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 감정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43. 루페 43. 루페 루페(loupe, 루프)는 다양한 배율의 렌즈, 다양한 종류의 확대경이 있는데 그 중 가장 적당한 것은 렌즈를 통하여 본 사물이 무지개 효과를 일으키는 ‘색수차’와 직선을 구부 러져 보이게 하는 ‘구면수차’가 완전히 교정된 10배의 트리플릿 렌즈를 사용한다. 애크 로매틱(achromatic)렌즈는 색을 교정하고 애플러내틱(aplanatic)렌즈는 구면수차를 교정한다 * 눈과 루페 그리고 루페와 보석의 거리는 약 2.5cm 정도의 거리가 적당하다. 휴대용의 10배 트리플릿 루페는 보석 업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확대 기구이다[그 림 3-68]. 젬크로스로 보석을 깨끗이 닦은 후 손을 볼, 코 또는 얼굴의 한 부분에 한쪽 눈의 편한 곳에 갖다 대고, 조명은 눈높이 아래 눈에 빛이 직접 비춰지지..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42. 다색성을 알 수 있는 다른 검사방법 42. 다색성을 알 수 있는 다른 검사방법 이색경이 없다면 편광기나 편광 필터로도 다색성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방법 으로도 광축 방향을 통해 보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최소 다른 세 방향에서 보석을 검사 해야 한다. 1) 편광기로 다색성 검사 방법 편광기로 다색성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편광 필터를 라이트 포지션으로 맞춘다. 필터 들 사이에 보석을 놓거나 잡고 있으면서 편광기를 통해서 보면서 애널라이저는 고정시 킨 채 보석을 회전시킨다. 만약 보석을 돌리는 동안 보석의 체색이 변한다면 그 보석은 다색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검사 과정 중 다색성 색들이 이색경에서 보이는 것처럼 나란히 보이지는 않을 것이며 스트레인 색을 무시하고 모든 결정 방향을 확실히 관찰하기 위해 여러 다른 위치에서 보석..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41. 색의 조화론 41. 색의 조화론 색채조화는 인간 기호의 문제이며 정서반응은 사람에 따라 다르고 때에 따라 다르다. 여러 가지 색상을 배합할 경우 아름답고 쾌적한 감정을 주는 색채의 조화는 디자인이나 색 자체와 함께 그 절대적인 시각의 크기, 채색된 범위의 상대적 크기에 좌우되며, 디 자인의 여러 요소, 형태, 의미에 따라서도 좌우된다. 색채조화는 매우 복잡한 과제이며 배색의 선택은 사회적, 문화적 요소 등 수많은 요소에 좌우되므로 색채조화에 어떤 유 일한 규칙을 세운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가. 문·스펜서(Moon-Spencer)으| 색채조화론 미국의 건축학자 문(P.Moon)과 그의 조수 스펜서(D.E.Spencer)가 1944년 OSA회 지 상에 발표한 조화론으로 먼셀 이론을 기반으로 하였다. 색공간에서 이 조..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40. 이색경의 검사방법 40. 이색경의 검사방법 다색성(pleochroism) - 보는 각도에 따라 보석이 다른 체색을 나타내는 것. (1) 검사 방법 다색성은 복굴절을 지니고 있는 보석이 중간에서 강한 정도의 색을 지닌 투명하거나 투명에 가까운 단결정인 경우 관찰되며 다색성을 관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보석을 광원으로부터 약 6mm 거리를 두고 트위저나 손가락으로 잡고, 사용되는 광원은 강하고 확산된 백색광을 이용한다. 2) 이색경을 보석으로부터 약 6mm 거리를 두고 눈은 이색경의 둥근 끝에서부터 대 략 같은 거리만큼 간격을 둔다. [그림 3-63]과 같이 광원, 보석, 이색경 순서로 나란히 놓으면 광원이 보석과 이색경을 투과하여 비춰진다. 3) 보석을 안정되게 잡고 이색경을 회전시키면서 보석을 관찰한다. 