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장애인 진단 및 평가 사정도구
1. 장애 조기 발견을 위한 선별검사
1) 사회성숙도검사(SMS)
Ÿ 한국판 사회성숙도검사(Social Maturity Scale)는 0∼30세 영유아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능력(Social competence), 즉 적응행동(Adaptive behavior)을 평가하는 측정 검사로 바인랜드 사회
성숙척도(Vineland Social Scale)를 표준화하여 김승국과 김옥기에 의해 만들어졌다.
Ÿ 검사는 자조(SH-Self Help), 이동(L-Locomotion), 작업(0-0ccupation),
의사소통(C-Communication), 자기관리(SD-Self Direction), 사회화(S-Socialization) 등 6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11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적응행동검사(KISE-SAB)
Ÿ 한국판 적응행동검사(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Scales of Adaptive Behavior)는
정신지체 아동의 경우 만 5세에서 17세까지를 대상으로 적용하고, 비장애아동의 경우 만
21개월부터 17세까지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검사로 국립특수교육원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이다.
Ÿ 검사는 개념적 적응행동검사, 사회적 적응행동검사, 실제적 적응행동검사로 총 3개의 영역 24 개의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3)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BSID)
Ÿ 베일리(Bayley)에 의해 개발된 영유아 발달검사(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는 생후
1개월부터 42개월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또래 영유아의 평균 발달 수준과 비교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발달을 측정함으로써 총체적인 발달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로서 검사는 정신발달 척도, 운동
척도, 행동평가 척도 등 3가지의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Ÿ 총 300 개의 문항에서 인지ㆍ언어ㆍ사회성ㆍ운동 발달 등을 측정하여 조기발견과 개입에 유용한
검사 도구이다.
4) 오세레츠키 운동능력 검사(Oseresky Motor Skill Test)
Ÿ 미국 바이랜드 연구소에서 표준화한 것을 다시 한국에서 표준화한 검사 도구이며 운동의 양적
측정뿐만 아니라 협응력, 속도, 자발 동작, 단일 동작, 수행능력을 측정하며 대상 연령은
4∼16세이고 이 검사는 개인용 검사이나 경우에 따라서 집단으로 실시할 수 있다.
2. 시각장애ㆍ청각장애 및 지체장애
1) 기초학습 기능검사(BASA)
Ÿ 기초학습 기능검사(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는 초등학생부터 성인을 대상으로 기초학습
기능의 현재 수준을 측정하는 기초평가와 개입 및 중재 효과를 측정하는 형성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Ÿ 김동일에 의해 개발된 이 검사는 BASA 읽기 검사, BASA 수학 검사, BASA 쓰기 검사 등 학생들이
실제로 배우는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중심 측정(Curriclum-based Measurement) 절차에
근거하여 기초 기능영역을 파악하여 학습부진 및 장애를 판단하고, 이후 학습 진전도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2) 시기능 검사
Ÿ 시기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시력(visual acuity), 시야(visual field), 광각(optic angle), 색각(color
sense) 등의 검사가 수행된다.
(1) 시력 검사(Assessment of Visual acuity)
Ÿ 물체의 형체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눈의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로 시력검사표 앞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글자나 숫자, 그림을 식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간단한 검사이다.
(2) 시야검사(Assessment of Visual field)
Ÿ 한 점을 주시하고 있을 때 눈이 볼 수 있는 범위를 측정하는 검사로 시야측정 결과
협착(contraction), 감도 저하, 암점(scotoma) 등으로 인한 시야결손이 나타나면 시야장애가 있다고
본다.
(3) 광각검사(Assessment of Optic angle)
Ÿ 빛의 유무를 판단하며 빛의 강도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검사
¡ 야맹(night blindness, nyctalopia)은 보통 밤눈이 어둡다고 말하는 암순응이 불량한 상태
¡ 간맹(day blindness, hemeralopia)은 밝은 장소에서보다 어두운 장소에서 더 시력이 양호한 상태
(4) 색각검사(Assessment of Color sense)
Ÿ 가시광선 중에서 파장의 차이에 따라 물체의 색을 구별하고 인식하는 능력으로 거짓 동색표(일명 색맹 시험도)를 통해 식별하는 검사이다(네이버 지식백과).
