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의종교

신학, 종교, 방통대, 교양 등 세계의 종교 요점 요약 정리 8. 불교의 세계관과 역사

728x90
반응형

8장 불교의 세계관과 역사

1불교와 불교문화: 1600년 전 전래(유교와 더불어 한국의 전통종교로 정착)

1. 한국 총인구 22.8%가 불교 신자, 사찰은 전국 약 3만 개, 국보·보물 60% 이상이 불교문화재

-불교는 이슬람교와 더불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종교, 세계불교 인구 98%가 아시아에 거주

2. 기원전 6세기 경 인도에서 출현한 불교 이해에 필요한 사안들

인도에서 출현한 종교(브라흐마이즘이 지배하던 시기, 개혁운동의 일환으로 발생)

-제물을 바치는 희생제의 의례 중심이던 브라흐마이즘의 주요 신념·관행 수용 혹은 거부

-불교에서는 불살생 주장(희생제 거부=불교 기본 교리), 크샤트리아 계층 주도로 발생한 종교

발생지인 인도보다 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더 발전, 전파 지역의 문화와 결합한 불교문화

-국가별 다른 조직·관행, 종파·종단에 따른 차이 형성 =>스리랑카·동남아시아는 소승불교

-한국·중국·일본·대만 등 동북아시아는 대승불교, 몽골과 티베트는 라마교(티베트불교)

힌두교에 버금가는 다양성 보유, 창시자+공통적·일반적 신념과 교리+조직을 갖춘 공동체 형성

-경전의 다양성은 불교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결집+다른 언어로 번역)

-교리와 교법 집성한 , 계율을 집성한 , 경을 체계화하고 조직적으로 설명한 으로 분류

-경전을 중시하는 종파나 교파 발생, 석가모니 부처와 무수한 형상의 신앙 대상 존재

2불교의 기본 신념과 세계관: 고타마 싯다르타 깨달음으로 시작된 종교

1. 싯다르타 출가 동기는 고통에 대한 고민, 보리수 아래서 해답 발견(깨달은 사람=붓다=부처)

-깨달음을 전파(설법), 첫 설법은 중도와 사성재, 팔정도(초전법륜)

2. 중도 =>극단적 수행 방법 지양(쾌락, 고행), 중간의 방법을 적절하다고 판단

3. 사성제4가지의 성스러운 진리(불교의 핵심적 가르침, 기본교리)

고성제(삶 자체가 괴로움=고통=인생은 고해의 바다, 생로병사), 종교적 이상은 열반(니르바나)

-윤회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 깨달음의 핵심

집성제(고통의 원인은 욕망·갈망), 고통+욕망이 생기는 이유를 삼법인으로 설명

-삼법인은 제행무상(영원한 것은 없다), 제법무아(자아도 실체가 아니다), 일체개고(모든 삶이 고통)

멸성제(고통의 원인을 없애야 고통에서 해방), 고통을 없애기 위한 방법이 도성제

도성제(고통의 원인 제거 방법 존재), 도성제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 팔정도

4. 팔정도를 통해 고통의 원인인 욕망 제거, 더 이상 태어나지 않게 되어 고통 소멸

-팔정도8가지의 깨달음을 의미(지혜, 계율, 선정으로 묶어서 설명)

-힌두교 목샤 달성 방법을 재구성(지혜=즈나나 요가, 행위=카르마 요가, 봉헌=박티 요가)

5. 사성제와 팔정도는 불교의 핵심적 가르침, 붓다의 깨달음을 집약한 것

인도에서 출범한 종교이기 때문에 힌두교의 개념이나 사상 원용, 새로운 이해에 따른 신념형성

-종교적 이상은 힌두교와 유사, 윤회하지 않는 것이 궁극적 목표(힌두교=목샤, 불교=열반)

-불교는 윤회와 열반을 6가지로 분류(육도윤회=지옥-축생-아귀-아수라-인간-천상)

환생의 이유는 업(카르마=업보), 업은 힌두교에서 수용된 개념, 환생하지 않는 것이 열반

-모든 욕망을 없애야 업의 법칙에서 벗어나 열반에 도달, 업에 따라 환생의 영역 결정

-깨달음->환생하지 않는 열반->부처 ==>축복의 말인 성불하라 말의 의미

·윤회에 대한 기본 교리는 인간 등 모든 존재가 5가지 구성요소(오온)로 이루어졌다고 주장

-오온은 색(물질·), (감각·지각·느낌), (인식·표상), (성향·의지), (마음의 작용)
-오온이 모였다가 흩어지기를 반복하는 것이 윤회, 모임과 흩어짐을 결정하는 것이 업

석가모니 부처의 열반 이후 제자들과 후대 학자들에 의해 체계화, 정교한 교리 발전

-소승·대승·티베트 불교 등 전파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면서 복잡하게 발전

6. 소승불교는 초기 불교가 스리랑카와 동남아시아에 전파되면서 형성된 명칭(작은수레라는 뜻)

-대승불교와 대비한 명칭, 테라바다(장로들의 가르침), 상좌부불교(중국)로 불리기도 한다.

