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사회학

유아교육과, 보육사 등 필수과목 교육사회학 요점 요약 정리 10. 사회이동 및 교육의 기능과 사회이동사회

728x90
반응형

10. 사회이동 및 교육의 기능과 사회이동사회

 

1. 사회이동


1) 수직적 이동과 수평적 이동
(1) 수직적 이동 :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승하거나 하강
(2) 수평적 이동 : 지리적, 종교적, 정당 간, 직업 간 위계상의 변화가 없는 이동
(3) 수직이동 + 수평이동 : 승진을 하여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

 

2) 세대 내 이동과 세대 간 이동
(1) 세대 내 이동 : 개인의 직업생애 동안 상승, 하강
(2) 세대 간 이동 : 자식이 부모나 조부모의 지위에서 상승, 하강

 

3) 사회이동의 원인

 

(1) 사회이동의 개인적 원인
▶ 벨럽(veblen)의 동기이론
- 자기평가 극대화 욕구가 동기화되어 경쟁
- 가정배경, 형제의 수, 성별, 능력 등의 개인요인

 

(2) 사회이동의 사회적 원인
① 구조이동 : 경제발전으로 산업, 직업구조가 변하게 될 때 상위계층 위치의 자리가 많아져서
상승이동이 가능한 이동
② 재생산 이동 : 상류층보다 중·하류층이 자녀를 많이 갖는 차별출산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중·하류층의 상승이동이 가능한 이동
③ 이민이동 : 해외, 국내의 낙후지역으로부터 비숙련공이 이주해 옴으로써 기존 거주집단들의
상승이동
④ 순환이동 : 부모와 자녀의 능력 차에 의해 이동하는 것으로 사회구조의 개방성, 기회구조의
평등성을 측정하는 중요자료로 활용

 

2. 교육의 기능과 사회이동

 

1) 기능론적 관점(교육평등화론)
- 학교 교육에 대해 낙관적인 관점
- 현대사회의 계층상승이동이 가능
공정하고 정당한 경쟁을 통해서 높은 사회적 지위를 얻을 수 있도록 기능함

 

(1) 호레스만은 교육을 ‘위대한 평등장치’로 일컬음
- 교육을 통해 불평등한 구조를 축소 또는 해결할 수 있음
- 교육을 통해 사회적 지위가 능력위주로 결정

 

(2) 해비거스트(Havighurst, 1961)
- 교육은 세대 간 상향이동을 촉진하며 교육의 보편화는 평등사회를 형성
선발과정이 개인의 능력에 의한 공정성을 확보해야 하며, 교육기회가 균등하게 제공되어야 함

 

▶ 사회구성원은 사회적으로 수행해야 할 기능과 역할이 분화되며, 각자의 능력과 과업에 따라
역할수행은 물론 분업을 기초로 전체적 목적을 위하여 협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각자의
지위·역할·능력에 따른 보수와 사회적 대우 및 평가를 받으며, 이러한 차등적 대가는 정당한
것이다.

 

(3) 블라우와 던칸의 지위획득 결정 요인 분석 연구
- 직업지위획득 결정요인 : 아버지의 교육, 아버지의 직업, 본인의 교육, 본인의 첫 번째 직업
- 네 개의 변인을 개인의 직업지위에 대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 행로분석.
- 연구결과 : 본인의 교육수준이 사회적 지위 또는 직업적 성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력은 가정배경요인보다 더 강하다.


▷ 블라우와 던칸의 학교교육효과 모형

 

(4) 시웰과 하우저(Sewell & Hauser. 1975)의 연구
- 사회심리학적 변인 : 블라우와 던칸의 연구변인에 학교교육 및 직업포부를 포함하는
사회심리학적 변인을 매개 시켜 연구.
- 연구결과 : 부모의 격려가 강력한 매개 변인이 되어 학교교육 및 포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2) 갈등론적 관점(불평등 재생산론)
- 학교교육에 대해 비관적인 관점
- ‘과연 낙관론자들의 주장대로 학교교육이 사회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계층간의 간격을
좁혔는가?’
- ‘학교교육이 가정배경과 무관하게 완전히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정말로 그러한가?’
▶ 사회적 제도로 인하여 사회계층의 인위적 불평등은 연유된다. 학교교육기회의 평등은 사회적
불평등을 감소시키지 못했고, 사회적 지위이동과도 상관관계가 낮다.

 

(1) 콜맨(Coleman, 1969) 「교육기회의 평등」
- 학교 간의 특성, 학교교육여건은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학생의 가정배경은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표

 

(2) 보울즈와 진티스(Bowles & Gintis, 1976)
- 학교는 자본주의 사회체제를 주도하는 사회가치를 성격특성으로 교육시켜 사회와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는 사회통제 장치의 역할을 담당.
-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사회불평등을 견고하게 만들고 기득권 문화를 정당화하여
사회평등화에 오히려 장애가 된다.
- 학교교육은 사회의 불평등 구조를 존속시키고 기득권층에 봉사.

 

▷ 보울즈와 진티스의 학교교육모형

(3) 스탠톤-살라자와 돈부쉬(StanTon-Salazar & Dornbusch, 1995)
-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획득과 축적은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연관되어 있으며 학업성취도,
포부수준과 연관되어 있다.
- 사회자본의 수준은 문화자본의 획득과 연관되어 있다.
-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은 정보망에서 더 많은 사회자본을 갖고 있다.
- 교육과 직업에 대한 포부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보다 많은 사회자본을 갖고 있다.

 

(4) 카노이(M. Carnoy)
- 교육수익률이 높을 때는 학교교육기회가 중·상류층에 제한되어 있으며 수익률이 낮을 때는
하류층에도 개방된다. 하층은 경제적 가치도 없는 교육의 뒤만 따라다니며 결국 교육은 ‘가진
자’의 도구적 장치에 불과하다.

 

▷ 행복을 찾아서(2007) - 감독 : 가브리엘레 무치노
① 노숙자에서 백만장자가 되는 사회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미국의 ‘아메리칸드림’의
상징물이다. 이러한 사회가 지닌 특성은 무엇인가?
② 우리나라의 경우 크리스 가드노와 같은 삶이 가능한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