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자료의 수집
▣ 1차 자료: 당면하고 있는 조사를 위하여 수집한 자료
1) 탐색조사의 경우 전문가 의견조사, 표적집단 면접, 심층면접법
2) 기술조사의 경우 관찰법, 서베이법
3) 인과조사의 경우 실험법을 통하여 수집된다.
▣ 2차자료: 다른 조사를 위하여 수집되어 있는 자료(내부 2차자료, 외부 2차자료)
1.1 2차 자료의 종류
*기업 내부자료: 고객자료, 판매원자료, 재무자료, 회계자료
� *공공단체 혹은 조사회사의 정기 발행물: 통계청, 무역협회, 상공회의소, 산업별 협의기구,
*신디케이트 조사 자료: 소비자 패널조사 자료, 점포조사자료
*인터넷 자료: 검색 엔진을 통해 수집한 자료
2. 자료의 수집
2.1 관찰법 : 행동 패턴을 기록 · 분석하여 조사대상에 대하여 체계적인 지식을 얻는 방법
(관찰대상이 모르게 관찰이 포인트)
2.2 관찰법의 종류
▶공개적 관찰과 비공개적 관찰 : 관찰대상자가 자신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아는 공개적관찰
▶ 구조화된 관찰과 비구조화된 관찰 :
�*구조화된 관찰 - 사전에 관찰할 내용을 명확히 결정하여 표준화된 양식에 따라 관찰된 사실을 기록하는 방법
- 관찰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을 줄인다.
- 효율적으로 관찰할 수 있으나 예상치 못한 행동은 관찰되지 못함
*비구조화된 관찰 - 표준화된 양식을 사용하지 않는 관찰 - 가설의 수립에 이용 -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 - 관찰자의 편견이 개입될 가능성
3.3 관찰법의 장.단점
장 점 | 단 점 |
-조사대상자가 의사표현이 불가능한 경우도 가능 -행동을 직접 관찰하기에 정확한 자료 수집 가능 -설문으로 물어 볼 수 없는 행동까지 측정 가능 (의사표현이 어려운 아이도 접근가능) |
-행동의 동기, 신념, 선호도 등은 관찰 불가능 -비용 등의 문제로 소수를 관찰하므로 일반화 어려움 -관찰자 따라 기록 및 해석이 다름 -관찰과 기록 간 시차발생으로 정확성 감퇴 |
3.4 서베이법
다수의 응답자로부터 표준화 및 구조화된 질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 설문지 : 정해진 질문의 내용과 순서가 기재된 양식
* 서베이법 종류 - 직접법 : 조사의 목적이 공개
- 간접법 : 조사의 목적이 공개되지 않는 조사
장 점 | 단 점 |
- 대규모 조사 가능 - 대규모 표본으로 조사 결과의 일반화 가능 - 직접 관찰할 수 없는 동기, 개념의 측정가능 - 자료의 코딩, 분석이 용이 - 계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객관적 해석가능 |
- 설문지 개발이 쉽지 않다. - 깊이 있고 복잡한 질문하기 어렵다 - 조사에 장시간 소요 - 응답률이 낮다. - 부정확하고 성의 없는 응답 가능성 |
예) 비공개적 관찰, 투사법 등
1) 대인 인터뷰법
면접원이 응답자를 직접 만나 인터뷰하는 방법
종류 : 방문 인터뷰, 몰인터셉트 인터뷰(쇼핑객에게 인터뷰), CAPI(컴퓨터 이용 설문)
장 점 | 단 점 |
- 자세한 설명 가능, 복잡한 질문 가능 - 시각자료 활용 - 높은 응답률 |
- 접촉범위의 한계 - 면접원에 의한 오류가 발생 - 고비용 |
2) 전화 인터뷰법 : 전화를 이용하여 면접원이 직접 인터뷰하는 방법과 CATI
장 점 | 단 점 |
- 조사가 신속히 이루어 짐 - 접촉범위가 넓다 - 면접원의 통제가 용이 - 비교적 비용이 저렴 |
- 길거나 복잡한 질문을 할 수 없음 - 시각자료의 사용이 어려움 - 면접원에 의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
3) 우편 조사법
우편을 통하여 설문지를 보내고 받는 방법
이메일을 통하여 설문지를 보내고 받는 방법이 일반화되고 있음
장 점 | 단 점 |
- 면접원에 의한 오류가 없음 - 응답자가 시간에 구애없이 응답 - 익명성 보장 - 저비용 - 접촉범위가 넒음 |
- 회수에 오랜시간 걸림 - 응답율이 낮음 - 질문을 잘못 이해할 수 있음 |
4) 전자 인터뷰법 :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방법
데이터 베이스와 연계되어 자동으로 처리되는 웹서베이가 일반화
장 점 | 단 점 |
- 면접원 오류 없음 - 응답자가 시간에 구애없이 응답 - 접촉범위 넓음 - 신속한 조사 - 자료 수집과 분석이 자동 |
- 인터넷 사용자만 가능 - 응답율이 낮음 - 질문을 잘못 이해할 수 있음 |
1.2차자료란?
