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권력의 원천
■ 개인 권력의 원천
1) 공식적 권력
■ 개인 직위에 근거함
- 합법적 권력(Legitimate power)
- 보상적 권력(Reward power)
- 강압적 권력(Coercive power)
- 정보적 권력(Information power)
(1) 합법적 권력(Legitimate power)
■ 공식적 직위, 업무할당, 사회적 규범 등에 기반을 둔 권력
- 직위 권한을 구성원들이 수용함으로써 형성됨
- 직무와 관련된 범위 내에서만 행사할 수 있으며, 조직을 떠나면 권력을 상실함
■ 부하들의 저항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침
- 정중하게 요구하라.
- 자신 있는 어조로 요구하라.
- 분명하게 요구하고, 이해 여부를 점검하라.
- 요구가 합법적인 것으로 보이게 하라.
- 요청의 이유를 설명하라.
- 적절한 경로를 따르라.
- 권한을 정기적으로 행사하라.
- 추종을 강조하고 그것이 이행되고 있는지 점검하라.
- 구성원들의 관심사에 반응을 보여라.
(2) 보상적 권력(Reward power)
■ 타인에게 보상해 줄 수 있는 자원과 능력에 기반을 둔 권력
- 재무 혹은 비재무적인 보상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다른 사람에 대한 권력을 가지게
됨
- 수단적 복종의 유발이 용이한 조건
■ 보상적 권력 형성을 위한 지침
- 부하들에 대한 평가 및 급여인상, 승진 등과 같은 보상 통제력을 확보하고 이를 유지하
라.
- 부하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보상하라.
- 직원에게 리더가 통제권을 지니고 있음을 알게 하고, 보상을 제공하는 기준을 구체적으
로 언급하라.
- 실제 제공할 수 없는 보상을 약속하면 안 되고, 약속된 보상을 반드시 지켜라.
- 보상을 이용하여 직원을 부당하게 대우하지 말라.
- 개인적 이익을 위하여 보상을 이용하지 말라.
(3) 강압적 권력(Coercive power)
■ 해고나 처벌, 위협 등 두려움에 기반을 둔 권력
⟹ 강압을 두려워하지 않는 경우에는 의미 없음
■ 강압적 방법에 대한 제안
- 구성원들에게 규율과 규율 위반 시의 벌칙에 대해 알려 주어라.
- 처벌은 즉각적이고 지속적으로 해라.
- 처벌하기 전에 충분히 경고하라.
- 견책이나 처벌을 내리기 전에 사실을 확인하라.
- 침착성을 유지하고 적대감의 표출을 피하라.
- 신뢰를 유지하라.
- 적절한 정도로 처벌하라.
- 경고와 처벌은 개인적으로 가하라.
(4) 정보적 권력(Information power)
■ 정보에 접근하거나 통제를 할 수 있는 것에 기반을 둔 권력
2) 비공식적(개인적) 권력
■ 개개인의 특성에 근거함
- 전문적 권력(Expert power)
- 준거적 권력(Referent power)
- 카리스마적 권력(Charismatic power)
(1) 전문적 권력(Expert power)
■ 전문지식, 특별한 기술과 지식
⟹ 기술 지향적 사회로의 변화로 사람들이 전문가에게 의지하게 되면서 발생함
■ 전문적 권력의 획득과 이용에 관한 지침
- 전문가로서 이미지를 증진하라.
- 신뢰성을 유지하라.
- 위기에 처했을 때 자신 있고 단호하게 행동하라.
- 계속 정보를 수집하라.
- 부하의 관심사를 파악하라.
- 부하들의 자존심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
(2) 준거적 권력(Referent power)
■ 호감 가는 재주나 개인적 특징을 지닌 사람들과 동일시하고 싶은 것에 근거한 권력
(3) 카리스마적 권력(Charismatic power)
■ 개인적 성격, 신체적 강인함, 다른 사람들이 그를 믿고 따르게 하는 기타 능력 등에 기반
을 둔 권력
⟹ 카리스마적 권력은 준거적 권력으로부터 확장된 개념임
3) 개인 권력에 대한 반응
■ 복종
- 보상적 권력, 강압적 권력
■ 분열화
- 강압적 권력
■ 내면화
■ 동일화
- 준거적 권력
4) 집단 권력
■ 부서 권력의 원천
- 어떤 집단이 다른 집단의 자원과 활동을 통제할 수 있음
(1) 자원 의존 모델(Resource-dependency model)
■ 한 부서의 권력은 다른 부서가 요청하는 자원을 통제할 수 있는 정도에 근거함
■ 가장 권력이 강한 부서는 가장 중요한 자원을 가장 많이 조달하는 부서임
■ 가치 있는 자원의 통제는 조직 권력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다른 부서의 활동까지 통제함
(2) 전략적 상황 모델(Strategic contingency model)
■ 다른 부서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에 근거함
- 불확실(uncertainty)한 상황의 통제 능력
- 조직에서의 구심점(centrality) 정도
- 활동의 대체 가능성(substitutable) 정도
'인간관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44. 갈등이란 (4) | 2024.10.03 |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43. 조직정치 (2) | 2024.09.29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41. 권력의 개념 (3) | 2024.09.21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40. 사이버상의 대인관계 (2) | 2024.09.20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39. 사이버 공간의 특성 (4)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