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축산기사, 축산기업, 축산직 공무원 대비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2

728x90
반응형

핵심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요약 정리 2

# 목초의 형태 : 공간활용으로 단위면적당 수량 많아짐
- 상번초 : (오차드, 이탈리안라이, 리드카나리, 스무드브롬, 톨오트)그래스, 레드클로버, 톨페스큐, 메도페스큐, 메도폭스테일, 티모시, 알팔파, 등
- 하번초 : (화이트벤트, 옐로오트, 거친줄기메도, 켄터키블루, 퍼레니얼라이)그래스, 화이트클로버, 레드페스큐, 버즈풋트레포일

 

상번초와 하번초의 분류
상번초 하번초
∙ 오차드그래스 ∙ 티모시
∙ 톨페스큐 ∙ 이탈리안라이그래스
∙ 레드클로버 ∙ 알팔파
∙ 리드카나리그래스 ∙ 스무드브롬그래스
∙ 메도페스큐 ∙ 메도폭스테일
∙ 톨오트그래스 등
∙ 레드스페큐 ∙ 켄터키블루그래스
∙ 퍼레니얼라이그래스 ∙ 화이트클로버
∙ 화이트벤트그래스 ∙ 크레스티드폭스테일
∙ 거친줄기메도그래스 ∙ 옐로오트그래스
∙ 버즈풋트레포일 등

 

# 식물학적 분류법
- 이명법 : 속명(첫글자 대문자) + 종명(소문자) / 라틴어 / 이탤릭체
- 명칠 바뀔 수 있음
- Carl Linnaeus : 식물에 대한 최초의 분류
- 식물계 ~ 품종에까지 이르고 있다
- 종 < 속 < 과 < 목 < 강 < 문 < 계 (6계급)

 

+ 화이트 클로버의 학명
→ Trifolium repens L
( - Lotus corniculatus L (버즈풋트리포일)
- Bromus inermis L (브롬그래스)
- Pheleum pratense L (티모시) ㄹ)

 

+ 목초나 사료작물 등을 식물학적으로 분류하여 이용하고 있는 학명에 대한 설명
1. 명칭이 바뀔 수 있다 ( 식물상호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의 발전과 더불어 변화 )
2. 속명과 종명으로 구성되어 이명법이라 함
3. 다른 단어와 구별하기 위하여 속명과 종명은 이탤릭체로 씀
4. 전 세계가 공통으로 사용하며 속명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종명은 소문자로 씀


+ 사료작물의 식물학적 분류법에 대한 설명
1. 이명법에 따르면 첫 부분이 속명이고 둘째 부분이 종명이다
2. 식물에 대한 최초의 분류는 Carl Linnaeus에 의해 이룩
3. 오늘날의 식물의 분류는 라틴어 사용
4. 모든 사료작물은 식물계로부터 시작하여 품종에까지 이르고 있다


# 화본과
- 기장아과 : 쇠풀족, 옥수수족
- 포아풀아과 : 김의털족, 보리족, 귀리족, 겨이삭족
- 그령아과(C4) : 잔디족, 새족(갈대), 그령족(위핑러브그라스), 왕바랭이족(버뮤다그래스)
- 김의털아과(Festucoideae) : 오차드그라스, 보리, 레드톱
- 두(콩아)과(Papilionoidea) : 화이트클로버, 팥족, 토끼풀족, 루핀족, 자운영족, 나도황기족, 벌노랭이족, 나비나물족

 

# 화본과 사료작물
- 형태적 : 뿌리 수염모양, 잎 나란히맥
: 지면과 접하는 부위에서 곁눈 생김
: 줄기 대체로 속이 비어있고 둥글며 뚜렷한 마디를 가짐
: 잎 (잎집, 잎몸, 잎혀, 잎귀), 평행맥으로 어긋나게 2열로 나열
: 열매는 씨방벽으로 융합되어 있는 하나의 종자를 가집
: 수상, 원추, 총상꽃차례 가짐
- 잎혀의 형태 : 부재, 막형, 모형, 분리X
- 뿌리형태 : 1차근(종자근), 2차근(영구근, 부정근)
: 다발형 – 오차드그라스, 퍼레니얼라이그래스, 톨페스큐, 티모시
: 방석형 – 리드카나리그라스


