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4

728x90
반응형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4

# 자운영
- 꽃은 자홍색 / 잎 깃털모양의 복합엽 / 월년생 콩과 사료작물
- 내한성 낮아 주로 남부지방 논에서 토양개량(연작장해 감소, 녹비작물)용 이용 (내한성은 품중에 따라 현저한 차이)
- 한발(가뭄)에 강하지만 습해에는 약해서 배수 잘되는 중성토양 알맞음


# 버즈풋트레포일
- 두과 목초 / 노란 꽃이 핌 / 우리나라에 ‘벌노랑이’라는 자생종이 전국적으로 분포
- 고창증 일으키지 않음
- 내서성(여름 더위에 견딤), 내한성 강함 → 적응성 넓어 간척지 생육가능


# 리드카나리그라스
- 내습성이 강함 (다습지역) / 가뭄에 잘 견딤 / 산성토양에서 잘 자람 ( pH 4.9~8.2의 배수가 나쁜 토양에서도 잘 자람 ) / 뿌리 방석형
- 청예∙방목용으로 적합

 

# 헤어리베치
- 내한성에 잘 견딤 / 겨울지나 꽃핌 / 뿌리에 균류가 달림 / 잎은 우상복엽
# 연맥 (귀리)
- 봄, 가을 단경기 사료작물로 적합 / 목초에 가장 가까운 생육 특성
- 줄기에 비하여 잎이 많고 커서 사료가치 높 / 가축의 기호성이 높은 사료작물
- 우수한 건초용 사료작물로 말 사료에 많이 이용되는 초종
- 재배가 쉽고 생육기간이 짧은 단 경기 작물 / 낙농가에서 청예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사료작물

+ 사료작물별 파종시기와 파종량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9월 중순 ~ 10월 중순, 40kg/ha
∙ 귀리
: 8월 중하순 또는 3월 상중순, 40kg/ha
∙ 베치류
: 9월 하순 ~ 10월 상순, 40kg/ha

 

+ 귀리의 생육에 가장 알맞은 토양의 pH
→ 5.6 ~ 6.2
# 보리
+ 사료작물로 이용되는 보리 : 보리는 호밀보다 초장이 짧고 출수기 전후 수량은 적으나 황숙기로 갈수록 수량이 많아진다

 

# 호밀
- 봄철에 청예 가능 / 맥류 중 내한성 강함

 

# 사료작물의 종류
- 봄∙가을 단경기 : 귀리, 유채
- 여름재배 : 옥수수, 수수류, 사료용 피
- 겨울재배 : 호밀, 보리, 이탈리안라이그래스
- 일정한 재배지역에서 적합한 사료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3대 구성요소 : 환경, 작물, 가축
+ 여름철 벼 대체 사료작물(논에서 사료작물재배)을 재배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 내습성(耐濕性)
( 논은 밭보다 점토함량이 많아서 물빠짐이 좋은 논이라하더라도 장마 시 습해가 우려됨으로 배수로 관리를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

 

# 조사료 생산기반 분류
- 밭 사료작물 : 옥수수, 수간그라스, 수수X수수교잡종, 귀리, 귀리와 유채 혼파
- 답리작 사료 작물 :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청보리, 호밀, 벼 대체 사료작물 재배
- 답리작 적합 작물 : 내습성, 내한성, 내음성 강해야함
- 반추가축이 반추위 발달에 영향을 줌 / 사료작물에 짚류는 포함 안됨


+ 초식가축에 조사료를 급여할 → 때 나타나는 주요 특징 제 1위 내 침의 혼입이 증가


+ 소의 사료 중 조사료를 필수적으로 급여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 → 반추위의 정상적 생리기능을 유지시키므로

 

+ 가축 중 조사료의 이용성이 높아 거친 풀도 잘 섭취하는 축종 → 산양

 

