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학개론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7. 방송비평

728x90
반응형

<17강 방송비평>

* 방송비평의 유형

 

방송비평은 분류기준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1) 비평대상 따른 분류

방송비평은 무엇을 비평하느냐에 따라 드라마나 뉴스를 비평하면 프로그램 비평, 프로그램 제작과 방송시장을 대상으로 하면 산업 비평이 된다. 법제비평은 방송에 관한 법과 제도를, 정책비평은 말 그대로 방송과 관련된 정책에 관한 비평이다

예를 들어 ‘TV중간광고 안된다라는 제목의 비평문은 TV 중간광고의 도입과 관련해 한 변호사가 작성한 것으로 시청자의 권리와 우리나라의 방송풍토 등을 고려해 중간광고 도입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내용의 정책비평이다.

 

2) 발표방식에 따른 분류

먼저 리뷰는 프로그램이나 방송가 소식을 전해주는 정도로 비평이라 하긴 어렵다. 단평이 이론적인 판단이나 분석 없이 짧게 쓴 비평이라면 전문비평은 단평에 비해 좀 더 심도 있게 쓰여진 비평이다.

리뷰에서 학술비평으로 갈수록 전문성이 더해진다. 20046월에 발표된 대통령 탄핵관련 TV 방송내용 분석보고서는 체계적인 분석과 이론적 판단에 의해 작성된 학술비평의 대표적 사례다.

 

3) 비평방식

방송비평은 비평방식에 따라 이론비평, 실제비평, 창조비평 등으로 나눠볼 수 있다.

이론비평이 비평이론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면 실제비평은 작가나 작품, 방송정책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말한다. 때문에 실제비평에는 분석기준이나 이론은 드러나지 않고 정책 혹은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과 평가가 중심이 된다.

 

4) 비평의 기준

비평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방송비평은 신화비평 페미니즘비평 사회규범비평 등으로 분류된다. 신화비평이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작업이라면 페미니즘 비평은 말그대로 방송에 숨겨진 여성차별을 찾아내는 작업이다.

 

 

5) 비평주체

누가 비평했느냐에 따라 기자에 의한 비평인 저널리즘 비평과 시청자비평, 전문가비평, 모니터링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TV드라마에서 성소수자의 문제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이 기사의 경우 대중문화 전문기자가 작성한 것으로 비평주체에 따른 분류로는 전문가 비평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 방송비평의 중요성과 역할

 

1) 방송비평의 중요성

첫째, 방송은 현대인의 필수품, 현대인이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기 때문이다. 거실에 안방에 침실에 공부방에 TV가 자리하고 PC 인터넷으로 매일매일 소비한다.

둘째, 상업방송의 본질인 시청률경쟁을 막고 성업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프로그램 질보다는 광고주에게 광고상품을 팔기위해 프로그램 만드는 것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시청자중심으로 유익하고 재미있는 방송을 만들게 하고 방송사가 바른 시청자상을 갖게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2) 방송비평의 역할

해석자 역할 - 새로운 해석을 하게 만드는 것.

교육자 역할 - 시청자가 프로그램를 비판적으로 보려면 선행되어야할 사전 지식을 미리 가르쳐주는 것- 이것이 교육자의 역할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