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론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27. 목표설정이론

728x90
반응형

27. 목표설정이론

 

1) 목표설정이론의 개요


1968년 A. Locke이 제시
■  많은 선행연구에서 타당성이 검증됨
■  목표달성의도가 동기부여의 원천이 됨
■  기본전제
- 설정된 목표가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과정을 이해함


2) 목표설정이론의 개념 모델


■  자신을 둘러싼 환경 가운데서 발생하는 사건을 지각하고 평가하며 발생한 사건을
인지하여 반응함


(1) 목표의 특성

■  목표구체성
- 구체적 목표일수록 성과가 높음
■  목표난이도
- 어려운 목표일수록 성과가 높음
■  피드백
■  목표참여도
- 참여적 목표·합의된 목표일수록 성과가 높음
■  목표는 구체적이고 어려울수록, 피드백이 주어질수록, 그리고 참여적이며 합의된
목표일수록 성과가 향상됨


(2) 목표 이외의 상황조건
■  목표몰입 및 자기효능감
- 목표몰입
지속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려는 결심과 심리적 애착
- 자기효능감
주어진 과업을 완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믿음, 자신감
■  조직적 지원
- 시간, 설비투자, 재원지원, 훈련 등
■  개인능력
■  보상조건
■  경쟁상황


3) 목표설정이론의 특성


■  목표달성 의도가 동기부여의 원천이 됨
■  구체적 목표가 막연한 목표보다 높은 성과
■  어려운 목표일수록 성과가 향상됨

■  피드백이 주어질 때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높은 성과를 보임
■  쉽고 간단한 개념으로 직무분석, 인사고과, 교육·훈련, 리더십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됨


4) 목표설정이론의 비판


■  복수목표의 경우 중요도와 우선순위의 조율 문제가 있음
■  목표설정의 효과 유지 문제
■  목표설정 초기에는 높은 성과를 유지하나 시간이 갈수록 성과가 하락함


5) 목표에 의한 관리(MBO)


■  Management By Objective
■  1954년 Peter Drucker에 의해 제시됨
■  통제에 의한 관리에서 목표를 제시하여 동기부여 하는 방법을 제안함
■  조직의 목표가 사업부, 부서, 개인 등 각 수준별 목표로 전환되도록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