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교육심리학

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4. 학습자의 지적 특성과 발달 제4장. 학습자의 지적 특성과 발달 지능의 의미 - 비네 : 잘 판단하고, 이해하고, 추리하는 일반 능력 - 터만 :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 - 웩슬러 : 유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개인의 종합적인 능력 - 스피어만 : 일반요인과 특수요인으로 구성 - 카텔 :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 길포드 : 120개의 요소로 구성된 복합설 - 피아제 :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그 무엇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 또는 조작으로 간주. 지능의 측정 - 비네 : 20세기 초, 프랑스의 비네가 학교에서 를 가려내고자 함. - 터만 : 비네검사를 근거로하여, 미국에서 터만이 지능검사를 표준화 함. 비율IQ = 정신연령(MA) ÷ 생활연령(CA) × 100 - 편차IQ 도입 :.. 더보기
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3. 인간발달의 과정과 원리 제3장. 인간발달의 과정과 원리 1. 인간발달의 과정 성숙에 의한 행동의 발생 - 동물의 본능적인 행동은 어떤 특정한 성숙의 시점에서 나타난다(로렌츠의 “각인현상”) - 유기체는 어느 특정시기까지 성숙하게 되면 특정한 행동을 하게 된다. - 연구 : 카마이클의 “올챙이 연구”, 데니스와 데니스의 “호피인디언 연구” 초기학습에 의한 행동의 발달 - 출생 후의 학습경험도 성숙 요인과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면서 행동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 초기학습이 장차의 학습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어떤 것들은 초기에 반드시 학습되어야 한다. - 연구 : 할로우의 “원숭이 연구”, 보울비의 “비행자 연구” 상호작용설 - 인간의 발달은 자연적인 성숙과 초기 학습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2.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쌍둥이 .. 더보기
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2. 교육과 심리의 학문적 접근 제2장. 교육과 심리의 학문적 접근 1. 교육의 개념 - 敎(가르치다):지식,기술 등 - 育(기르다):태도,품성 등 - 교육의 정의 종합(이영덕) ① 전수를 강조 ➡ 교육이란 문화, 가치, 지식, 기술, 태도 등의 가치있는 것을 전수해 주는 것. ② 자아실현을 강조 ➡ 교육이란 인간의 성장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신장시키도록 돕는 일. 적성, 소질, 동기, 정서, 성격 등을 중시. ③ 인간행동의 변화를 강조 ➡ 의도성과 계획성을 강조, 강한 교육력의 필요성이 중시. - 인간문제와 교육 ①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 인간은 누구이며, 어디에 있는가? 하는 질문과 관련. (생리학, 심리학분야) ② 인간은 어떤 존재가 되어야만 하는가? ➡ 와 관련(철학, 정치학,경제학,사회학,심리학 등의 분야) ③ 인간은 어떻.. 더보기
심리학, 가정학과, 임상심리사 등 도움이 되는 교육심리학 요점 요약 정리 1. 인간의 이해 제1장. 인간의 이해 성악설 순자, 고대히브리인, 중세 기독교사상(원죄설) 성 아우구스틴, 루터, 칼빈 등 - 인간은 본질적으로 악한 존재다. 엄격한 훈육을 강조함, 처벌도 필요하다. - 교육적 시사점 ➡ 악한 존재인 인간을 올바르게 인도하기 위한 활동. 성선설 맹자, 루소 -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한 존재다. 인간이 악한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경우는 환경이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 교육적 시사점 ➡ 인간의 선한 마음이 발현될 수 있도록 조력하는 활동. 인도주의적 교육발전에 공헌. 백지설 고자, 로크 -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악의 평가가 가능하지 않은 백지와 같은 존재이다. - 인간은 환경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이며, - 어떤 환경에서 성장하고 발달하느냐에 따라 인간형성이 결정된다. - 교육적 시사점..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