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48. 평가 시 발생하는 오류 방지를 위한 평가자 교육

728x90
반응형

48. 평가 시 발생하는 오류 방지를 위한 평가자 교육

1) 평가자 교육이 필요한 이유


개념준거(정확한 수행) 측정치가 100% 된다는 것은 불가능
○  Weekly & Gier(1989): 올림픽 심판도 의견이 불일치 되고 후광오류를 범함
○  수행을 지속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구조화된 일지를 사용했을 때가 과거 기억을 떠올려서 평
가했을 때보다 더 정확한 평가를 했음
○  Borman(1978): 관리자가 문제 종업원과 이야기 하는 상황, 면접하는 상황에 대한 비디오
각 8개씩 총 16개, 연기자들이 연기, 평가자의 평가 점수와 영상에서 보여준 수행 수준 간
의 상관이 r = .42-.97까지 다양했음. 중앙치는 .69
○  100%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항상 관찰, 평가, 토의를 할 필요가 있음
○  훈련을 받으면 평가는 객관적인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음


2) 평가자 교육의 의미


○  평가자들이 후광오류, 관대화 오류 등을 덜 범하도록 교육시키는 공식적인 과정
○  발생되는 오류를 알려주고, 줄일 수 있는 방법 교육
○  Latham, Wexley, & Pursell(1975): 워크숍(Workshop) 집단 > 토론(Discussion) > 통제
(Control)
○  Day & Susky(1995): 참조의 기준을 평가자에게 제공 + 평가 정확성에 대한 피드백 제공
(참조 틀 훈련: Frame of Reference Training) ==> 오류 감소, 평가의 정확성 증가
○  Bernardin & Pence(1980): 후광오류를 줄이는 교육을 받은 후에도 덜 정확한 평정
○  Kacanagh(1988): 어떤 평가자 교육은 후광오류나 관대화 같은 오류를 감소시키지만 평정의
정확성을 증가시키지 않을 때도 있음
○  Woehr & Huffcutt (1994): 수행평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효과적
인 교육전략은 오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달랐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