- 사료작물 성숙함에 따라 달라지는 화학적 조성분 : 섬유소 증가 / 소화율 감소, 조단백질, 수분함량 감소
- 벼과 사료작물 생육과정 : 영양생장기 → 절간신장기 → 수잉기 → 출수기 → 개화기
- 농업경영상 지켜야하는 조건
∙ 농가 노동분배의 합리와 (노동집중현상 완화, 균등화) / 윤작원칙의 고수와 위험 분산
∙ 사료작물의 자급률 제고에 의한 사료구입비 지출 극소화 / 자급사료의 균형적 공급
∙ 토양비옥도의 지속적인 유지


- 윤작 : 합리적으로 조합된 작물 같은 토양에서 일정한 순서 따라 규칙적으로 돌려가며 재배


- 윤작의 효과
∙ 수량증가와 품질향상 / 연작에 의한 기지현상 경감 / 피복작물의 토양보호 (토양유실 막음)
∙ 환원가능 유기물의 확보 / 농업경영의 안정성 증대 / 잔비량 감소 (X) – 순무 같은 녹비작물 재배시 잔비량 증가
∙ 토양전염성 병충해의 발생감소 / 토양선충 경감 / 미생물 및 곤충의 종 다양성 확보
∙ 지력의 유지 및 증진 / 토지의 이용성 높임
∙ 여름작물 – 겨울작물 / 곡실작물 – 청예작물


# 옥수수나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후작으로 이용되는 단경기 사료작물
- 연맥 : 내한성이 가장 약하며 남부지방, 제주도에서 많이 재배
- 유채 : 수분이 많아 건초나 사일리지로 이용하기에는 힘드나
조섬유함량이 적고, 가용무질소물, 가소화 조단백질 등이 풍부 → 젖소의 청예
- 유채&연맥 혼파 : 청예와 방목 이용을 목적으로 할 때 수량증가 가능
- 이탈리안라이그래스 : 초기생육이 좋고 기호성이 좋으나 월동성이 떨어지므로 주로 남부지방에서 이용
- 옥수수 수확 후 후작 : 호밀(호맥), 연맥(귀리), 유채
-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하계작물로 수량이 가장 높 : 옥수수, 수수류
- 벼 대신 논에서 여름철 재배 : 수수X수단그라스 교잡종 (생산성 측면에서 가장 적합), 옥수수
- 수수X수단그라스 교잡종 : 강한 재생력과 여름철 청예공급, 고온에서 잘 생육 (동계X)


+ 사료작물인 수단그라스계 교잡종
→ 열대성 작물로 생육에 필요한 온도가 옥수수보다 높음 / 청예, 건초, 방목, 사일리지로 이용할 수 있음 / 말 방광염 위험
- 동계(겨울) 사료작물 : 호밀, 보리, 이탈리안라이그래스
- 농업부산물 중 대가축에 가장 많이 사용 : 볏짚 (사료작물은 X)
- 청보리 : 최근 농업여건 변화로 사료작물로 많이 이용중 / 알곡뿐만 아니라 줄기와 잎까지 모두 사료로 사용 / 조단백질함량 높고 가격 쌈

 

- 사료작물 재배목적
∙ 값싼 기초사료 생산 / 좋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윤작체계 확립 가능
∙ 가축의 장기활동에 필수적인 사료의 제공
∙ 토양침식의 감소와 토양유기물의 증가 / 토양구조 개선


- 사료작물의 장점
∙ 가축의 건강 유지, 수명연장 (농후사료만으로는 해결불가) / 불임증이나 위장병 예방 / 미지성장인자를 가지고 있음 / 매우 높은 영양가(X)


- 곡류사료의 영양적 특성
∙ 에너지함량이 높고 조섬유함량이 낮음 / 칼슘( Ca )와 ( P )의 함량이 적음
∙ 티아민 ( Thiamin ) 풍부 / 리보플라빈 ( riboflavin ), 나이아신 ( niacin(nicotinic acid) ) 함량은 낮음
- 황색 옥수수 제외한 곡류, 부산물에는 카로틴 거의 존재하지 않음
- 황색 옥수수 : 카로틴 함유
- 수확 후 저장 시 곰팡이 발생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해물질 : 아플라톡신, Mycotoxin, Ergotoxin
- 벼과(화본과) 목초 생육시기 진행됨에 따라 증가 : 생산량, 조섬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