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4. 선발 결정의 실용적 접근

728x90
반응형

34. 선발 결정의 실용적 접근

아무리 좋은 검사를 사용해도 잘못된 인사결정은 남아있다. 하지만 임의로 선발할 때보다 잘못
된 인사결정의 빈도는 훨씬 더 적어짐
○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 인간 행동은 매우 복잡해서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
- 인간의 행동은 할 수 있는(can do), 그리고 하고자 하는 (will do) 요인이 복합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결정되기 때문
○  능력과 성격 이외에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 환경적인 요인도 영향을 미침
○  능력이 조금 떨어지더라도 성취욕구가 높은 지원자는 입사 후 성공 가능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종업원들을 선발할 때 조직은 지원자의 능력을 더 중요하게 고려
○  선발에서 능력에 더 많은 비중을 두지만,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선발결정을 위해서는 지원자의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효용성(Utility): 인사 결정이 지니는 경제적 가치
○  선발 과정/기법이 기업에 어느정도 이익을 가져다 주었는가?
○  Cascio & Fogli(2010): 은행 창구직 직원, 검사에서 상위 20%-한달 평균 1791명의 고객 서비
스, 하위 20%-한달 평균 945명
○  차이 값 846명이 은행에 어느 정도 금전적 이득이 발생했는지?
○  추정이 쉬운 업무도 있고 어려운 업무도 있다(생산직 vs. 상담직)
○  통계적인 추정을 바탕으로 산업심리학자들은 타당한 선발방법을 사용하여 종업원들의 직무수행
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성공적으로 보여주고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