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론

경영학, 경영, 심리학, 상담 등 인간관계론 요약 정리 23. 2요인이론

728x90
반응형

23. 2요인이론

 

1) 2요인이론 개요


Herzberg가 제시함
- 실험 내용
200여 명의 회계사와 기술자를 대상으로 12회에 걸쳐 면접
“직무와 관련하여 특별히 만족스럽던 상황과 특별히 나빴던 상황을 말해주세요.”
- 면접 결과
인간의 욕구를 ‘동기요인’과 ‘위생요인’ 2개로 범주화함
■  Herzberg는 인간의 욕구는 단계별로 계층을 이루지 않고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으로
구분된다고 주장하였고, 각 요인의 기능을 구별하였음

2) 위생요인과 동기요인

■  만족과 불만족을 하나의 일직선상이 아닌 별개로 개념화
- 과거 관점

- 허즈버그 관점

 

3) 직무확대와 직무충실화


■  동기부여의 내적 요인에 주목함
⇒ 직무내용 개선을 통한 동기유발
⇒ 이후 직무특성이론으로 확대


(1) 직무확대(Job Enlargement)
■  직무의 양적·수평적 확대
■  현업과 같은 수준의 과업의 수(양적) 증가
■  단조로움에서 벗어나고 여러 기능을 사용하며 전체업무에 보다 많이 관여하고 있다는 만
족감을 줄 수 있음


(2)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
■  직무의 질적·수직적 확대
■  직무에 보다 많은 책임감·인정·성장의발전 기회를 제공하도록 재설계하여 직무를
‘풍요롭게(enrich)’ 하는 것
■  직무충실화 방법
- 종업원 스스로 작업일정을 계획함
- 작업수행방법을 종업원 스스로 결정함
- 스스로 작업을 통제함
- 종업원 스스로 기술을 익히도록 허락함


4) 2요인이론의 특징


■  Maslow의 욕구단계이론과 달리 경영을 고려한 구성원의 동기유발에 관한 이론

■  종업원들이 불만을 갖지 않도록 위생요인을 적절히 관리하고, Maslow의 하위욕구처럼 적절히
충족시켜야 함을 제시함
■  동기요인이 동기부여의 중요 요인임


5) 2요인이론의 비판


■ 방법론의 한계성
⇒ 잘되면 자기 탓, 못되면 환경 탓
■ 방법론의 신뢰성
⇒ 평가과정에서 유사한 반응을 서로 다르게 해석함
■ 전반적인 만족도 측정 불능
⇒ 한 사람이 직무의 일부분에 불만족하더라도 전반적으로는 수용 가능하다는 점을
간과함
■ 상황변수 간과
■ 생산성 간과
⇒ 연구 검색을 위해 만족-생산성 사이에 강한 관련성이 가정되어야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