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 테마주 및 이슈목록

다시 주목받은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 이슈 정리와 관련 수혜주 및 엮이는 이슈를 리스트로 정리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 이슈점검 

- 지난해 ASF로 돼지고기 가격이 18.9%가 상승했습니다. 또한 올해 들어 중국과 베트남에서 새로운 발병 사례가 보고됐고, 말레이시아 해안에도 ASF 바이러스가 검출됐습니다. 특히 전 세계 절반 이상의 돼지고기를 공급하는 중국의 허베이·허난·쓰촨·윈난·신장 등에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물가 상승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1년새 1파운드 당 돈육 가격은 40달러에서 87달러까지 급등하면서 2016년 이후 최고가를 기록 중입니다.

강원 영월군 흑돼지 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올해 처음 발생했습니다. 지난해 10월9일 이후 7개월 만입니다.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 전염병으로 인해 축산물 가격이 상승한 상황에서 ASF로 추가 물가 인상이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는 5일 강원 영월군 소재 돼지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확진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4일 강원도 동물위생시험소에서 멧돼지 방역대 농장들에 대해 돼지 폐사체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어미돼지(모돈) 2마리의 의심가축을 발견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날 ASF로 확진됐다. 중수본은 ASF 발생농장에 대한 이동 제한 및 농장주 등 출입통제와 사육 중이던 돼지 401마리에 대한 살처분을 실시 중이며 금일 중 완료할 계획이다.

 

 

 

돼지고기 가격이 오르며 곡물 및 축산 가격 또한 오르고 있다. 즉, '물가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농축수산물 가격이 최근 크게 뛰면서 나타난 ‘애그플레이션(곡물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우려가 대표적이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외부변수인 국제 곡물가 상승과 중국 문제가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이후 돼지 사료로 잔반이 아닌 옥수수·대두 등 곡물을 사료로 사용하기 시작되면서 옥수수 가격이 폭등했다. 미국 농무부(USDA)는 중국의 이번 분기 옥수수 수입 수요는 2800만 톤에 달하며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세계 물가상승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 해 10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이후 돼지고기 가격이 18.9% 급등하여 이번 발병에 시민들은 더욱 긴장하고 있다. 코로나19에 물가 상승까지 겹치며 식탁에 가짓수가 줄어든 시기에, 정부와 농장의 협력으로 빠른 대처가 촉구되고 있다.

 

 

*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 리스트 정리

 

 

* 제일바이오 : 동물의약품 전문 생산업체. 아프리카돼지열병 사용 가능 권고 소독제를 판매하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 체시스 : 계열회사 넬바이오텍이 동물약품, 단미사료, 기능성비료, 동물약품원료 제조/도매 및 농수축산용기자재 도소매 등 동물용 의약품 제조업 영위.

* 이글벳 : 동물약품 전문 제조 및 수입업체. 아프리카돼지열병 사용 가능 권고 소독제(터미네이터, 케이원, 케이-투)를 판매.

* 우진비앤지 : 동물용 의약품 및 사료첨가제 사업 영위 업체. 사료급여 전환에 따른 수요증가에 수혜 기대감.

* 진바이오텍 : 자회사 (주)다원케미칼을 통해 동물질병예방치료제 및 배합사료용 첨가제 등에 적용되는 동물약품을 샌산 및 판매 중. 아프리카돼지열병 사용 가능 권고 소독제(스톱파, 퍼펙트 존, 옵티시드 엑, 다원올킬, 스피드 킬 등)를 판매.

* 태경비케이 : 석회(경질탄산칼슘, 액상소석회, 생석회 등) 제조 및 판매 업체.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에 따른 생석회 차단방역 강화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

* 고려시멘트 : 시멘트 원료 중 약 90%를 차지하는 주원재료 석회석 조달을 위해 석회석광산을 개발 운용 중이며, 전체 석회석 사용량의 93% 이상 자체적으로 조달.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에 따른 생석회 차단방역 강화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 한편, 동사 측은 생산하는 석회석을 전량 시멘트 제조에 쓰고 있고, 생석회는 전혀 생산하지 않아 아프리카돼지열병과 무관하다고 설명.

* 한일사료 : 배합사료 생산/판매업체. 주요 제품으로 축우사료, 양계사료 등을 보유. 양계사료 부문에서 벤처인증을 획득한 매직 사료 브랜드를 보유. 사료급여 전환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감에 관련주로 부각.

* 하림 : 하림 닭고기, 하림 치킨너겟, 하림 사료 등의 브랜드를 가진 국내 닭고기 시장 선두업체.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소식에 대체제인 닭고기가 부각되며 관련주로 부각.

* 우성사료 : 양돈, 양계, 축우, 양어, 애완용 등의 배합사료 제조/판매업체. 사료급여 전환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감에 관련주로 부각.

* 현대사료 : 동물용 사료 제조업체. 배합사료(양계, 양돈, 오리 등) 제조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사료급여 전환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감에 관련주로 부각.

* 미래생명자원 : 단미사료(특수가공 원료, 기능성 원료) 및 보조사료(기능성 첨가제) 등을 생산하는 사료부문(동물자원사업부문)을 주력으로 영위하는 업체. 사료급여 전환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감.

* 중앙백신 : 동물백신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동물백신을 축종에 따라 수이샷 양돈백신, 포울샷 가금백신, 캐니샷 애견백신, 보비샷 축우백신 등으로 제조 및 판매.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소식에 동물용백신 관련주로 부각. 19년 8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으로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 개발 연구 기업으로 선정.

* 이지홀딩스 : 사료제조 및 판매업체 (주)팜스토리, (주)이지팜스의 최대주주로, 사료급여 전환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감에 관련주로 부각.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소식에 따른 대체제인 닭고기가 부각되며 닭고기업체 마니커, 축산업 및 육류가공 유통업체 우리손에프앤지의 최대주주인 점이 부각.

* 이지바이오 : 기존 이지바이오의 사료 및 사료첨가제 제조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로 사료급여 전환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감에 관련주로 부각.

* 경남제약 : 20년 10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아프리카돼지열병, 구제역 전용 소독제 박탄에스 출시.

* 옵티팜 : 동물질병진단사업(가축병성감정), 동물약품 유통사업 및 박테리오파지사업(사료첨가제 제조, 판매) 등을 영위하는 업체. 20년 9월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전자 진단키트에 대한 농림축산검역본부 품목허가를 취득.

* 마니커 : 닭고기 전문업체로 종계, 부화, 사육, 도계, 육가공, 유통에 이르는 수직계열화 구축.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소식에 대체제인 닭고기가 부각되며 관련주로 부각.

이 밖에 신라에스지, 셀레믹스, 선진, 팜스코, 정다운, 윙입푸드, 파루, 전진바이오팜, 씨티씨바이오, 대한뉴팜, 코미팜, 동우팜투테이블, 우리손에프앤지, 대성미생물, 팜스토리 등이 있다.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