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교육/훈련의 필요성 평가
1) 교육/훈련
(1) 훈련의 중요성
♠ 급속하게 변하는 내외부 기업 경영 환경에 대비
♠ 구성원이 서로 조화롭고 발전적인 관계를 확립할 수 있도록
♠ 기술 변화: 직무(기술)의 변화, 새로운 직무, 자격 요건의 변화
♠ 노동시장 변화: 외부 직원을 구하기 어렵거나, 직무를 전환시키는 경우(AI, 자동화)
♠ 종업원 욕구의 변화: 전문화, 개인의 성장욕구
2) 훈련의 정의
♠ 교육(Education): 이해력, 기억과 같은 지적 활동을 활성화시켜 지식 및 기능을 습득하는 과정
♠ 훈련(Training):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지식 및 기능을 습득하는 과정
♠ 학습(Learning): 교육/훈련이나 경험을 통한 지식이나 행동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
* 교육 및 훈련이란?
♠ 조직의 목표를 가지고 필요에 의해서 공식적으로 행해지는 체계적 활동
♠ 피교육자, 피훈련자의 학습과정을 수반
♠ 교육, 훈련의 결과로 직무행동에서 구체적인 변화를 목적으로 함
♠ 조직 효율성 증진, 개인의 직무 능력 향상의 두 목표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
3) 요구분석
(1) 조직 분석
♠ 문제 해결에 “교육 및 훈련이 과연 필요한가?”
♠ 생산성 저하가 장비의 문제라면? 생산성 저하가 상사의 직무수행 관리의 문제라면?
♠ 조직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
♠ 훈련에 대한 조직풍토, 재정, 제약조건 등을 분석
♠ 조직 진단: 사고, 이직, 불량, 직무만족, 의사소통, 동기 수준 등을 파악
(2) 과제 분석
♠ 과제에 대한 활동 분석
♠ “어떤 과업에 대한 훈련이 필요한가?”를 분석
♠ 직무 분석 정보가 활용될 수 있음
- KSA
♠ 교육 후 요구되는 행동에 대한 파악
♠ 프로그램 설계-개발 or 위탁
♠ 판매량 저조 : 설득 기술, 제품에 대한 지식
(3) 개인 분석
♠ “누구에게 교육이 필요한가?”를 분석
- 수행평가 자료가 활용될 수 있음
♠ “그에게 어떠한 교육이 필요한가?”를 분석
- 개인별 교육 훈련 history를 DB화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8. 학습맥락 : 훈련자와 피훈련자의 특성, 교육/훈련의 전이 (1) | 2024.02.28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7. 교수설계와 학습의 원칙 (0) | 2024.02.27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5. 선발에서의 법적 이슈 (2) | 2024.02.26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4. 선발 결정의 실용적 접근 (1) | 2024.02.25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3. 검사 타당화 과정과 타당도 일반화 (1) | 202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