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보석 감정사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59. 레드링 현상 및 자성검사 59. 레드링 현상 및 자성검사 1. 레드링 현상 1) 보석을 백색 배경 위에 테이블 다운으로 놓는다. 2) 여러 각도에서 보석의 퍼빌리언을 투과하도록 펜라이트를 비춘다. 3) 적색 가닛의 크라운을 투과할 때 생기는 레드링을 찾는다. 만약 레드링이 감지된다 면 10배 확대를 하거나 두상광에서 보석을 검사하여 가닛과 글라스의 접합부분을 찾는다. 2. 자성검사 보석의 자성을 검사하면 철을 포함하고 있는 보석의 감별에 도움이 된다. 다음은 독특한 반응을 띠는 보석의 예이다. (1) 헤마타이트 : 약간 끌리는 경우는 있으나 들어 올릴 수는 없다. (2) 모조 헤마타이트(헤마틴) : 더욱 강하게 끌리며, 들어 올릴 수 있을 때가 많다.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58. 투과 판독 검사 58. 투과 판독 검사 투과 판독 검사는 연마된 투명 보석 중 다이아몬드와 유사석을 구별하는 간이 검사 방법이다. 이 검사는 프로포션이 좋은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 가장 효과적이다. 이것 은 나석 상태에 무색의 다이아몬드 유사석들을 구별할 때 가장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보석의 굴절률이 높을수록 투시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1) 보석을 테이블 다운으로 인쇄된 종이 위에 놓는다. (2) 보석을 통해 글씨나 색이 어느 정도 쉽게 보이는지를 검사한다. 프로포션이 이상적인 라운드 브릴리언트 커트의 다이아몬드는 투시효과를 보이지 않 는다. 스트론튬 티타네이트, 합성 루틸도 투시효과가 없지만 합성 루틸은 과도한 파이 어와 복굴절로 다이아몬드와 쉽게 구별이 된다. C.Z., G.G.G., Y.A.G., 합성사파이..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57. 반사도 측정기 57. 반사도 측정기 반사도 측정기는 굴절률이 1.81 이상 되어서 보석용 굴절계로서 측정이 불가능한 보 석을 측정할 수 있는 기구로 접촉액을 사용하지 않고 적외선을 이용한 반사도의 측정에 의해 수치로 나타남으로서 다이아몬드와 유사석, 즉 합성 모이사나이트까지도 식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반사도 측정기는 빛이 보석의 연마된 면에 입사한 후 다시 반사되어 나오는 광량을 측정하는 기구로서, 보석의 반사도는 굴절률과 정비례한 다는 원리를 기초로 하고 있다. 반사도 측정기는 적외선 방출관을 광원으로 사용하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적외선 파장은 670nm이다. 영점 조정을 위한 표준석으로 다이아몬 드는 67.4°와 수정은 57.1°로 사용이 되고 있다. 가시광선 대신에 적외선을 광원으로 삼 는 이유는..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56. 자외선 단파 투과 검사 56. 자외선 단파 투과 검사 자외선 단파 투과 검사는 보석이 자외선 단파가 투과되는 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고 온고압(HPHT)처리된 다이아몬드를 구분하는 간이 검사 기구인 ‘Ⅱa 다이아몬드 스포 터’[그림 3-132, 133]에 적용되는 검사 방법이다. 이는 Ⅱa 타입의 다이아몬드가 자외선 단파에서 투과되는 특성을 이용하였다. 자외선이 투과된 Ⅱa 다이아몬드는 내부의 흰 판에서 연두색의 형광을 발하게 된다(드물게 존재하는 타입 ⅠaB 다이아몬드도 자외선 단파에서 투과됨). 또한 자외선 단파 투과 검사를 함에 있어서 철 성분은 보석의 형광 반응을 억제함으 로써, 자외선 단파의 투과율을 낮게 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철 성분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일부 합성석에서는 자외선 단파의 투과율이 높게 나타난다. ..