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등 청소년복지론 요약 정리 15. 청소년과 성Ⅲ
15. 청소년과 성Ⅲ 1. 성폭력의 정의 - 강간뿐만 아니라 원치 않는 신체적 접촉, 음란전화, 인터넷 등을 통해서 접 하게 되는 불쾌한 언어와 치근거림, 음란한 눈빛으로 바라보는 것 등 상대의 의사에 반해 성적으로 가해지는 모든 신체적, 정신적, 언어적 폭력 - 간접적 성폭력 : 성폭력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나 공포, 그로 인한 행동의 제약 2. 청소년 성폭력 - 만 13세 이상~19세 이하의 청소년에게 발생하는 성폭력 - 아동이나 성인의 성폭력 피해에 비해 윤간이나 강도강간 등 특수강간의 비 율이 높으며, 남성 피해자도 상당수 - 청소년들이 학교 폭력배나 불량배 등의 집단폭행, 강도, 흉기사용, 침입 등의 주요 표적이 됨 - 청소년의 경우 다른 연령층 대비 친족 내의 피해, 선배나 동급생에 의한 피해..
더보기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등 청소년복지론 요약 정리 11. 청소년복지의 발달과정Ⅱ
11. 청소년복지의 발달과정Ⅱ 1. 한국 청소년복지의 변천 1) 도입기(1962~1987년) (1) 요보호아동의 보호 - 아동복리법의 제정으로 요보호 아동의 보호가 행해짐 - 보호 대상 : 13세 이하에서 18세 미만으로 조정. ‘아동’이란 용어를 사용 하고 있지만 ‘청소년’까지 포함됨 - 아동이 그 보호자로부터 유실, 유기, 또는 이탈되었을 경우, 아동의 건전한 출생을 기할 수 없는 경우, 아동이 건전하고, 행복하게 육성 될 수 있도록 ‘요보호아동’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고 그들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명시 (2) 아동복리시설의 세분화 - 아동복리시설로 아동상담소, 보육시설, 조산시설, 정신박약아시설, 맹 아양호시설, 농아양호시설, 신체허약아 보호시설, 아동휴양시설, 교호 시설, 부랑아보호시설, 소년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