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국제장애분류의 개념
1. 국제장애분류의 개념
∙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장애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 ICIDH-1) 시안을 발표, 정리하였는데 이는 장애를 개인적 측면에서
기능장애(impairments), 능력장애(disabilities), 사회적 불리(handicaps)의 세 가지 차원을 포함하고
있다.
[그림1] ICIDH-1의 분류
2. 국제장애분류의 구성요소
1) ICIDH-1(국제장애분류 1)의 분류
(1) 기능장애(impairments)
⦁ 사고 질병 등에 의해서 심리적, 생리적, 해부학적 구조 또는 기능상실 이상 등을 말한다.
⦁ 기능장애에서는 지체부자유, 시각ㆍ청각장애, 지적장애뿐만 아니라 기억ㆍ사고 정서장애 등의
의식장애, 내부장애, 피부장애 등을 포함하고 있다.
⦁ 신체 구조의 장애가 영구적으로 혹은 일시적으로 외재화된 것으로 의료적 접근과 신체 재활적
접근이 이루어지며 기본적으로 보호와 치료 차원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2) 능력장애(disabilities)
⦁기능장애에서 야기된 것으로서 인간에게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범위 내에서 또는 그러한
방식으로써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의 제약이나 결여를 뜻한다.
⦁ 일상적으로 기대되는 활동수행 및 행동의 과다 또는 결핍이 특징이다.
⦁ 신변처리, 일상생활의 활동수행 등에서의 장애를 포함한다.
(3) 사회적 불리(handicap)
⦁ 기능장애나 능력장애에서 야기되는 것으로서 연령, 성,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라 정상적인 역할의
수행을 제약 또는 방해하는 개인에 대한 불이익을 의미한다.
⦁ 가치가 규범에서 분리될 때 한 개인의 상황 또는 경험에 부여된 가치와 연관된 것이다.
⦁ 야기된 개인에 대한 사회적ㆍ문화적ㆍ경제적ㆍ환경적 결과들을 반영한다.
⦁ 생존역할이라고 규정될 수 있는 것들을 유지하는 능력이 방해받을 때 발생한다.
2) ICIDH-2(국제장애분류 2)의 분류
⦁ 장애를 기능, 구조장애, 활동 참여의 3축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 이러한 변화는 장애인의 주체적 사회참여 및 당사자주의 원칙에 의하여 장애가 정의되어야 한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가 사라짐으로써 신체적 손상 없이 자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장애인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 기능ㆍ구조장애(impairments)
⦁ 신체구조나 물리적ㆍ심리적 기능상의 상실이나 비정상을 말한다.
⦁ 즉 신체기능과 신체구조와 관련된 것으로 기능상의 제한기능을 수행하는 데 따르는 불능을 말한다.
(2) 활동과 활동제한(activity limitation)
⦁ 일상의 과업에서 기대되는 개인의 통합된 활동을 말한다.
⦁ 제시된 활동영역으로 보기, 듣기, 인지하기, 학습, 지식적용, 과업완수, 의사소통, 운동, 이동,
일상생활 대인간의 활동, 특정 상황에 대한 반응과 처리, 보조적 도구, 기술적 원조와 다른 관계된
활동 등의 사용으로 분류된다.
(3) 참여와 참여제한(participation restriction)
⦁ 기능ㆍ구조장애 활동, 건강조건, 상황요인과 관련한 생활상황에서의 개인의 연관성 정도로 정의된다.
⦁ 참여영역은 개인적 유지와 보호에 참여, 이동성의 참여, 정보교환의 참여, 사회적 관계의 참여,
교육ㆍ노동, 레저와 정신적 영역의 참여, 경제생활의 참여, 도시 및 지역 사회생활의 참여 등으로
분류된다.
[그림2] ICIDH-2 구성(사회환경)
3) lCF(기능, 장애, 건강에 대한 국제 분류)
⦁ 개인의 기능은 신체기능과 구조, 활동, 참여 등으로 표현되며 이 세 가지 기능은 개인적 장애나
질병과 상황적 요인(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기능과 장애를 설명한다.
(1) ICF의 목적
⦁ 건강 상태와 건강 관련 상태, 건강 관련 결과, 결정요소를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한 과학적 기초를
제공한다.
⦁ 건강 상태와 건강 관련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공용어를 제공한다.
⦁ 장애인을 포함한 보건의료 종사자, 연구자, 정책 입안자, 일반 시민 등 이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개선한다.
⦁ 국가 간, 전문보건 분야 간, 각종 서비스, 시기와 관계없는 데이터를 비교한다.
⦁ 건강정보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코드화된 분류 리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2) ICF의 특징
① 생명ㆍ생활ㆍ인생을 포괄하는 「생활기능」이다.
⦁ 생활기능은 「사람이 살아가는 것」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기능ㆍ구조」, 「활동」,
「참여」는 생활기능의 3가지 자원을 나타내고 있다.
⦁ 3가지 지원은 사람이 살아가는 것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가. 기능ㆍ구조(생명차원)
⦁ 사람도 생물이기도 하므로 이 차원에서 「살아가는 것」은 「심신기능ㆍ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 손발의 움직임 정신활동, 시각ㆍ청각 등의 기능이며 구조는 수족의 일부, 심장의 일부 등을 말한다.
'장애인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6. 자립생활 이념 (0) | 2022.08.14 |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5. 노멀라이제이션 이념 (0) | 2022.08.13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4. 리해비리테이션 이념 (0) | 2022.08.13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2. 장애의 개념적 모델 (0) | 2022.08.11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장애인복지론 요약 정리 1. 장애인복지의 개념 (0) | 2022.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