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공정성이론
1) 공정성이론 개요
■ 1960년 Adams에 의해 체계화됨
■ 사회적 비교이론 중 하나임
■ Festinger의 인지부조화이론을 동기유발과 연관시켜 공정성이론을 체계화함
■ 전제
- 조직구성원은 직무와 조직에 공헌한 투입과 거기에서 얻은 산출의 관계를 인식함
■ 자신의 산출/투입의 비율이 타인, 특히 준거집단이나 준거인물과 비교하여 비율의 형평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동기유발 된다고 주장
2) 공정성이론의 개념
■ 투입과 산출의 예
(1) 공정성이론의 조절변수
■ 성
- 여성은 동성을 비교의 대상으로 선호함
■ 근무 기간
- 근무 기간이 긴 사람은 동료에게 더욱 의존함
■ 조직에서의 지위계층
- 고위층일수록 조직 내 사람들의 정보를 잘 알기 때문에 외부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함
■ 교육 정도가 높은 상위층
-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외부의 다른 사람들과 더욱 비교함
(2) 불공정에 대한 대응
■ 본인의 투입 및 산출의 변경
■ 준거대상의 투입 및 산출 변화 유도
■ 투입 및 산출의 왜곡(인지적 왜곡)
■ 준거대상 변경
■ 장 이탈
3) 공정성이론의 특징
■ 사회적 비교이론
■ 많은 실증적 연구를 뒷받침함
■ 구성원의 동기수준은 절대적 보상보다 상대적 보상에 더 큰 영향을 받음
■ 불공정성을 지각하면 공정성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함
⇒ 회복방식은 과다 보상과 과소 보상에서 차이가 남
4) 공정성이론의 비판
■ 비교대상 선정의 어려움
⇒ 사람들이 준거 대상을 어떻게 선택하는가에 대한 설명이 미비함
■ 공정성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투입과 산출요인의 정의가 주관적임
⇒ 어떤 사람은 투입을 시간과 노력으로, 어떤 사람은 교육 정도·지적 능력으로
생각할 수 있음
■ 투입과 산출을 구성하는 각 항목의 가중치의 조합 방식 문제
5) 조직 공정성(Organizational Justice)
(1) 조직공정성의 개념
■ 공정성의 지각
(2) 조직공정성의 종류
■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이 있음
■ 분배 공정성
- 의사결정 결과의 공정성
■ 절차 공정성
- 의사결정에 사용된 규칙과 절차에 대해 지각된 공정성
■ 상호작용 공정성
- 대인관계 공정성
∘ 개인이 존중 받는 정도
∘ 사람을 대하는 적절성
- 정보 공정성
∘ 개인이 받는 정보가 얼마나 시의성, 구체성, 진실성을 지니는가?
(3) 조직공정성의 예
■ 학점불만
- 대학생들은 대부분 학점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임
- 우리는 자신이 높은 평가를 받았을 때 공정하다고 말하고 낮은 평가를 받았을 때 불쾌감을 느낀 경험이 있음
- 때로는 결과에 불공정성을 느끼지만 절차의 공정성으로 그것을 해소한 경험도 있을 것임
■ 분배공정성은 의사결정에 이르는 과정이 얼마나 공정하였는가 즉 절차공정성의 영향을 받음
'인간관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28. 인지평가이론 (2) | 2024.09.07 |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27. 목표설정이론 (2) | 2024.09.06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25. 기대이론 (6) | 2024.09.04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24. 직무특성이론 (3) | 2024.09.03 |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23. 2요인이론 (4) | 202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