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사회학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7. 현상학과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728x90
반응형

7. 현상학과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1. 미시적 접근 이론

 

1) 미시적 접근
- 미시적 접근은 사회란 개인들의 합에 불과한 것으로 사회현상을 분석할 때 분석의 대상을
구성원 개인에게 둔다.
- 미시적 접근의 이론들은 개인의 본질 또는 특성이 그들이 속한 사회의 기초를 형성한다고
본다.
① 인간의 의지를 중요시함.
② 사회적인 삶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이고 복잡한 현상의 서술에 관심이 있음.
③ 참여자의 해석이나 주관적 의미에 중점을 두고 연구.
④ 행위자의 문화로부터 만들어내는 ‘의미’를 중요시함.

 

2) 해석학적 패러다임
- 사회를 개인의 상호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여김.
- 개인은 사회를 구성하는 존재로 개인 간의 행동을 해석할 수 있는 ‘이해하는 과정’이 요구됨.
→ 미시적 관점은 해석학적 철학에 기초하여 사회 안에서 개인 간의 행동과 개인의 가치, 믿음,
행동에 의해 어떻게 질서를 갖추어 가는가에 관심이 있다.

 

3) 규범적·해석학적 패러다임의 비교

규범적 패러다임 해석학적 패러다임
거시적 관점 미시적 관점
교육과 사회관계에 대한 연구 교육내적 과정에 대한 연구
연역적 접근 귀납적 접근
양적연구 질적연구
비주체적 주체적
사회현상에 대한 과학적 접근 사회현상에 대한 변증법적 접근
인간행위의 규칙 지배성을 전제함 인간행위의 상호관계성을 전제함

 

 

2. 현상학의 개념

 

1) 현상학의 개념
① 1920년대 후설(Husserl)에 의해 소개
② 과학과 철학은 본질적 차이가 있다는 점을 들어 모든 유형의 자연주의와 과학주의에 반대하고
철학적 방법으로 현상학 주장
③ 현실을 선입견 없이 자연스럽고 순수하게 관찰하는 방법 또는 사실 그 자체를 직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요청.
④ 교육적 대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참여자의 의식세계를 통해 본질세계를 들여다보고자 함
⑤지금까지 자명하다고 받아들인 세계를 흔들어 재음미해 보고자 함

 

2) 현상학의 교육학적 연구
▷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행위들과 사회적 힘의 숨겨진 역동관계를 밝히려 함
① 학교지식의 성격은 무엇인가?
② 학교에서 다루어지는 지식은 누구에 의해 선정 조직되는가?
③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성공과 실패의 의미, 좋은 학생과 나쁜 학생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④ 아동들은 어떤 경로를 통해 현재의 계층체제를 영속화시키는 기능적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하는가?
⑤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학생의 성장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상징적 상호작용의 개념

 

1) 상징적 상호작용의 개념
- 미드(Mead)에 의해 처음 시작되고 그의 제자 브루머(Blumer)에 의해 체계화
- 인간은 상대의 행동에 단순히 반응하는 대신 상대방의 행동을 정의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상징을 통해 독특한 상호작용 하게 되는데 이때의 상호작용을 일컫는 말

 

2) 상징적 상호작용론자들의 주장
- 인간은 주어진 상황과 자신 및 자신과 상호작용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행위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주장
- 사회질서란 상호작용하는 개인들 사이에서 주고받는 말과 행동의 의미를 개인들이 어떻게
해석하며, 해석에 따라 어떻게 다음 행동을 하는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 ‘인간은 주어진 상황을 주관적으로 규정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자기의 세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행동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3) 상징적 상호작용의 특징(Manis & Meltzer)
(1) 개인의 자아의식 형성은 사회에서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각 개인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상황에서 접하는 타인의 눈을 통해서 자신을 알게 된다〔거울에 비친 자아(영상자아)〕.
(2) 우리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미를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주어진 의미를 중심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을 조직하게 된다.
(3) 사회관계는 상호작용 관계에 있는 쌍방이 각각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상대방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예견하고 상호 용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황을 정의하며, 쌍방이 수용할 수
있는 행동의 한계를 설정해 준다.
(4) 사회를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 관계로 봄으로써 사회를 정태적인, 불변하는 구조적 측면을
중시하는 기능주의 이론과 달리 사회의 과정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4) 의사소통과 사고(mind)
(1) 의사소통
- 몸짓 : 반응을 유발하는 사회적 행동의 시작이며 사회적 상징으로 형성
- 언어 : 소리가 특정 의미를 지닌다고 의견일치를 보일 때 말이 되며 타자의 반응을 유발하는
사회적 의사소통
(2) 사고
- 타자의 역할을 취해볼 수 있는 능력, 즉 타자의 반응을 해석· 조정하는 능력

 

5) 자아와 상호작용
(1) 자아
- 태어날 때는 없지만 사회적 경험과 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면서 발전하는
것으로 사회적으로 구성됨
(2) 자아의 사회적 발현은 언어, 놀이, 게임 활동을 통해 구성
- 언어 : 상징을 사용하는 의사소통으로 언어는 사고에 필요한 메커니즘
- 놀이 : 특별한 타자가 되게 하는 과정
- 게임 : 일반화되고 조직화된 규범을 이해하는 '일반화된 타자‘로 타자의 입장에서 자신을 볼 수
있게 만드는 자아를 형성하는 과정
(3) ‘자아’에 대한 정리
- 자아는 대상이 아닌, 행위의 주체인 ‘나’를 뜻한다.
- 타인과 상호작용하면서 발달하고 변화될 수 있다.
- 자신을 타인의 위치에 놓아보기도 하고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감지하면서 자아를
형성해 간다.

 

6) 사회와 상호작용
- 사회는 개인의 상호과정에서 구성된다.
- 자아는 타인이 하고 있는 일을 자신에게 지시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 과정을 통해 사회가
조직된다.
- 구성원이 공통으로 반응하는 ‘일반화된 사회적 태도’가 사회조직이 되며 자아통제가 곧
사회통제가 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