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

728x90
반응형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1

# 형태
- 벼과(화본과) : 일반 벼과, 목초류, 화곡류, 잡곡류,
오차드그라스(오리새),이탈리안라이그래스, 티모시, 톨페스큐
- 콩과(두과) : 클로버류, 베치류, 콩류, 알팔파류,
자운영, 매듭풀, 버즈풋트레포일
- 십자화과 : 유채, 무, 순무, 배추, 갓
- 국화과 : 해바라기, 돼지감자
- 기타 : 고구마 줄기

 

+ 사료작물의 형태에 의한 분류 / 십자화과(十字花科)로 분류되는 초종은?

사료작물의 형태에 의한 분류
분류 사료작물의 종류
벼과(화본과) 일반 벼과 목초류, 화곡류, 잡곡류 피 등
콩과(두과) 클로버류, 베치류, 콩류, 알팔파류, 자운영 등
십자화과 유채, 무, 배추, 갓, 순무 등
국화과 해바라기, 돼지감자
기타 고구마 줄기 등

 

# 생존연한
- 1년생 : 수단그라스계 교잡종, 수수, 옥수수
- 월년생 : 이탈리안라이그래스, 호밀, 보리, 귀리
- 2년생 : (레드, 스위트, 알사이크)클로버, 커먼라이그래스
- 다년생 : 각종 북방형 목초 (티모시, 톨페스큐, 알팔파, 오차드그라스, (라디노, 화이트)클로버) (영년생)

 

+ 목초 및 사료작물의 생존년한 또는 생활주기로 볼 때 월년생인 화본과 작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 사료작물을 생존연한에 따라 분류할 때
일년생, 월년생, 다년생, 영년생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다음 중 1년생 사료작물에 속하는 것은?

 

생존연한에 의한 분류
1년생 콩, 옥수수, 연맥(월동이 불가능한 경우), 수단그래스류, 수수, 진주조, 피 Teosinite, Triticale 등
월년생 크림슨클로버, 버클로버, 베치, 이탈리안라이스그래스, 호맥(Rye), 연맥(Oat, 월동이 가능한 경우), 보리, 유채 등
2년생 레드클로버, 스위트클로버, 알사이크클로버, 커먼라이스그래스 등
다년생 알팔파, 화이트클로버, 버즈풋트레포일, 오차드그래스, 티모시, 톨페스큐, 리드카나리그래스,
퍼레니얼라이그래스, 캔터키블루그래스, 레드톱, 스무드브롬그래스 등

 

# 이용 : 청예, 방목, 건초, 사일리지, 총제
- 청예용 : 키 크고 수량 많 , 예취 후의 재생 고려해야함 (저장 탄수화물의 축적)
∙ 상번초 – 알팔파, (오차드, 브롬, 이탈리안라이, 리드커너리)그래스
∙ 사초 – 호밀, 수단그라스, 귀리, 유채
∙ 화본과 – (수단, 리드카나리)그래스, 수수, 귀리, 호밀, 피
- 방목용 : 하번초로 키가 작고 줄기가 초지 위에 포복, 제장능력 우수
∙ 화본과 – (켄터키블루, 페레니얼라이, 리드카나리 오차드)그라스, 톨페스큐
∙ 두과 – (라디노, 화이트)클로버, 버즈풋트레포일


- 건초용 : 수량 많고 환경적응성, 기호성이 좋은 상번초로 사료가치 높
∙ 화본과 – (오차드, 이탈리안라이, 브롬)그래스, 톨페스큐, 티모시
∙ 두과 – 버즈풋트레포일, 레드클로버, 알팔파


- 사일리지 : 전분함량이 높고 발효가 잘되어 젖산 생산가능
: 옥수수, 호밀, 보리, 벼
- 총제용 : 총체적으로 이용, TMR(완전배합사료)로 이용
: 당분함량과 수량이 많은 것 우선 선택
: 보리, 벼


+ 사료작물 중 채초지 작물로 가장 적합한 화본과 작물과 두과 작물은?
→ 이탈리안라이그라스
, 알팔파

 

