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과교육

평생교육사, 교육학, 복지, 방통대 등 인간과교육 요점 정리 1. 인간이해와 교육

728x90
반응형

1. 인간이해와 교육

1. 인간의 삶의 과정이란 그 자체가 곧 교육의 과정이다.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 인간으로 성장하고 발전해 나가는 존재인 동시에, 교육을 떠나서는 존립할 수 없는 교육적 존재이다.

2. 인간에게는 어떤 변하지 않는 불변의 본성이나 본질이 자연 또는 신에 의해 주어져 있다는 가정하에 그러한 본성이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인간이해의 전통적 관점이다.

3. 전통적 인간관의 유형을 철학 · 종교적 인간관과 과학적 인간관으로 구분할 때, 철학 ·종교적 인간관은 규범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접근을 통해 인간을 설명하려는 반면, 과학적 인간관은 경험적이며 사실적인 접근을 통해 인간을 설명하려고 한다.

4. 과학과 기술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20세기에 와서 과학적 인간관은 지배적인 인간이해의 방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간이해의 문제는 규범적인 성격을 탈피하고 사실적이고 경험적인 문제로 부각되었으며, 인간에 대한 실증과학적인 연구와 함께 공학적 교육관이 유행하게 되었다.

5. 전통적 인간이해의 관점과는 달리,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은 인간을 보다 복합적이며 다원적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의 본질이나 특성은 주어진 채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관점에 따라 다르게 파악될 수 있으며, 이 점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나 지식은 그 자체가 역사적 · 사회적 산물이다.

6.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는 주체적 · 자기형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사회적 ·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그리고 규범적 · 합리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해가 강조되고 있다. 이것은 곧 인간은 자신이 속한 사회와 문화의 배경 속에서 교육을 통해 스스로를 끊임없이 새롭게 형성해 나가는 존재이며, 또한 교육은 계속적인 인간형성의 과정임을 강조한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