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익금과 익금불산입
1. 과세소득에 대한 학설
- 순자산증가설과 소득원천설

* 현재규정에 의하면 특별손익은 영업외수익/비용에 포함됨
2. 과세소득에 대한 규정방식
- 포괄주의와 열거주의

3. 익금항목
* 익금의 개념
- 기업회계상 수익에 대응하는 개념
- 법인세법상 개념: 순자산증가설에 따라 순자산증가액을 익금으로 보되, 자본의 납입과
법인세법에서 익금불산입으로 규정한 것을 제외함.
* 기업회계상 수익은 여러 가지로 구분(매출, 영업외수익, 특별이익)하나,
법인세법의 익금은 구분이 없음
익금 = 순자산증가액 - 자본금의 증가액 - 익금불산입 |
※ 법인세법 : 순자산증가설. 모든 순자산증가액이 과세대상.
법인세법에 사업수익으로 열거되지 아니한 소득에서 발생한 소득도
익금불산입이 아닌 한 익금항목. 포괄주의
▶ 법인세법에 규정된 익금항목
익금항목 |
① 사업수입금액 ② 자산의 양도금액 ③ 자산의 임대료 ④ 자산수증익과 채무면제익 ⑤ 손금에 산입된 금액 중 환입된 금액 ⑥ 보험업법 기타 법륭에 의한 고정자산 평가차익 ⑦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자본거래에 의하여 분여받은 이익 ⑧ 특수관계자인 개인으로부터의 유가증권 저가매입액에 따른 이익 ⑨ 동업기업으로부터 배분받은 소득금액 ⑩ 이익처분에 의하지 아니하고 손금으로 계상된 적립금액 ⑪ 간접외국납부세액 ⑫ 간주임대료 ⑬ 의제배당 ⑬ 기타수익 |
3.1 사업수입금액: 매출액
기업회계 | 법인세법 | 세무조정 |
I/S, 매출액(수익) | 익금 | -(불필요) |
1) 매출에누리: 다량구매 -> 매출액에서 직접 차감
2) 매출할인: 조기회수-> 매출액에서 직접 차감
3.2 자산의 양도금액: 재고자산 이외의 자산을 양도한 경우 그 양도금액
<기업회계기준> 양도금액과 장부가액의 차액만 처분이익(손실)로 계상
<법인세법>
▶ 자산의 양도금액 : 전액 익금 산입 ▶ 양도자산의 장부가액 : 전액 손금 산입

※ 기업회계기준에 의하여 처분손익을 계상한 경우에도 세무조정은 불필요
※ 자기주식처분손익
o 의의 : 발행회사가 자기회사의 주식을 매입 또는 증여에 의한 취득을 하여
소각하지 않고 보유하는 주식
o 기업회계기준상 자기주식을 자본조정으로 분류하여 자본에서 차감하도록 규정
<유의사항> 자기주식처분손익/소각손익의 처리: p.206의 표
구 분 | 기업회계기준 | 세법 | 세무조정 | |
처분 | 처분익 | 자본잉여금→ 기타자본잉여금 | 익금 ○ | 익금산입 |
처분손 | 우선 처분익과 상계후, 자본조정계정 | 손금 ○ | 손금산입 | |
소각 | 소각익 | 자본잉여금→자기주식소각익 | 익금불산입 (익금×) |
- |
소각손 | 우선 처분익과 상계후, 자본조정계정 | 손금불산입 (손금×) |
- |
▶ 자기주식의 회계처리 예

3.3 자산의 임대료: 기업회계상 영업외수익의 임대료

3.4 자산수증이익과 채무면제이익
(1) 의의:
(2) 처리:

3.5 (전기 이전에) 손금에 산입된 금액 중 (당기에) 환입된 금액
: 법인세법상 당해연도 이전에 손금에 산입된 금액이 당해연도에 환입된 경우

3.6 보험업법 기타 법률에 의한 고정자산의 평가차익
(1) 원칙 … 임의평가증의 금지
* 자산의 평가 * <기업회계> 원칙 : 취득원가 (역사적 원가) 예외 : 기업회계기준에 의한 시가평가(재고자산, 유가증권, 투자유가증권) <법인세법> 취득원가로 평가 (시가평가를 인정하지 않음.) |
(2) 예외 … 평가증의 허용
① 보험업법등 법률에 의하여 유형자산을 평가증한 경우: 임의평가차익을 익금으로 인정
* 유형자산 평가증에 대한 K-IFRS와 세법의 비교
3.7 특수관계자로부터 자본거래에 의하여 분여받은 이익: 부당행위계산부인
3.8 특수관계자인 개인으로부터의 유가증권 저가매입액
(1) 자산의 저가매입에 대한 세법의 입장
- 실제 매입가액을 취득가액으로 함
- 시가와 매입가액의 차이는 익금× (∵ 미실현이익, 양도시 과세됨)
⇔ (예외) 특수관계자인 개인으로부터의 유가증권 저가매입액 (∵ 상증세 회피수단)
(2) 적용요건
① 특수관계자인 개인이 거래상대방일 것(p.463)
② 유가증권을 저가로 매입한 경우일 것
※ 유가증권 이외의 토지․건물 등의 자산을 시가에 미달하게 매입하여도
이를 익금으로 보지 아니한다.
※ 시가미달매입액의 처리
o 매입시점에서 시가와의 차액을 익금으로 봄
익금산입액 → 유가증권 취득가액, 유가증권 양도시 → 손금산입

3.9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동업기업으로부터 배분받은 소득금액
3.10 이익처분에 의하지 아니하고 손금으로 계상된 적립금액
3.11 간접외국납부세액: 외국납부세액공제
3.12 과 13 간주임대료와 의제배당
3.14 기타수익
(1) 취지
o 법인세법은 포괄적인 소득개념에 따라 그 원천에 관계없이 모든 소득에 과세
o 순자산증가액은 익금불산입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는 한 모두 익금에 해당
o 이자수익․배당수익․국고보조금․공사부담금․보험차익․사채상환이익․손해배상금수입
등은 법인세법상 익금으로 예시되어 있지 않으나 순자산을 증가시켰고 익금불산입으로
열거되어 있지 않으므로 익금에 해당
(2) 주요 기타수익의 예시
1) 손해배상금
법인세법은 발생원인에 관계없이 모두 익금에 산입
기업회계 | 법인세법 | 세무조정 |
(차) 현 금 ×× (대) 잡이익 ×× | 익금 | 불필요 |
2) 국고보조금, 보험차익: 일시상각충당금에서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세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무부터 시험까지 세무회계의 모든 것이 정리된 핵심 요점 요약정리 6. 의제배당 (0) | 2022.03.23 |
---|---|
실무부터 시험까지 세무회계의 모든 것이 정리된 핵심 요점 요약정리 5. 간주임대료 (0) | 2022.03.22 |
실무부터 시험까지 세무회계의 모든 것이 정리된 핵심 요점 요약정리 4. 익금불산입 (0) | 2022.03.21 |
실무부터 시험까지 세무회계의 모든 것이 정리된 핵심 요점 요약정리 2. 법인세의 계산구조 (0) | 2022.03.09 |
세무회계의 모든 것이 정리된 핵심 요점 요약정리 1. 법인세의 개요 (0) | 2022.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