- 분얼 줄기형태 : 지하경 - 켄터키블루그래스, 리드카나리그라스 ( 지켄리 ) – 땅속 수평생장
: 포복경 - 버뮤다그래스, 화이트클로바 ( 포버화 ) – 땅위 수평생장
: 인경(비늘줄기, 지하눈) – 티모시

구근(양분을 저장하는 장소)의 종류 - 구근의 형태에 따라
지하경 캔터키블루그래스, 브롬그래스, 톨페스큐, 리드 카나리그래스
포복경 잔디, 버뮤다그래스, 화이트클로버
직근 또는 관부 알팔파, 레드클로버, 버즈풋트트레포일
줄기기부 오파드그래스, 라이그라스
인경 티모시, 파, 양파, 백합


- 목초의 분얼 : 온도 높아지면 많아짐
: 영양생장기에 많고 마지막에 최대에 달함
: 여름, 가을 거치면서 감소


- 잎의 형태 : 잎집의 양쪽 가장자리가 합쳐지지 않고 위 끝에 잎혀 있음
: 원추, 수상꽃차례 달림
: 꽃잎은 인피로 퇴화, 암술멀리는 솔처럼 발달, 수술3개 암술1개


- 화서 : 수상화서 – (페레니얼라이, 이탈리안라이)그래스, 밀, 보리, 호밀
: 총상화서 – (버뮤다, 크래브, 바히아, 달리스)그래스
: 원추화서 – (오차드, 켄터키블루, 브롬)그래스, 티모시, 귀리


- 생육 가능 산도 : 화본과(높) > 두과(낮)
- 질소시비량 부족 시 : 화본과 생육이 더 양호
- 조단백질, Ca함량 : 화본과 < 두과


# 두과 사료작물
- 특징 : 뿌리에 근류균 형성, 직근성(주근, 지근 잘 분화) / 뿌리에 질소고정이 가능한 뿌리혹박테리아 있음
: 주요 단백질 공급원 / 다량급여시 고창증
: 잎은 줄기에 호생(어긋), 잎맥 그물모양, 엽병에 붙어있는 잎은 3개의 소엽
: 줄기 속 차있는 경우 많고 마디 뚜렷하지 않음 / 종자는 등과 배쪽에 봉합선을 따라서 벌어지는 꼬투리 안에 있음
- 유식물 발달형태 : 지상자엽형(레드클로버, 알팔파), 지하자엽형(완두, 베치)
- 뿌리형태 : 심근성(알팔파), 천근성(화이트클로버)
- 줄기형태 : 포복형 – 라디노클로버, 화이트클로버 (포라화)
: 직립형 – 레드클로버, 알팔파 (직레알)
: 덩굴형 – 베치류, 완두
- 꽃차례 : 총상화서 – 알팔파, 스위트클로버, 헤어리베치, 코리안레스페데자 (총헤코알스)
: 두상화서 – (화이트, 레드, 알사이크, 크림슨)클로버 (두화레알크)
- 수분 : 자가수분 – 베치류, 레스페데자류, 완두, 대두 등
: 타가수분 – 알팔파, (레드, 화이트)클로버


+ 두과 사료작물들의 근류군주들이 상호접종 될 수 있는 조합은?


 

두과 작물의 상호접종군
접종 상호접종 가능 식물
알팔파군 알팔파, 버클로버(개장리), 스위트클로버
클로버군 레드, 화이트, 라디노, 알사이크, 크림슨, 서브클로버류
완두 및 베치군 완두류, 베치류
강낭콩군 강낭콩
콩군 콩, 덩굴콩
동부군 동부, 매듭풀류(레스페데자류), 크로타라리아, 칡, 땅콩, 팥
루핀군 루핀
벌노랑이군 벌노랑이, 버즈풋트레포일
자운영군 자운영

 

- 경령, 잎깃 : 분열조직이 생장하는 부분 (잎몸(엽신), 잎집(엽초) 사이 갈라놓는 분기점)
: 영양생장 하고 있는 사료 작물의 식별방법
: 화본과 – 초엽 → 제1본엽 → 제2본엽 순으로 전개, 단자엽
: 본엽(엽신+엽초) 그 경계를 Collar region(엽설과 엽이)라 하고 초형으로 초종 동정
: 두과 – 호생하거나 나선상으로 착생, 복엽, 엽병과 탁엽 존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