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장. 상담 : 생활지도의 중추적 활동
1. 생활지도 ․ 상담, 그리고 심리치료는 전혀 별개의 것이라기보다는 성격과 정도가 조금씩 다른 다양한 문제들 내에서 서로 중첩되는 그러나 구분 가능한 활동이다.
2. 상담은 일상적인 대인관계와는 다른 독특한 특징을 지닌 교육적인 인간관계이고,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상담자와 내담자는 서로 협조해 나가며, 현실적인 문제의 일시적인 해결이나 구체적인 행동의 변화 그 자체를 목표로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궁극적으로 내담자가 성장하고 발달해 나갈 수 있는 힘을 길러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3. 상담이론은 인간을 이해하고 변화시켜 나가는 것과 관련된 하나의 가설이다. 이러한 상담이론은 인간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관점에 따라, 또는 초점을 맞추고 있는 문제의 영역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4.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인간행동의 원인의 대부분은 무의식에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심리적으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다루기 위하여 무의식 속에 억압되어 있는 욕구 ․ 갈등 ․ 충동을 의식의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결과적으로 의식적인 기능인 자아의 힘을 강화시킴으로써 성격을 재구성하려고 한다.
5. 행동수정은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으로서, 객관적으로 관찰 ․ 측정할 수 있는 행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상담의 효율성과 성과 및 진전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상담방법이다. 행동수정의 목표는 부적응 행동을 소거시키고, 보다 바람직한 행동을 새롭게 학습시키는 것이다.
6. 인간중심상담이론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고 스스로 해결해 갈 수 있는 잠재능력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인간중심상담이론에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해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만 하면 된다고 가정한다. 상담의 목적은 내담자가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이 되도록 하는데 있다.
7. 인지상담에서는 인간의 정서 ․ 행동 ․ 사고 중에서 사고가 인간의 행동과 감정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본다. 즉 인간이 부적응적 정서나 행동을 나타내 보이는 것도 사고때문이며, 인간의 부적응적 정서나 행동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는 것도 사고를 변화시킴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담의 목표는 왜곡된 지각과 비합리적인 신념을 합리적이고 현실적이며, 또한 논리적이고 융통성 있는 신념과 사고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8. 상담의 가장 기초적인 원리는 상담자가 내담자와 상담관계를 잘 형성하는 것이다. 수용 ․ 공감적 이해 ․ 일치는 특히 상담초기에 효율적인 상담관계를 형성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9. 상담은 의사소통과정을 통해 인간을 변화시키는 활동이다. 따라서 상담의 실천적 원리는 어떻게 대화하는 것이 내담자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경청 ․ 구체화 ․ 자아개방 ․ 즉시성, 그리고 직면은 상담장명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실천적 기법들이다.
10. 상담의 전개과정은 상담을 통하여 내담자의 문제를 정의하고,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는 행동을 실천하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공동노력의 내용에 따라 문제의 제시 및 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단계, 촉진적 상담관계의 형성단계, 상담목표의 수립단계, 가능한 해결방안의 탐색단계, 해결방안의 실천단계, 그리고 상담목표 달성의 평가와 종결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인간과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교육사, 교육학, 복지, 방통대 등 인간과교육 요점 정리 8. 실천적 교육활동으로서의 생활지도 (0) | 2022.10.24 |
---|---|
평생교육사, 교육학, 복지, 방통대 등 인간과교육 요점 정리 7. 인간 :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존재 (0) | 2022.10.23 |
평생교육사, 교육학, 복지, 방통대 등 인간과교육 요점 정리 6.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교육 (0) | 2022.10.22 |
평생교육사, 교육학, 복지, 방통대 등 인간과교육 요점 정리 5. 개성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교육 (0) | 2022.10.22 |
평생교육사, 교육학, 복지, 방통대 등 인간과교육 요점 정리 4. 생각하는 지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교육 (0) | 2022.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