 편견없이 잘 이해하도록 다양한 시각과 전체관점을 둘 다 제시하는 것.

다양한 시각은 사건의 속성을 한 면 만이 아닌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것.

전체적 관점이란 중립적으로 보도하는 것.

상반된 입장을 한쪽만 유리하게 만들면 안 된다는 것.

 

2) 정확성

정확한 보도. 실제 현상에 얼마나 가깝게 다가갔는가 하는 사실성 문제. 뉴스는 현실 그대로가 아니다. 가공된 것. ‘making news’이다.

자료화면이 기사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든가 음향이 부적절할 때 사실에 대한 왜곡을 일으킬 수 있음.

만약 어떤 인물을 뉴스로 다루면서 분위기 좋은 음악을 배경으로 사용한다면 그 인물을 미화시킬 수 있다.

정확한 보도에는 심층성도 따라온다. 앞뒤 문맥을 잘 설명해야 지금의 현상이 제대로 이해되기 때문.

 

3) 보수성

보수성 - 차분하게 전달. 흥분시키지 말고, 감정적으로 받아들이고 판단하게 하지 말라는 뜻.

선동자가 되면 안되고 사회안정을 해치는 경우 자제하라는 것이다.

앵커는 아무리 큰 사건이라도 흥분된 어조와 태도를 보여서는 안된다. 보수성은 안정성과 윤리성으로 나눌 수 있다.

윤리성은 사생활침해 부분을 예로 들 수 있다. 고개 숙인 피의자의 얼굴을 들춰가며 카메라에 담으려고 한다든가 남의 집을 허락 없이 카메라에 담는다든가 모두 프라이버시 침해. 그밖에 오보는 즉시 정정보도해야 하고, 모방범죄의 폐해도 고려해야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