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기능이론의 교육관
1. 기능이론의 교육관과 학교교육의 기능
1) 기능이론의 교육에 대한 기본관점
(1) 기능이론은 교육과 사회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파악하고 교육의 순기능을 강조한다.
(2) 교육은 사회를 유지하기 위하여 문화유산 전달기능, 사회 통합기능, 사회이동 및 선발기능,
사회충원기능 등에 기여 한다.
2) 기능이론의 학교교육의 기능
(1) 사회화
- 새로운 세대에게 기존사회의 문화를 내면화하고 적절한 사회적 행동 을 하도록 사회의 가치 및
규범, 생활양식을 습득하게 하는 것
① Durkheim의 학교교육의 사회적 기능
- 보편적 사회화 : 한 사회가 갖는 공통의 감성과 신념을 다음 세대에 내면화시키는 것.
- 특수사회화 : 사회유지를 위해 특수한 직업 집단이 요구하는 전문지식, 도덕적 특성, 규범 등을
함양하는 것
② Parsons의 사회화
- 역할사회화 강조 : 어떤 역할에 필요한 규범과 가치, 태도 등을 사회화 하는 것.
③ Dreeben의 사회화 : 학교는 사회적 규범을 전수하는 곳
▸독립의 규범 : 자신의 행동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성취의 규범 : 최선을 다해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는 가치관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보편성의 규범 : 같은 학습내용과 과제를 공유함으로써 형성된다.
▸특정성의 규범 : 학년이 올라가면서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분야의 교육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며 특정성의 규범을 학습하게 된다.
(2) 선발 및 배치기능
① 기회균등 : 인종 간, 계층 간, 지역 간의 차이 없이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사회적 성취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② 업적주의 : 각자의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기회를 균등하게 주고 개인의 업적과
능력에 따라 사회 역할의 지위를 부여하는 것.
3) 기능론적 교육관의 한계점
① 기회균등과 업적주의 관점을 갖고 있지만 모두 동일한 출발선에서 교육을 받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간과 하고 있다.
② 사회화 못지않게 중요한 다양성, 개성, 자유, 학습의 기쁨의 향유 등은 과소평가 했다.
③ 특정한 시기에만 사회화가 일어난다는 수동적인 아동관 을 갖고 있다.
④ 학교교육을 사회의 영향 속에서 움직일 수밖에 없는 종속변수로 취급한다(학교는 사회의
안정과 질서유지, 결속을 위해 기여할 수 있도록 기능해야 한다고 주장).
2. 기술기능주의
① Clark은 학교제도와 직업세계가 상호 간에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산업사회를 지탱하는 핵심장치로 직종 수준에 알맞게 학교제도가 발달하였다고 주장.
② Collins는 산업사회에서 직업이 요구하는 기술조건이 과학기술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높아지기 때문에, 학교교육은 기술수준이 높아지는 직업에 필요한 전문기술과 일반능력을
훈련시킨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취업을 위한 교육의 요구수준은 점점 높아지고 더 많은 사람이
오랜 기간 동안 학교 교육을 받게 된다.
③ 기술기능주의 이론의 한계
- 학력 인플레이션의 상황에 대해 적절한 설명을 못한다.
- 학력과 직업세계가 구조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 학교교육은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 능력을 제대로 전수하지 못하고 있다.
3. 인간자본론
▷ 인간자본론은 Schultz에 의해 체계화됨
① 좋은 교육을 받은 자가 좋은 직업을 갖는다.
② 미래의 높은 소득을 위해 현재의 소득을 희생한다.
▸교육에 대한 투자는 인간자본의 질과 경제적 생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노동임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러한 가정으로 인해 인간자본론은 국가의 경제성장과 개인의 소득향상에 교육이 기여하며
결국은 교육이 사회발전의 동인이라고 간주한다.
▷ 인간자본론의 교육과 소득의 관계
교육수준 → 생산수준 → 소득수준 → 지위수준
▷ 인간자본론의 한계
- 교육수준과 생산수준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
- 학력 인플레이션의 대두.
- 고용주가 노동자 선발과정 시 대부분의 정보를 교육수준에 의존한다.
- 교육수준과 임금수준의 차이는 시장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개인의 임금수준은
인간자본에 의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노동시장의 분단구조가 중요 요인이다(기업의 규모,
고용상, 배치상, 승진과 임금의 성적차별).
▷ 기능이론이 주장하는 학교교육의 목적 : 본질적으로 기존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적응하기 위한
사회화, 즉 사회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태도, 가치 , 규범 등을 다음 세대에 전수하는데
있다(Bennett & LeCompte, 1990).
① 교육은 지적목적을 추구한다. 인지적 지식은 물론, 종합하거나 평가하는 탐구능력도
습득시킨다. 사회를 유지 존속시키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② 교육은 사회통합을 위한 정치적 목적을 추구한다. 정치, 역사, 위인의 생애를 가르쳐 후세들이
기존의 정치적 질서에 적절히 참여하고 사회통합에 이바지 하도록 한다.
③ 교육은 경제적 목적을 추구한다. 개인의 직업준비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국가나 경제에 필요한
노동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도 훈련시킨다.
④ 교육은 사회적 목적을 추구한다. 교육은 개인을 특정사회에 걸 맞는 사회적 존재로 만들거나
특정 사회적 역할을 습득시키는 과정이다.
※ 참고자료 - KDI ‘세대간 경제적 이동성의 현황과 전망’보고서 -
▷ 교육이 부자(부자)간 경제력 대물림에 미치는 비중
월평균 임금 | 48.2% |
월평균 소득 | 43.2% |
가구 연소득 | 46.9% |
가구 순자산 | 24.5% |
-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09년 12월 29일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의 현황과 전망’보고서를 통해
교육이 부자(父子)간 경제력 대물림에 미치는 비중이 50%에 달하여 교육으로 인해 부의 대물림이
더 심화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 이와 같은 결과를 기능이론의 교육관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 소득별 도시가구의 학원비 지출액(월평균, 단위:원)
연도 | 하위 20% 가구 | 상위 20% 가구 |
2003년 | 3만 7221 | 19만444 |
2004년 | 3만7197 | 21만7751 |
2005년 | 4만478 | 23만4040 |
2006년 | 3만8977 | 25만2194 |
2007년 | 4만8322 | 25만3318 |
2008년 | 5만5 | 31만3206 |
2009년 | 4만2715 | 33만2511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7. 현상학과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0) | 2022.07.30 |
---|---|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6. 갈등이론의 사회관과 교육관 (0) | 2022.07.29 |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4. 교육사회학의 연구방법/기능이론 (0) | 2022.07.28 |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3. 교육사회학의 개념 및 발달과정과 학문적 성격 (0) | 2022.07.27 |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2. 교육의 개념 및 목적과 기능 (0) | 2022.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