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강 방송수용자>
* 수용자 개념의 변화
방송연구에서 핵심영역의 하나가 수용자연구. 그리고 수용자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진 것이 수용자가 비이성적이고 무비판적인 수동적인 존재인가 아니면 이성적이고 합리적이고 비판적 능력을 가진 능동적 존재인가 하는 상반된 수용자개념에 관한 논의다. 그런데 결론적으로 얘기하면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있고 이런 측면도 있고 저런 측면도 있기 때문에 수동성-능동성의 이분법적 흑백논리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 어느 시대의 논의인가 하는 시대적 상황, 인간 본질에 대한 기본시각, 그리고 기술발전에 따라 수용자개념이 변화되어왔다. 크게 보면 수동적 수용자론, 능동적 수용자론, 현대적 개념의 수용자론으로 나뉜다. 한 가지씩 간단하게 보자.
① 수동적 수용자론(passive a-) - 라디오가 등장하면서 1930년대 중반 미디어효과 연구초기에 과학적이지 않은 심증으로 나온 것이다. 수용자는 미디어의 표적-탄환효과이론. 수용자는 익명적이고 이질적이고 분산되어 힘없는 수동적 존재 대중이라고 본 것.
② 능동적 수용자론 - 수동적 수용자론의 논리에 문제있다라고 지적이 되면서 1960년대 들어서는 이와 상반되는 능동적 수용자론이 대두된다. 수용자는 무조건 미디어가 주는 걸 받는 존재가 아니라 선택적으로 골라서 이용하고 자기욕구를 충족하는 존재로 보는 것. 그리고 시청자라고 혼자 고립되어있지 않다 사회집단에 소속되어 상호교류하고 비판적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
③ 프로슈머의 개념 -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에 상호작용성, 개인성, 초고속, 다채널 등의 기능이 부가되면서 방송사가 주도하는 일방적 전달이 아니라 수용자가 선택하고 나아가 수용자가 만들어내는 그런 프로수머의 개념으로 바뀌었다.
* 방송 모니터링
① 방송모니터링 - 수용자운동의 일환. 방송내용, 체계, 제도, 이념 등의 측면에서 문제점 없는지 찾고 개선안을 제시하는 미디어 감시활동을 모니터링이라 함. 넓은 의미에서는 미디어의 본질, 구조, 제도에 관한 모니터링이 다 포함된다. 이것이 실제 모니터한 보고서이다.
② 방송모니터가 알아야할 기본적인 원칙 같은 것은 제작자의 기획의도, 방송의 특성과 제작과정에 대해서 알아야한다. 그러나 모니터 잣대가 방송의 다양한 기능을 간과하고 윤리성, 도덕성에 국한되면 곤란, 또 한가지는 방송사가 최우선하는 건 시청률경쟁이라는 사실이다. 그래서 오락프로가 많고 같은 탤런트가, 같은 진행자가 여기저기 나오는 거라는 본질을 알고 모니터해야 한다.
③ 모니터링은 방송사 입장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잘하고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이 필요하다. 그래서 방송사 자체에서 모니터요원을 뽑아서 모니터링을 한다. 사례로 KBS 모니터를 취재했다.
'방송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20. 방송기술과 미래방송-2 (1) | 2022.12.11 |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9. 방송기술과 미래방송-1 (0) | 2022.12.10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7. 방송비평 (0) | 2022.12.09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6. 방송과 스포츠 (0) | 2022.12.09 |
신문방송과, 신방과, 언론학 등 방송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5. 방송과 대중문화 (0) | 202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