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표본추출
9.1 표본추출의 의의
1) 전수 조사 vs 표본조사
*전수조사가 표본조사보다 정확하지 않은 경우는 비표본오차가 발생하기 때문...
정의 | 내용 | 예 | |
전수조사 | 모집단의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조사 실시 |
- 전수조사 불가능 할 수 있다. - 시간과 경비 많이 든다. |
인구 센서스 |
표본조사 | 모집단의 일부 구성원을 대상으로 조사 실시 |
- 전수조사가 불가능시 사용. - 시간과 경비가 적게 든다. |
무작위 여론조사 |
*표본추출과 관련된 오차의 종류
- 표본오차 : 모집단을 모두 조사하지 않고 일부의 표본만 조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 표본이 모집단을 완벽하게 대표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
- 비표본오차 : 자료수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잘못된 질문, 조사자의 실수 혹은 태만, 자료 처리의 오류 등으로 발생
9.2 표본추출 과정
*모집단의 확정→표본추출 프레임 결정→표본추출방법 결정→표본크기의 결정→실행
2.1 모집단의 확정 - 모집단 :조사가가 관심을 가지는 조사대상의 전체 집합
- 표본추출단위 : 표본추출의 대상이 되는 연구 대상의 집합
2.2 표본추출 프레임 결정 - 모든 표본추출단위의 목록
예) 전화번호부, 특정 제품 구매고객 명단, 신용카드소지자 명단
2.3 표본추출방법 결정 : 확률표본추출 / 비확률표본추출
2.4 표본의 크기의 결정 - 표본의 크기가 크면 오차를 줄일 수 있음
- 중요한 조사일수록 많은 정보가 필요하며 표본의 수가 커야함
- 변수의 수가 많을수록 측정에 수반되는 오차가 커 표본의 크기가 커야함
-연구대상을 소그룹으로 세분하는 조사인 경우 표본의 크기는 커야한다.
-복잡한 통계분석을 이용할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야한다.
9.3 표본추출방법
1) 확률표본 추출방법
1.1)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 모집단의 구성원들이 표본으로 선정될 확률이 사전에 알려져 있고 동일하도록 추출하는 방법
- 난수표 혹은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난수를 이용
- 대표성이 높다.
- 모집단의 모든 구성요소들의 목록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
- 이질적인 구성요소의 집단들이 많이 있어 집단간 비교분석이 필요할
경우 표본이 매우 커야 한다.
1.2) 층화 표본추출 :
모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집단에서 집단의 구성요소의 수에 비례하여 표본의 수를 할당하여 각 집단에서 단순무작위 추출방법으로 추출하는 방법
-각 층은 동질적인 구성요소를 구성되어 있어야 하며 다른 층의 요소들과는
서로 이질적이어야 한다
- 비례 층화표본추출:각 층의 크기에 비례하여 추출한 표본의 수를 할당
- 불비례적 층화표본추출:각 층이 중요도의 정도가 다른 경우 층의 크기가 아니라 중요도에 따라 표본의 수를 할당하는 방법.
1.3) 군집 표본추출 : 모집단이 여러 개의 동질적인 소규모 집단(군집)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군집은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을만큼 다양한 특성을 가진 요소들을 구성되어 있을 때 군집을 무작위로 몇 개 추출하여 선택된 군집내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내부적으로 이질적, 외부적으로 동질적이라는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1.4) 체계적 표본추출
모집단의 구성원에 어떤 순서가 있을 경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본을 추출
예) 투표 출구조사, 몰인터셉트 인터뷰 (20. 40. 60...번째 소비자 인터뷰)
2) 비확률표본 추출방법
2.1) 편의표본추출
- 조사자가 편리한 장소와 시간에 접촉하기 쉬운 대상을 표본으로 선정하는 방법
- 적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 - 대표성 부족
2.2) 판단표본추출
- 조사자가 조사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표본 추출
- 조사가의 전문적 식견에 따라 대표성이 확보될 가능성이 있다.
