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교수설계와 학습의 원칙
1) 교수설계
♠ 교수설계: 교육/훈련을 통해 피훈련자에게 기대되는 변화를 얻을 수 있는 교육방법을 개발하는
체계적인 과정(Reiguluth, 1983)
♠ 1단계 :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요구분석
♠ 2단계 : 구체적인 교육 및 훈련목표의 수립
♠ 3단계 : 교육 및 훈련방법들에 대한 이해
♠ 4단계 :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 5단계 : 교육 및 훈련 평가계획의 수립
♠ 6단계 :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의 실시
♠ 7단계 : 교육 및 훈련에 대한 평가
2) 학습의 원칙
(1) 피드백
♠ 피드백이 없다면 학습이 일어났는지 전혀 알 수 없음
♠ 피드백은 피훈련자가 정확한 자료를 학습하고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훈련에 적절하게 포함되어야 함
♠ 훈련에는 두 가지 방식으로 피드백을 포함시킴
♠ ▹ 첫째, 피훈련자는 시험을 통해 습득한 정보에 대한 검증을 받음
♠ ▹ 둘째, 피훈련자와 훈련자가 상호 질문을 함
♠ 예) 자동차 연수: 피훈련자가 피드백을 제공할 훈련자를 곁에 두고 운전함
(2) 일반 원리(General Principle)
♠ 일반 원리란 훈련을 통해서 무엇을 어떻게(what, how) 해야 하는지 뿐만 아니라 왜(why,
필요성, 중요성) 하는지도 가르쳐 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
♠ 일반 원리를 가르치는 목적은 학습의 틀을 제공하자는 것
♠ 일반적 원리를 가르치는 것은 학습 동기를 향상시킴
(3) 동일 요소(Identical Element)
♠ 훈련 상황이 실제 직무 상황과 서로 유사할수록 피훈련자는 훈련에서 학습한 것을 직무상황
에 더 쉽게 적용하게 됨
♠ 훈련 상황에서의 반응이 직무 상황에서의 반응과 동일하다는 것
♠ 예) 모의비행 장치는 동일한 요소를 활용한 훈련도구
(4) 초과학습(Over Learning)
♠ 훈련에서의 성공 기준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정도 이상으로 훈련시키는 것
♠ 즉, 피훈련자가 어떤 자료를 한 번 학습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학습을 하는 것
♠ 초과학습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은 견고하게 되어 거의 무의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성 (automaticity)을 획득
♠ 자동성은 작업 수행에 대해 의식적으로 관찰하거나 주의를 집중하지 않고도 과업을 원활하
게 해결할 수 있음을 의미
♠ 예) 운동선수들은 초과학습을 통해 자동성을 획득
(5) 부분 훈련과 전체 훈련
♠ 부분 훈련(Part Training): 과업을 구성요소로 나눠, 한 번에 하나씩 학습
♠ 전체 훈련(Whole Training): 개별 구성요소로 나누어 학습하기보다는 전체 과업을 한 번에 학습
♠ 과업이 너무 복잡해서 한 번에 모두 학습하기 어려울 때는 부분 훈련이 전체 훈련 보다 효과적
(6) 집중 훈련과 부분 훈련
♠ 집중 훈련(Massed Training): 훈련 시간이 길고 비교적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훈련
♠ 분산 훈련(Spaced Training): 한 번의 훈련 시간이 비교적 짧고 기간을 분산하여 실시하는 훈련
♠ 하루 8시간 vs 8일 1시간씩
♠ 일반적으로 분산 훈련이 집중 훈련보다 기술 습득과 유지에 더 효과적
♠ 기업 입장에서는 분산 훈련이 쉽지 않음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9. 평가 준거 : 반응, 학습, 행동, 결과 (2) | 2024.02.28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8. 학습맥락 : 훈련자와 피훈련자의 특성, 교육/훈련의 전이 (1) | 2024.02.28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6. 교육/훈련의 필요성 평가 (1) | 2024.02.27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5. 선발에서의 법적 이슈 (2) | 2024.02.26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4. 선발 결정의 실용적 접근 (1) | 202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