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석 감정사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37. 기타 굴절률 측정법

728x90
반응형

37. 기타 굴절률 측정법

 

굴절계를 사용하여 굴절률을 측정할 수 없을 경우에 부득이하게는 다음과 같은 방법
으로 대략적인 굴절률을 추정한다.


(1) 직접 관찰법
1) 현미경에 보석을 고정시키기 전에 보석의 실제 깊이를 측정한다.

2) 현미경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엘리베이터 옆의 고정대에 [그림 3-51]와 같이 테
이블 게이지를 높은 수치가 위로 향하게하여 고정시킨다(이상적으로는 테이블 게이지
대신에 교정된 초점 조절기 또는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아이리스 조리개 또는 스톤 홀더에 페이스 업으로 보석을 놓는다.
4) 10배 확대하에서 보석의 테이블에 초점을 맞춘 후 테이블 게이지의 수치 중 한곳
을 정하여 ‘a’로 읽는다.
5) 같은 10배 확대하에서 현미경의 초점을 큐릿에 맞춰 테이블을 통해 본다. 이와 같
이 초점을 큐릿에 맞추게 되면, 현미경의 엘리베이터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된
부분의 수치는 ‘b’로 읽는다.
6) 테이블 게이지의 두 개의 눈금차 ‘a - b’가 겉보기 깊이에 해당한다.
7) 실제 깊이를 겉보기 깊이로 나눠 대략의 R.I.를 산출한다

직접 관찰법

(2) 벡케법
벡케법(becke method, 침액법)은 보석을 담금액(침적액) 속에 넣고 관찰하는 방법으
로 보석의 거들 윤곽과 담금액 경계에서 일어나는 빛의 굴절 현상으로 윤곽이 생기게 되
는데 이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굴절률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윤곽은 굴절률이 큰 매질로
광선이 굴절해 모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이를 벡케선(becke line)이라 하며 [그림
3-52]과 같이 벡케선이 선명할수록 두 매질의 굴절률 차이가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보
석과 담금액의 굴절률이 비슷하면 벡케선의 밝기가 흐려진다. 만일 담금액 속에 보석의
경계가 보이지 않을 경우는 보석과 담금액의 굴절률이 거의 같다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