이용목적에 따른 사료작물의 분류
구분 화본과 두과
청예용 (수단, 리드카나리)그래스, 수수, 귀리, 호밀, 피
방목용 (켄터키블루, 페레니얼라이, 리드카나리 오차드)그라스, 톨페스큐 (라디노, 화이트)클로버, 버즈풋트레포일
건초용 (오차드, 이탈리안라이, 브롬)그래스, 톨페스큐, 티모시 버즈풋트레포일, 레드클로버, 알팔파
사일리지 옥수수, 호밀, 보리, 벼 -
총체용 보리, 벼 -

 

# 기호성
- 상 : 퍼레니얼라이그래스, 티모시, 알팔파, 클로버류
- 중 : (오차드, 켄터키블루)그래스 (오∙켄)
- 하 : 리드카나리그라스, 톨페스큐
- 사료가치가 높 : 퍼레니얼라이그래스, 알팔파, 클로버류
- 환경적응성 높 : 리드카나리그라스, 톨페스큐


(사초 : 사료식물)
- 내한성 강함
- 화본과 : 티모시, 켄터키블루그래스
- 콩과 : (레드, 화이트)클로버, 알팔파
- 청예 : 해바라기, 유채, 호밀, 뚱딴지(돼지감자)
- 근채 : 감자, 순무, 양배추


# 적응성
- 산성토양에 매우 강 : 호밀, 리드카나리그라스, 루핀
- 산성토양 약 : 알팔파, 오차드그래스(오리새), (레드, 화이트, 스위트, 보하라)클로버, 자운영, 콩, 완두, 보리
- 염기(염해)에 강함 : (버뮤다, 라이, 로즈, 웨스턴휘트, 톨휘트)그래스 – 간척지 재배 가능
- 염기에 감수성 : 콩 (레드, 화이트)클로버
- 산성토양에 가장 약함 : 스위트클로버, 알팔파
- 생태학적 분류 : 난지형 한지형

 

# 난지형(남방형 목초) 사료작물
- 화본과∙1년생 : 수단그라스, 수수, 옥수수, 기장, 조
- 화본과∙다년생(영년생) : (버뮤다, 달리스, 바히아, 위핑러브)그래스, 잔디(버달바위 러브잔디)
- 두과∙1년생 : 코리안레스페데자, 대두, 완두, 잠두
- 두과∙다년생 : 칡

 

+ 남방형이고 아프리카가 원산이며,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널리 분
포하고 있는 사료작물
→ 버뮤다그라스

 

- 북방형 사료작물 : 티모시, 톨페스큐, 알팔파, 오차드그라스, (라디노, 화이트)클로버
- 한지형(북방형목초) : 생육적온 15~21도, 저온 잘 견딤, 성장이 5~6개월에 최고, 여름철에 하고현상 일어남
- 하고지수 : 낮을수록 하고에 강함 ex) 라드카나리그라스

 

기상생태적 분류 : 한지형 사료작물과 난지형 사료작물
구 분 난지형 한지형
화본과 · 다년생 버뮤다그래스, 달리스그래스, 바히아그래스,
위핑러브그래스, 잔디
오처드그래스, 티모시, 톨페스큐, 켄터키블루그래스,
레드톱, 스무드브롬그래스, 퍼레니얼라이그래스
화본과 · 월년생 - 호밀, 귀리, 밀, 보리, 이탈리안그래스
화본과 · 1년생 수단그래스, 수수, 기장, 조, 옥수수 -
두과 · 다년생 화이트클로버, 라디노클로버, 레드클로버,
알사이크클로버, 알팔파, 스위크클로버, 버즈풋트레포일
두과 · 월년생 - 헤어리베치, 자운영, 루핀, 크림슨클로버
두과 · 1년생 코리안레스페데자, 대두, 완두, 잠두 -

 

+ 초종 중 우리나라에서 하고(夏枯)에 강한 품종은?
→ Tall fescue, Orchard grass, Red top
( 티모시는 선선하고 습기가 많은 지역에 잘 적응하는 반면, 가뭄이나 더위 그리고 건조한 곳에서는 견디지 못함.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우리나라의 고산지대인 대관령 등지에서 좋은 성적을 올리는 반면,
평야지대에서는 한여름에 하고현상을 일으켜 노랗게 변하면서 성장이 중지 됨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