3) 청력검사
Ÿ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정도를 검사하는 청력검사(audiometry test)는 주관적 검사와 객관적 검사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관적 검사는 방음실 또는 조용한 방에서 여러 가지 소리(고음, 저음,
언어, 소음 등)를 듣게 하면서 피검자의 반응을 보는 것이다.
Ÿ 객관적 검사는 주로 환자가 잠자는 동안 또는 눈을 감고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검사하며,
임미턴스(immittance) 검사, 이음향 방사검사, 청성 유발 전위(auditory evoked potential : AEP)
검사 등이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3. 정신지체
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IV)
Ÿ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는 아동의 종합적인
인지능력 평가를 비롯하여 특수교육 요구 아동의 판별 및 진단, 교육계획과 배치 평가 및 그 밖의
임상적 평가 장면에서 널리 활용하는 도구이다.
Ÿ 만 6세에서 만 16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개별검사로 진행되며, 15개의 소검사를 통해 전체 IQ와
함께 4가지 지표 점수(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를 알 수 있어 아동의 지적 능력을
파악한다.
2)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ABC II)
Ÿ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Korean Children, Second edition)는
아동과 청소년의 정보처리와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개인 지능검사로서 미취학 아동부터
고등학생들의 심리, 임상, 심리교육, 그리고 신경심리적 평가에 유용한 검사이다.
Ÿ 만 3세에서 만 18세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5개 영역 18개의 하위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검사를 통해 인지적 강점 및 약점을 파악 하고, 치료 계획 및 배치 계획을 설정하는 데 유용한
검사이다.
3) 적응행동검사(K-ABS)
Ÿ 적응행동검사(K-Adaptive Behavir Scale)는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자조 능력, 타인과의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학업 과제 및 작업 관련 혹은 직업 전 과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안된 기준
참조 검사로서 일반 아동의 경우 만 3세에서 만 14세까지 적용되며, 정신지체아동의 경우에는 만
17세까지 사용할 수 있다.
Ÿ 21개 영역에서 95문항으로 구성되며, 아동의 적응행동 수준을 평가하고, 아동이 어떤 준거집단
아동(일반, 교육 가능, 훈련 가능)과 가장 비슷한지를 판별하는데 사용한다.
4. 정서ㆍ행동장애 자폐성장애
1) 한국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Ÿ 한국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orea- Child Behavior Checklist)는 아동ㆍ청소년기의 사회적
적응 및 정서, 행동문제를 평가하는 것으로 심리장애진단에 유용한 임상적 도구로서 만 4세에서 만
17세까지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 혹은 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어른이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을 표준화된 형태로 기록하는 행동평가검사이다.
Ÿ 척도는 크게 사회능력 척도와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검사를 통해 각
평가치들에서 또래집단에 비해 얼마나 일탈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2) 심리교육 프로파일(PEP-R)
Ÿ 심리교육 프로파일(Psychoeducational Profile)은 아동의 발달기능과 행동 특성을 평가하는 검사
도구로 정상 아동의 발달 규준을 제공하여 자폐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을 이해하고 치료ㆍ교육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로서 만 1세부터 7세 아동을 대상으로 7개 영역(모방, 지각, 소근육 운동, 대근육
운동, 눈ㆍ손 협응, 동작성 인지, 언어성 인지)의 발달척도와 4개 영역(대인관계 및 감정, 놀이 및
검사 재료에 대한 흥미, 감각 반응, 언어)의 행동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검사 도구를 통해
아동의 각 7개의 영역별 발달연령을 알 수 있으며, 행동영역의 발달 정도가 정상 수준인지 비정상적
수준인지(경증/중증)를 파악하고, 아동의 학습준비 도와 교육 프로그램의 출발점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3)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Ÿ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hildhood Autism Rating Scale)는 자폐증이 있는 아동을 진단하고,
자폐증이 없는 발달장애 아동과 구별하기 위해 만들어진 15개 항목으로 구성된 행동 평정 도구로서
취학 전 아동을 포함한 모든 연령군의 아동에게 적용 가능하며, 검사를 통해 과 을 분류할 수
있으며, 아주 어린 아동의 증상을 찾아내는 데에도 유용하다.
