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12. 평가의 도구
제12장. 평가의 도구 ※ 표준화 심리검사란? - 표준화된 조건하에서 피검사자들의 심리적 특성들을 측정하기 위한 관찰수단이나 도구를 말한다. - 표준화란? 검사 실시 상황이나 조건 및 검사의 내용과 자극을 모든 피검사자들에게 동일하게 함으로써, 검사결과의 상대적 비교를 보다 타당하게 하도록 하는 규준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지적영역의 검사 1) 학력검사 : 교사가 출제하는 학급별고사, 학업성취에 대한 진단용 검사들은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전국학력평가(모의고사나 수학능력고사 등)는 표준화되어 있다. 2) 지능검사 : ① 개인용 - 비네(학업부진아 판별을 위해 개발), 터만(표준화) ➜ 비율IQ, 언어성검사 - 웩슬러 ➜ 편차IQ, 언어성검사+동작성검사 언어성검사 :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이..
더보기
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5.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발달
제5장.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발달 1. 동기의 본질 - 동기란, 유기체의 행동을 활성화시키며,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개체의 특징이다. - 동기는 욕구(무언가를 필요로 하는 마음)와 추동(마음을 행동으로 나타나게끔 만들어주는 힘)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안 - 기본적인 욕구는 보편적이고, 생존에 필요하고, 유기체에 내재 된 동기이다. - 불안과 학습의 관계 : 함수관계를 가진다. ⇨ 교재 102쪽 그림 참고. - 일반적으로 불안수준이 너무 낮거나 높으면 성취도가 떨어지며, 적절한 불안수준일 때 높은 성취를 나타낸다. - 하지만 과제의 성격에 따라 약간 다른 경향을 보이는데~ 쉬운 과제의 경우, 불안수준이 높을 때 높은 성취를 나타내고, 어려운 과제의 경우, 불안수준이 낮을 때 높은 성취를 나타낸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