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55. 담금액 검사 55. 담금액 검사 담금액(침적액) 검사는 액체 속에 보석을 담그는 것이다. 침적 현미경에서 설명한 것 과 같이 만약 보석의 굴절률과 액체의 굴절률이 가까우면 침적시 보석의 내부가 더 잘 보이는데, 이는 보석을 둘러싼 액체가 빛에 의해 보석의 굴절과 표면 반사를 줄여주기 때문에 보석의 내포물과 색 분포를 더 잘 보이게 한다. 따라서 편광기나 현미경 검사를 할 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천연 커런덤과 합성 커런덤을 구별할 때 도움이 되는 결정 성장 구조가 훨씬 잘 보이게 된다. 플레임 퓨전법에서 보이는 성장 곡선 또는 접합석의 분리면들과 같은 특징들은 보석을 침적시켰을 때 잘 나타나게 된다[그림 3-131]. 또한 커런덤의 색 처리법인 표면 확산된 가열처리와 베릴륨 처리된 보석을 감지하는 데도 도 움이 된..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54. 컬러 필터의 사용법 54. 컬러 필터의 사용법 첼시 필터는 1930년대 영국 런던에 있는 첼시 대학의 보석학 수업과 관련이 있는 엔 더슨(Anderson)과 페인(Payne)에 의해서 개발되었고 주로 녹색의 천연 에메랄드와 다 른 녹색 보석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였으므로 에메랄드 필터라고도 부른다. 콜롬비아 산 에메랄드는 필터를 통해서 보면 크롬 성분으로 인하여 붉게 나타난다. 그러나 합성 에메랄드 출현으로 인하여 에메랄드 필터로서의 최초의 목적을 위한 사용은 무의미하게 되었는데 합성에서도 붉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콜롬비아산 이외의 천연에메랄드 의 경우 필터를 통해서 적색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도 있어 콜롬비아산과 구분 할 때 도움이 된다. 첼시 필터는 사실상 두 개의 분리된 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는 진한 적..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53. 중액법 53. 중액법 중액법은 비중을 구하기 위해 정수법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비중 을 알고 있는 높은 비중을 갖은 비중액을 사용하는 것이다. 보석의 비중이 비중액의 비 중보다 낮으면 뜬다. 보석의 비중이 비중액과 같으면 보석은 비중액 안에 놓인 부분에 서 그대로 멈춰 있다. 보석의 비중이 비중액의 비중보다 높으면 그 보석은 가라앉거나 만약 바닥에 놓았다면 바닥에 그대로 있다. 일반적인 비중액 세트는 2.57, 2.62, 2.67, 3.05, 3.32 의 비중을 가진 다섯 개의 비중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액들은 독성이 있기 때문에 각 용액은 안전 뚜껑이 달린 작은 병에 들어 있다. (1) 중액법에 의한 비중의 추정 과정과 결과 보석을 닦은 후 비중액 속에 보석을 완전히 담가 보석의 비중을..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52. 정수법 52. 정수법 정수법으로 비중을 측정하려면 전자저울과 특수 홀더, 비커, 와이어 받침대, 와이어 바스켓 등의 악세서리 들이 필요하다. 보석의 중량을 물 속에서 측정하면 공기 중에서 측정한 중량과 다르다. 보석을 물에 담그면 보석의 크기만큼 물의 부피가 밀려 나간다. 공기 중의 보석의 중량과 물 속에서 의 중량과의 차이는 보석이 밀어 낸 물의 중량과 같다. 공기 중에서의 물질의 중량을 밀 려난 물의 중량으로 나누면 물질의 중량을 구할 수 있다. 이 과정을 정수법이라 한다. 정수법은 일반적으로 악세서리를 갖춘 전자저울이 필요하다. 그 악세서리는 물이 담긴 비커를 저울판에 닿지 않게 하면서 저울판 위에 놓이도록 잡아주는 홀더이다. 와이어 받침대를 저울판 위에 직접 놓고 비커 안 물 속에서 중량을 측정한다. (..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