4) 사회적 의사소통 질문지(SCQ)
Ÿ 사회적 의사소통 질문지(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의심되는
환자를 일차로 선별할 수 있는 질문지로 총 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 환자의 부모
또는 일차적인 보호자가 간편하게 ‘예/아니오’로 답할 수 있으며, 약 15분가량의 짧은 시간 동안에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관련된 광범위한 증상들을 선별할 수 있다는 것과 언어가 없는 대상부터 유창한
언어능력을 가진 성인까지 연령과 언어수준, 지능에 관계없이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 의사소통장애
1) 구문 의미 이해력 검사
Ÿ 언어진단검사의 하나인 구문 의미 이해력 검사는 2004년 배소영ㆍ임선숙ㆍ이지희ㆍ장혜성이 기존의
문장 이해력 검사를 수정ㆍ보완하여 개발하였고 이 검사는 만 4세에서 만 9세(초등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장애아동의 경우에는 생활연령이 만 9세를 넘더라도 구문 의미 이해력이
초등학교 3학년보다 지체를 보이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Ÿ 검사를 통해 언어 이해력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 중 특히 구문 의미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아동을 판별하고, 단순 언어장애아동의 하위 유형을 판별하거나 여러 언어 하위영역 중에서 구문
의미에 대해 아동이 가지고 있는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Ÿ 총 5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문항 당 3개의 제시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우리말 조음ㆍ음운 평가(U-TAP)
Ÿ 우리말 조음ㆍ음운 평가(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는 조음문제를 보이는 취학 전
혹은 취학연령 아동 및 성인을 대상으로 조음 문제 평가 및 교정ㆍ훈련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평가도구이며 검사는 그림 낱말검사와 그림 문장 검사로 구성되어 있고 언어치료와 교육현장에서 언어치료사 또는 교사가 아동 및 성인의 조음ㆍ음운 능력을 단어와 문장 수준에서 효율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음 문제를 보이는 음소를 체계적으로 연습ㆍ훈련시키는 데 유용하다.
3)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Ÿ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는 생후 36개월 이하 영유아의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의 발달지체를 조기에 선별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선별검사로서 검사는 수용언어와
표현 언어 112문항, 수용 언어 검사 56문항, 표현 언어 검사 56문항 등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이
검사를 통해 정상발달 아동뿐 아니라 언어발달지체나 장애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영유아의
언어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단순 언어장애, 정신지체, 자폐, 뇌성마비, 청각장애 및
구개파열 등으로 인하여 언어발달에 결함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하는 데에
활용된다.
4) PPVT-3(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Ÿ 검사 방법 및 내용은 개인의 언어 수용능력, 특히 단어에 대한 지식을 예측하며 어휘력 검사들은
언어-인지능력을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대상은 지적장애인 일반적인 지적 능력의 측정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직업과 주거 프로그램 배치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6. 학습장애
1) 기초학력 검사(KISE-BAAT)
Ÿ 기초학력 검사(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s)는 만
5세에서 만 14세 아동의 기초학력을 측정하는 검사로 국립특수교육원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검사는
읽기, 쓰기, 수학의 3개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Ÿ 각각 2종의 동형검사가 있다. 이 검사는 학교학습 특히 국어, 수학에서 부진을 나타내는 아동을
선별 또는 진단하고, 이들이 부진을 나타내는 영역과 수준을 파악하여 교육계획 수립과 적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2)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 척도(K-LDES)
Ÿ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 척도(Korean version of Learning Disability Evaluation Scale)는 만 6∼11세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습장애 여부 및 문제의 심각성과 학습장애유형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학습 장애 선별검사로서 검사는 7개의 하위 영역(주의력, 사고력, 말하기, 읽기, 쓰기,
철자법, 수학적 계산)으로 총 8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Ÿ 이 검사는 실생활에서 아동을 매일 접하는 교사나 부모가 평가하는 척도이므로 아동의 학습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조속한 치료적 도움을 받도록 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3) 시지각 발달 검사-3(DTVP-3)
Ÿ 시지각 발달 검사-3(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ver. 3)는 만 4∼12세 아동을
대상으로 시지각 및 시각-운동장애 수준을 파악하고, 시지각 기관 결함 가능성에 관한 증거를
제공하는 검사이다.
Ÿ 5개의 하위검사(눈-손 협응, 따라 그리기, 도형–배경, 시각 통합, 형태 항상성)로 구성되며, 약
30∼60분이 소요된다.