①자료의 중요도가 떨어지는 자료 ②당면하고 있는 조사를 위해 수집한 자료
③당면하고 있는 조사를 위해 제3자가 수집한 자료
④당면하고 있는 조사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수집된 자료
2.1차자료란?
①가장 중요한 자료를 의미 ②당면하고 있는 조사를 위해 직접 수집한 자료
③당면하고 있는 조사가 아닌 다른 목적을 위해 직접 수집한 자료
④당면하고 있는 조사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제3자가 수집한 자료
3.구조화된 관찰이란?
①관찰할 내용을 명확히 결정하여 표준화된 양식에 따라 기록하는 방법
②조사문제와 관련있다고 판단되는 모든 사항을 관찰하여 기록
③지정된 공간에서 정해진 시간 안에 행해지는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
④인위적이 아니라 자연스런 상태에서 행해지는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
4.조사문제가 정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하기 위해 적합한 관찰방법은?
①구조화된 관찰 ②비구조화된 관찰 ③인위적 환경 관찰 ④기계적 관찰
5.1차자료의 수집방법이 아닌 것은?
①서베이 조사 ②관찰법 ③실험법 ④문헌조사
6.2차자료의 문제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제대로 조사한 것인지 신뢰하기 어렵다
②자료의 내용이 조사목적과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③분류나 정의가 조사자의 요구와 맞지 않을 수 있다.
④자료의 수집이 어렵고 많은 비용이 든다.
7.내부 2차자료에 속하는 것은?
①통계청 발표자료 ②소비자 패널 조사자료
③인터넷 검색 엔진을 통해 수집한 자료 ④기업 고객데이터
8.다음 1차자료 수집방법 중 간접법에 해당하는 방법은?
①투사법 ②공개적 관찰 ③우편을 통한 서베이법 ④전화를 통한 서베이법
9.신디케이트 자료에 속하는 것은?
①TV시청률자료 ②상공회의소 통계자료 ③정부부서의 백서 ④통계청 통계자료
10.서베이법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①응답률이 높다. ②행동의 동기, 태도 등과 같은 개념을 측정할 수 있다.
③조사대상자가 의사표현이 불가능한 경우도 조사할 수 있다.
④정확하고 성의 있는 응답을 할 가능성이 높다.
11.개인면접법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①익명성이 보장된다 ②조사비용이 적게든다
③대규모 표본을 조사/관리할 수 있다. ④복잡한 질문을 하기 용이하다.
12.개인면접법의 단점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①면접자의 영향이 크다. ②조가비용이 많이 든다
③대규모 표본을 조사/관리할 수 있다. ④복잡한 질문을 하기 어렵다.
13.전화인터뷰법의 장점에 대한 서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①신속히 조사할 수 있다는 면에서 가장 뛰어나다
②복잡하고 심층적인 질문을 하는 데 가장 적합한다.
③대규모 표본을 조사/관리하는 데 가장 용이한 방법이다.
④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는 데 가장 뛰어난 방법이다.
14.전화인터뷰법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①면접원에 의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②응답률이 낮고 회수기간이 길다.
③비용이 매우 많이 든다. ④표본의 대표성이 나쁘다.9.신디케이트 자료에 속하는 것은?
①TV시청률자료 ②상공회의소 통계자료 ③정부부서의 백서 ④통계청 통계자료
'마케팅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6. 측정과 척도 (0) | 2022.12.24 |
---|---|
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5. 실험법 (2) | 2022.12.23 |
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4. 설문지 개발 (0) | 2022.12.23 |
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2. 문제 정의와 조사설계 (0) | 2022.12.22 |
마케팅 조사분석사, 마켓팅 학과 등 마케팅 조사 핵심 요점 정리 1. 마케팅 조사 개관 및 절차 (2) | 202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