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제6장. 행동주의 학습이론
1. 학습이란?
① 행동에 변화를 초래하는 과정이다.
② 경험 또는 연습의 결과로 인한 행동의 변화이다.
③ 행동의 변화는 비교적 영속적이어야 한다.
2. 행동주의 학습이론
- 어떤 것을 배워서 <행동>상의 변화가 나타난 것을 학습이라고 본다.
- 학자 : 파블로프, 숀다이크, 스키너
- 기본가정 : ① 인간의 적응적인 행동, 부적응적인 행동은 모두 학습된 것이다.
② 인간행동의 원인은 우리내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깥세상에 있다.
③ 인간의 행동은 그 행동이 나타난 맥락 속에서만 의미를 가진다.
3. 수동조건(고전적조건)형성 ⇨ 파블로프
형성의 과정 | 1단계(조건형성 전) : 종소리(중성자극) ---------------> 정위반응 고기(무조건자극) --------------> 타액분비(무조건반응) 2단계(조건형성 중) : 종소리+고기(짝짓기) ------------> 타액분비(무조건반응) 3단계(조건형성 후) : 종소리(조건자극) ---------------> 타액분비(조건반응) |
주요 개념 | ① 자극일반화 : 서로 다른 자극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자극으로 인식하는 것. ② 자극변별 : 서로 다른 자극을 구별할 줄 아는 것. ③ 고차적 조건형성 : 조건자극이 일단 조건반응을 유발하게 된 후, 그 조건자극은 다른 제2의 자극과 짝지어질 수 있다. 이 제2의 자극은 무조건 자극과 짝지어진 적은 없지만 조건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④ 소거 : 유기체가 이전에 학습했던 행동이 사라지는 것. ⑤ 자발적회복 : 유기체가 이전에 학습했던 행동을 스스로 회복 하는 것. ⑥ 재조건형성 : 다시 조건형성을 시키면 예전의 그 행동을 다시 할 수 있다. |
예 | - 인간의 무의식적, 불수의적, 무의도적 정서적 반응 - 좀 더 강력하고 엉뚱한 정서적 반응(공포증) - 광고 |
4. 작동조건(도구적조건)형성 ⇨ 숀다이크의 <학습의 법칙>, 스키너의 <강화이론>
※ 수동조건형성(자극 → 반응), 작동조건형성(반응 → 자극) ➡ 157쪽 표6-3 참고
숀다이크의 <학습의 법칙> |
① 연습의 법칙 : 행동은 단 한번에 학습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 반복한 결과 습득되는 것이다. ② 효과의 법칙 : 어떤 행동의 학습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행동의 결과 뒤따르는 보상이 있어야 한다. ③ 준비성의 법칙 : 학습할 준비가 갖추어져 있을 때 학습이 일어난다. |
스키너의 <강화이론> |
❶ 강화란? 특정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모든 것을 말한다. 벌이란? 특정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것을 말한다. ❷ 정적강화 : 특정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좋아하고 즐거워할 것을 제공해주는 것 (정적강화물 - 상, 칭찬, 미소, 돈 등) 부적강화 : 특정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싫어하고 불쾌해 할 것을 감해 주는 것 (부적강화물 - 야단, 욕, 회초리, 숙제, 전기충격 등) ❸ 계속적강화 : 행동을 학습하는 초기단계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육성시키고자 하는 행동을 할 때마다 강화를 주는 것. 간헐적강화 : 학습된 행동을 유지시키는 데 매우 효과가 큰 강화방법으로, 육성시키고자 하는 행동에 대해 가끔씩만 강화하는 것. ❹ 강화계획 - 고정비율계획 : 일정한 반응수에 따른 예측가능한 강화 (10개의 반응마다 강화) - 고정간격계획 : 일정한 시간간격에 따른 예측가능한 강화 (월급) - 변동비율계획 : 불규칙적 반응수에 따른 예상할 수 없는 강화 (도박) - 변동간격계획 : 불규칙적 시간간격에 따른 예상할 수 없는 강화 (낚시) |
5. 관찰학습 (반두라)
- 관찰학습이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모방의 효과 | ① 타인이 하는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반응을 학습할 수 있다. ②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어떤 특수한 행위를 억제하거나 피하게 되는 수가 있다. ③ 모방은 행동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
관찰학습의 종류 | ❶ 직접모방 : 학습자가 모델의 행위를 관찰하고 모델이 한 행동을 그대로 시행함으로써 보상 받는다. ❷ 동일시 : 관찰자가 모델의 비수단적인 독특한 행동유형을 습득하는 것이다. ❸ 무시행학습 : 행동을 예행해 볼 기회가 없거나 모방에 대한 강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관찰자가 학습을 하는 것이다. ❹ 동시학습 : 관찰자의 행동과 같은 행동을 하는 모델이 있을 때 행동이 촉진되는 현상이다. ❺ 고전적 대리 조건형성 : 타인이 정서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관찰하고 그와 비슷한 정서적 반응을 학습하는 것이다. |
관찰학습의 과정 | 1. 주의집중 단계 : 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에 주의를 기울인다. 2. 파지 단계 : 기억한다. 3. 재생 단계 : 관찰된 것이 수행으로 번역된다. 4. 동기화 단계 : 행동을 형성하고 유지한다. |
※ 프리맥의 원리 : 일어날 확률이 높은 행동은 일어날 확률이 낮은 행동에 대해 정적 강화물이 될 수 있다.
(예: 많이 놀고(확률이 높은 행동) 적게 공부하는(확률이 낮은 행동) 아동에게 공부하는 행동을 길러주기 위해서 ~~
10분간 공부하고 난 후에는 15~20분간 놀게 해주면 공부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8. 수업과 교수이론 (0) | 2022.10.05 |
---|---|
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7. 인지주의 학습이론 (0) | 2022.10.04 |
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5.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발달 (0) | 2022.10.03 |
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4. 학습자의 지적 특성과 발달 (0) | 2022.10.03 |
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3. 인간발달의 과정과 원리 (1)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