다색성 ..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39. 광학상의 분석 39. 광학상의 분석 광학상 검사 - 복굴절인 보석의 광축을 찾아 집광봉을 가져다 댄 후 집광봉에 나타나는 현상을 광학상이라 하며, 집광봉에 나타나는 광학상을 보고 보석이 일축성 또는 이축성인지를 구별하는 검사방법 (1) DR 보석의 광학상 검사방법 DR 보석의 광학상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다. 1) 애널라이저를 교차된 포지션(다크 포지션)으로 돌린다. 좀 더 잘 보기 위해서 애널 라이저 위에 듀플렉스 Ⅱ 굴절계의 확대렌즈를 뒤집어 놓는다. 2) 보석을 폴라라이저와 애널라이저 사이에 잡고 애널라이저를 통해 보면서 손가락으 로 보석을 회전시킨다. 보석이 작으면 트위저로 잡는다. 3) 보석의 표면에서 이리데센스 색들을 찾는다. 그 색들은 수면 위의 오일 표면에 있 는 무지개 빛과 비슷하다. 그 색들을..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38. 광학 특성 검사 38. 광학 특성 검사 (1) 검사방법 편광기로 검사하고자 하는 보석이 SR, DR, AGG인지 알고자 할 경우 다음과 같은 과 정을 따른다. 1) 편광기의 전원을 켜고 애널라이저를 교차된 위치로 돌려 완전히 어두운 위치(dark position)인지를 확인 한다. 2) 젬크로스로 보석을 깨끗이 닦은 후 폴라라이저 위에 보석을 놓거나 손가락으로 보 석을 폴라라이저와 애널라이저 사이에 잡는다. 3) 보석을 수평으로 360° 완전히 돌리면서 애널라이저를 통해 보석을 살핀다. 그리고 보석을 돌릴 때 다음과 같은 현상 중 한 가지가 나타난다. ① 계속 어두운 채로 있다. ② 계속 밝은 채로 있다. ③ 밝아졌다 어두워졌다 반복하며 명멸한다. 보석이 어두운 채로 있으면 SR이거나 DR보석의 광축 방향을 따라 보고 ..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37. 기타 굴절률 측정법 37. 기타 굴절률 측정법 굴절계를 사용하여 굴절률을 측정할 수 없을 경우에 부득이하게는 다음과 같은 방법 으로 대략적인 굴절률을 추정한다. (1) 직접 관찰법 1) 현미경에 보석을 고정시키기 전에 보석의 실제 깊이를 측정한다. 2) 현미경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엘리베이터 옆의 고정대에 [그림 3-51]와 같이 테 이블 게이지를 높은 수치가 위로 향하게하여 고정시킨다(이상적으로는 테이블 게이지 대신에 교정된 초점 조절기 또는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아이리스 조리개 또는 스톤 홀더에 페이스 업으로 보석을 놓는다. 4) 10배 확대하에서 보석의 테이블에 초점을 맞춘 후 테이블 게이지의 수치 중 한곳 을 정하여 ‘a’로 읽는다. 5) 같은 10배 확대하에서 현미경의 초점을 큐릿에 맞춰 ..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36. 광학특성과 광학부호의 결정 36. 광학특성과 광학부호의 결정 보석의 굴절률과 복굴절량(복굴절률)은 굴절계로 검사가 필요한 유일한 특성들이다. 그러나 광학특성(일축성인지, 이축성인지)은 특정한 감별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감별 한 것을 확인해 볼 수도 있으며, 광학부호(포지티브인지, 네거티브인지, 결정불가인지) 도 확인이 가능하다. 대부분 광학특성과 광학부호의 결정을 하기 위해 육안 작도라 부르는 방법을 사용하 며 그것은 복굴절인 보석을 헤미실린더에 놓고 180° 회전시키면서 굴절률 수치의 변화 를 관찰하는 것이다. (1) 육안 작도 육안 작도를 이용하여 7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육안 작도를 하기 위해서는 보석의 패싯이 평탄하고 잘 연마된 표면이 있어야 하고 굴절률 수치가 선명하게 보여야 한다. 육안 작도의 과정은 다음과 같.. 더보기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