승려중심의 불교라는 점이 두드러진 특징, 승려를 존중하고 후원, 승려가 되는 것을 중시

승려와 같이 세속의 모든 욕심과 욕망을 버리고 깨달음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목표

-승려의 의식주는 모두 신자들의 후원에 의존, 깨달음을 얻는 일에만 몰두(명상과 반야 중시)

아르하트가 이상적 인간상, 깨달음을 얻어 열반에 이르기 직전의 인간을 의미

7.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상적 인간상에 대한 입장

대승불교는 인도의 북서지방에서 출현(기원후 1세기), 동북아시아로 전파

-보살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인식, 보살은 깨달음 획득+중생 구제를 위해 노력하는 존재

-최고 윤리적 덕목인 자비 강조(보살의 이타정신이 자비)

보살의 존재로 인하여 보살에 대한 믿음 혹은 귀의라는 종교적 신앙 형성 =>보살신앙

-보살에게 귀의+도움 요청이 특징(신앙의 대상인 보살은 문수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디아니 붓다(명상하는 붓다) 신앙, 성불했지만 열반에 이르지 않고 인간을 구제하는 붓다

-병을 치료해 주는 붓다인 약사불과 내세의 축복을 보장하는 자비의 붓다인 아미타불

8. 티베트 불교는 티베트 민속종교인 본교의 영향을 받아 특유 형태로 정착, 여러 종파 활동

13세기 몽골로 전파, 몽골의 대표적 종교로 정착, 대승불교의 하나인 탄트리즘(바즈라야나)

-특징은 의례·수행법·활불신앙·천장(장례식) =>만다라와 만트라(무드라=손동작) 의례 발전

옴마니반메훔(육자진언) 암송+마니차(기도바퀴) 등이 티베트 불교의 수행법

-천장(시신을 독수리 먹이로 주는 장례식 진행, 라마승이 의식 주관)

-딜라이라마(황모파의 지도자, 관음보살의 화신)는 죽은 후 활불 =>14대 딜라이라마 활동

3불교의 역사: 아시아 대표 종교, 유럽과 아메리카에도 전파되어 세계 종교로 정착

1. 초기공동체는 크샤트리아 계층이 주도, 점차 다양한 계층 유입, 상가(공동체) 형성

-기본 규칙 규정, 힌두교와 다른 종교로 발전, 삼귀의(입문의식)와 오계·십계 계율 확립

-삼귀의는 주요 의례에 포함되어 전승, 불교의 세 가지 보물(부처, 부처의 가르침, 상가=교단)

-오계와 십계는 신자들의 기본 윤리, 승려의 서약(수계식)식에 이용

2. 기원후 1세기는 초기 불교(교단 형성, 경전 기록, 교리와 규범 확립)

소승불교(테라바다 불교) 성립, 마우리아 제국 아소카왕이 인도 전역에 불교 전파+장려

-시리아·이집트·그리스에 전파, 스리랑카(포교단 파송, 불교 부흥에 기여+소승불교 전통유지)

동남아시아 국가는 인도와 스리랑카로부터 전래(기원후 2~3세기, 7세기 전통 확립)

-미얀마(11세기 후반 국교로 확립), 태국(타이족이 소승불교 수용, 정치적 후원, 국교로 정착)

3. 인도 북서부 지역에서 대승불교 운동 출현, 석가모니 부처 신격화+보살신앙 =>대중에게 전파

대승불교 사상가(나가르주나)에 의해 철학적 체계 형성

기원후 1세기 중국에 전래(유교가 정치이념으로 확립, 도교가 교단으로 활동)

-당대에 중국 전역에 사찰 건립(성행), 한국과 일본으로 천태종·화엄종·선종·정토종 전파

천태종(시조 지의, 경전과 사상 체계화, 쉬운 교리와 수행법 제시)

-화엄종(시조 법장, 경전 중시, 모든 것에 불상이 있다고 강조, 중국 특유의 종파로 전파)

-선종(인도에서 중국으로 유입, 달마도를 통해 한국에 전파, 보리달마가 시조, 깨달음 중시)

-정토종(보살이 신앙의 대상, 일반대중에게 전파, 아미타불+관음보살 신앙과 열반 중시)

4. 기원후 7세기 티베트에 전파, 대승불교와 밀교의 영향을 받아 정착

11세기 경 불교 부흥으로 종파 형성(티베트 불교 4대 종파), 17세기 게룩파가 몽골과 연합

-티베트 통일, 정교일치 체제 확립(딜라이라마가 활불제도 계승) =>19세기 중국으로 강제 편입

13세기 몽골이 수용, 쿠빌라이 칸(원나라)이 국교로 지정 =>멸망 후에도 지속

-사회주의 정권 성립 후 티베트 사원 폐쇄(1912), 승려 처형(10)+강제 환속

-1990년 사회주의 몰락->민주화 형성, 티베트 불교 복원, 몽골 인구 53%가 신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