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 감정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83. 화학기상증착(CVD)법 83. 화학기상증착(CVD)법 HPHT 합성 다이아몬드와는 달리 CVD 합성 다이아몬드는 훨씬 낮은 압력 하에서 생 성된다. 다이아몬드 성장 챔버(Chamber) 내에서 H2와 CH4의 가스 분자들은 화학 반 응기 속의 전자파로 인하여 생성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100만분의 1에서 1기압 사이 의 낮은 압력과 800∼1,000℃의 온도에서 확산과 대류에 의해 분리되어 다이아몬드 기 판 위에 증착되게 된다. 이러한 화학 반응은 분리된 가스가 층을 이루며 엷은 막으로 쌓 이게 하여 작고 납작한 사각형의 단결정으로 성장시키게 한다. 지금까지 생산된 최대의 CVD 합성 다이아몬드는 2014년도에 퓨어 그로운 다이아몬드에서 만든 3.04 캐럿의 다 이아몬드 원석이나, 최근 CVD 기술의 발달로 인해 향후 지속적으..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82. 고온고압(HPHT)법 82. 고온고압(HPHT)법 다이아몬드 합성에 대한 연구는 1800년도 이전에 시작되었지만, 1950년대가 되어 서 비로소 합성 다이아몬드를 생산하게 되었다. 최초의 합성 다이아몬드는 1953년 스 웨덴의 전기회사에서 생산되었으나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그 후 1954년 12월에 GE(General Electric)에서 합성 다이아몬드의 생산에 성공하였고, 2개월 뒤인 1955년 2월에 그 업적을 전 세계에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1958년에는 드비어스에서도 합성 다이아몬드 생산에 성공하였으며, 1988년에는 우리나라의 일진 다이아몬드에서도 합성 다이아몬드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처음으로 생산된 합성 다이아몬드는 황색의 매우 작은 결정이었으며, 대부분 공업용 으로 사용이 되었다. 결정의 크기가..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81. 수열법 81. 수열법 플럭스(flux) 성장 - 가열된 화학 물질 용액에 용해된 영양분들이 식어서 합성 결정으로 형성되는 방법 수열(hydrothermal)법 - 수용액에 용해된 영양분이 고온고압의 조건에서 합성 결정으로 형성 되는 방법 오토클레이브(autoclave) - 고온·고압 하에서 결정의 합성 및 화학처리를 하 는 내열, 내압성 용기 압전기(壓電氣, piezoelectricity) - 수정과 같은 결정판에 일정한 방향에서 압 력을 가하면 수정 결정의 양끝에 양전하와 음전하가 나타나는 현상 플레임 퓨전법의 내포물 특징 – 기포, 곡선, 커브된 색대(curved band) 플럭스법의 내포물 특징 – 위스피 베일상, 삼각형 또는 육각형의 백금 내포물, 고드름과 같은 거친 플럭스 내포물 수열법의 내포물 특징 ..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80. 플럭스법 80. 플럭스법 제조하려는 물질의 화학 성분을 백금 등과 같이 부식에 강하고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도가니에 넣고 거기에 다시 플럭스(flux : 융제, 融劑)라고 하는 물질을 추가시킨 다음 높은 온도에서 단결정을 성장시키는 방법을 플럭스법(flux method) 또는 융제 용융법 (融劑熔融法, flux-melt method)이라고 한다. 1930년대에 미국의 캐롤 채텀(Carroll Chatham)이 성장시킨 에메랄드가 플럭스법으 로 합성된 최초의 보석이었다. 오늘날은 에메랄드뿐만 아니라 루비, 사파이어, 알렉산 드라이트, 스피넬 등도 만들어진다. 채텀에 의해 플럭스법으로 만들어진 에메랄드는 베릴(Be3Al2Si6O18) 원료 물질로서 베릴의 결정 파편을 사용하는 대신 베릴을 구성하는 산 화염인 산화베릴..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79. 플로팅 존법 79. 플로팅 존법 플레임 퓨전(flame fusion) - 화염용융법 또는 베르누이법의 다른 말. 분말 상 태의 화학약품을 고온의 불꽃에 통과시켜 회전하는 받침대에 떨어뜨리는 합성 방법. 받침대는 천천히 내려가며 식혀지고 결정화 작용이 일어난다. 이 방법은 최초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둔 합성법이었다. 여전히 가장 일반적이고 가장 저렴 한 방법이다. 풀링(pulling) - 보석 합성의 한 방법으로, 영양분(원료)을 도가니에 녹인 다음 종자 결정을 그 용액에 담근 후 서서히 끌어 올린다. 이 때 끌어 올려지는 종자 결정 위에 보석 결정이 자란다. 스컬 멜트(skull melt) - 원료를 냉각 도가니 내에서 고주파를 이용해 용융시킨 후 냉각시켜 성장시키는 방법 플로팅 존(floating zone) - 회전..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78. 스컬 용융법 78. 스컬 용융법 스컬 용융법(skull melting method)은 결정성장시 도가니 내부는, 냉각 도가니에 의 한 열전도와 상부의 복사열에 의해 원료 물질 분말들이 얇은 크러스트(crust)를 생성하 여 자체 도가니 형태를 형성하므로 용융물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가니 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컬 용융법은 큐빅 지르코니아(C.Z., cubic zirconia)와 같은 고융점 산화물을 대량 성장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스컬’이란 용어는 합성된 잉곳(ingot)의 모양이 두개골(skull)과 유사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스컬 용융법을 이용한 큐빅 지르코니아의 합성은 고주파 코일이 감긴 가열장치 내에 동관으로 엮어진 냉각 도가니(cold crucible)를 넣고 동관을..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77. 초크랄스키 77. 초크랄스키 초크랄스키법(Czochralski method)은 성장시키려는 물질을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도 가니에 넣고 가열하여 완전히 용액 상태로 만든 다음, 종자를 용액 표면에 닿게 하여 서 서히 회전시키면서 끌어올리는 결정 성장법으로서 1917년에 초크랄스키에 의해 개발되 었다. 풀링법(pulling method) 또는 결정인상법(結晶引上法, crystal pulling method) 이라고도 불리는 이 방법은 용융점이 높고 광학적으로 순수한 결정을 성장시키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된다 레이저 발생용으로 사용되는 커런덤 결정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도가니 속에 알루 미나 분말을 넣고 고주파를 이용하여 가열시킨다. 도가니 속의 온도를 알루미나의 용융 점보다 약간 높게 유지한 후, 합성 또는 천연 커런..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76. 플레임 퓨전법 76. 플레임 퓨전법 천연보석과 합성석의 식별 - 합성 유색석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알고 있 으면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만들어진 합성석들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내포 물은 결정의 성장과정을 반영하기 때문에 이를 잘 관찰하면 천연과 합성을 구 분하는데 도움이 된다. 천연보석은 합성석보다 더 다양하고 많은 내포물을 가진 다. 내포물로 단상의 기포, 곡선이 발견이 된다면 그 보석이 합성이라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대부분의 천연보석에서는 기포가 단독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이상, 또는 삼상 내포물의 한 부분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플라토 라인(Plato line) - 기포는 물론이고 곡선상의 성장선도 발견할 수 없는 플레임 퓨전법으로 성장된 합성 커런덤을 감별하는 방법으로서, 독일의 플라토 (W. Plato..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