4)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검사
Ÿ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검사(STROOP Color and Word Test)는 전두엽에서 담당하는 억제과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신경심리학적 검사로서 만 5세에서 만 14세 아동을 대상으로
단어의 색과 글자가 일치하지 않는 조건에서 자동화된 반응을 억제하고 글자의 색상을 말해야 하는 검사이며, 이때 반응시간이 느려지는 것이 전두엽의 억제과정을 반영함을 의미한다.
5) 고대 - 비네 지능검사(Kodae - Binet Scale)
Ÿ 검사 방법 및 내용은 지능검사법을 바탕으로 한 스탠포드 비네 검사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개인
지능검사 도구로서 대상 연령은 4∼15세 미만 아동, 지적장애인의 경우 만 14세로 간주하고 성격,
대인행동의 태도 말솜씨 등을 관찰함으로써 피검자의 결함이 어디에 있는지, 어떤 면이 탁월할지를
알아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학습정리 |
1. 장애인 진단 및 개념
1) 학자별 개념
Ÿ 펄맨(Perlman)의 진단 : 문제의 내용과 성격을 알기 위해서 검토하는 정신적 활동
Ÿ 허프만(Heffeman)의 평가 : 적용이 완료된 후 초기에 설정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 하였는지를
평가하는 활동
Ÿ 갈라진(Galazon) 진단과 평가의 목적
① 장애인의 재활활동에 관련되는 것들을 예측
② 직업계획을 수립하는 데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
③ 직업적응을 위해 어떤 능력과 특질 또는 소질, 기술이 잠재되어 있는가
2) 재활용어사전(1995) 개념
Ÿ 진단(diagnosis) 이란 ‘의료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ㆍ심리적 문제를 규정 하고 원인을 강조하며
해결을 명확히 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
Ÿ 평가(evaluation)는 서비스의 목표, 개발적인 지원계획에 대한 검토, 그리고 서비스의 종결과
사후지도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
Ÿ 사정(assessment)은 장애진단과 장애평가의 총체적인 과정으로 정보수집을 통해 다음 서비스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
2. 장애인 진단 및 평가단계
1) 평가 과정
(1) 개별사회사업(casework)에서는
① 초기 과정(intake)
② 케이스조사(case study)
③ 케이스 진단(case diagnosis)
④ 케이스 치료(helping process, learning process, problem solving 등)의 과정이다.
(2) 장애인 재활과정에서는
① 사례파악(casefinding)
② 선별검사(screening)
③ 진단(diagnosis)
④ 사정(assessment)
⑤ 서비스 제공
⑥ 평가(evaluation)의 과정이다.
(3) 사례관리 시스템에서는
① 사례발견 과 접수상담(intake)
② 진단(diagnosis)
③ 사정(assessment)
④ 서비스 계획수립 및 실시
⑤ 평가(evaluation)의 5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3. 장애인 진단 및 평가 사정도구
1) 장애 조기 발견을 위한 선별검사
(1) 사회성숙도검사(SMS)
(2) 적응행동검사(KISE-SAB)
(3)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BSID)
(4) 오세레츠키 운동능력검사(Oseresky Motor Skill Test)
2) 시각장애ㆍ청각장애 및 지체장애
(1) 기초학습가능검사(BASA)
(2) 시기능검사
(3) 청력검사
3) 정신지체
(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IV)
(2)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ABC II)
(3) 적응행동검사(K-ABS)
4) 정서ㆍ행동장애 자폐성장애
(1) 한국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2) 심리교육 프로파일(PEP-R)
(3)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4) 사회적 의사소통 질문지(SCQ)
5) 의사소통장애
(1) 구문 의미 이해력 검사
(2) 우리말 조음ㆍ음운 평가(U-TAP)
(3)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4) PPVT-3(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6) 학습장애
(1) 기초학력 검사(KISE-BAAT)
(2)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 척도(K-LDES)
(3) 시지각 발달 검사-3(DTVP-3)
(4)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검사
(5) 고대 - 비네 지능검사(Kodae - Binet Scale)
'장애인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67. 자립생활운동의 이론 (0) | 2022.09.16 |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66. 자립생활의 기본철학 (0) | 2022.09.15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64. 장애인 진단 및 평가단계 (0) | 2022.09.14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63. 장애인 진단 및 개념 (0) | 2022.09.14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62. 이동권의 개념과 특성 (1)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