- 대표성이 높다고 평가할 근거가 부족
2.3) 할당표본추출
- 모집단을 어떤 특성에 따라 세분집단으로 구분하고 세분집단의 크기에 비례하여 추출한 표본의 수를 결정하여 각 집단에서 표본을 편의 혹은 판단에 의해 추출하는 방법
- 상당히 높은 수준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다.
- 시간, 경제적 면에서 장점이 있다
-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본추출방법이다.
9.4 표본 크기의 결정 : 신뢰구간을 나타내는 식에서 허용하는 오차 수준을 정한 후 필요로 하는 표본의 수를 결정한다.
* 이 식에서 표본의 크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다.
1. 오차를 적게 허용할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진다.
2. 높은 신뢰수준을 원하면 표본의 크기는 커진다.
3. 추정하는 변수의 분산이 클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진다.
1.표본설계과정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과정은?
①표본의 추출 ②표본크기의 결정 ③모집단의 확정 ④표본추출방법의 결정
2.표본크기의 결정에 관하여 올바른 설명은?
①오차를 크게 허용할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야 한다.
②높은 신뢰수준을 원하면 표본의 크기는 커야 한다.
③추정하는 변수의 분산이 작을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야한다.
④추정하는 변수의 평균이 클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야한다.
3.전수조사가 표본조사보다 정확하지 않은 경우도 흔히 있다. 그 이유라고 할 수 있는 것은?
①표본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②체계적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③비체계적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④비표본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4.표본추출의 대상이 되는 연구대상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나?
①모집단 ②표본추출단위 ③표본추출 프레임 ④군집
5. 투표를 마치고 나오는 유권자들을 20명 간격으로 접근해 인터뷰했다. 즉 20, 40 ,60 ---번째 유권자를 인터뷰했다. 이는 다음 어떤 표본추출방법의 예인가?
①층화표본추출 ②군집표본추출 ③할당표본추출 ④체계적 표본추출
6.모집단이 여러개의 동질적인 소집단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소집단은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특성을 가진 요소들로 구성되어 잇을 때 적합한 표본추출방법은?
①단순무작위 표본추출 ②층화표본추출 ③군집표본추출 ④체계적 표본추출
7.모집단을 중복되지 않는 동질적 세분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 내에서 단순무작위추출법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은?
①단순무작위추출법 ②층화표본추출법 ③군집표본추출법 ④체계적 표본 추출법
8.층화표본추출법에대하여 올바른 설명은?
①모집단의 요소들이 선택될 가능성이 모두 같도록 표본단위를 선택한다.
②계층 내의 요소들은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 할 만큼 서로 이질적이어야 한다.
③계층 내의요소들은 서로 동질적이어야 한다.
④각 계층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에는 편의에 의해 임의로 선택한다.
9. 표본추출 프레임이 될 수 있는 것은?
①부산의 방송 대학생의 모든 스터디 그룹
②20세 이상이며 1주일에 30시간 이상 TV를 시청하는 사람
③전화번호부, 선거인 명부 ④서울의 모든 가구
10.다음 중 올바른 설명은?
①층화표본추출법의 경우 계층 간 차이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②층화표본추출법의 경우 계층 내 요소 간 차이가 적은 것이 좋다.
③모집단이 주기적 변동을 갖고 있는 경우 군집표본 추출법이 좋다.
④전구의 불량을 조사하는데 전구 박스 중 몇 박스를 골라 표본으로 삼는 방법은 단순 무작위추출법의 예이다.
'마케팅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11. 기술통계와 도수분포 (0) | 2022.12.27 |
---|---|
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10. 결과분석 및 보고 (0) | 2022.12.26 |
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8. 측정의 타당성(정확성)과 신뢰성(일관성) (0) | 2022.12.25 |
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7. 척도의 개발과 평가 (1) | 2022.12.25 |
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6. 측정과 척도 (0)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