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심리학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요점 정리 69. 산업 재해 예방 방안

728x90
반응형

69. 산업 재해 예방 방안

 

1) 사고발생의 형태


사고발생 형태별 재해자수 통계를 살펴보면 넘어짐, 떨어짐, 끼임이 사고 발생의 주요 형태
인 것을 알 수 있다.

2) 산업재해 감소 접근법과 효과


○  산업재해 감소를 위해 다양한 접근법들이 사용되고 있음. 사고 보고 및 분석, 인사선발, 포
스터 캠페인, 스트레스관리, 규제, 법규, 공학적 변화, 인간공학적 접근, 행동적 접근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  Guastello(1993)는 이러한 접근법들 중 행동적 접근 즉 근로자의 불안전 행동을 안전 행동
으로 변경하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보고하였다.

3) 행동기반 안전(BBS) 절차


○  행동적 접근법 중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행동기반 안전(beahvior-based safety: BBS)으로
근로자가 불안전 행동을 했을 때 얻은 이익과 편함보다 안전행동을 했을 때 더 많은 강화인
을 얻을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프로그램임. 그리고 전 구성원이 관찰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상호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임
○  BBS의 주요 단계는 아래와 같이 6단계로 구성됨

○  BBS는 1970년대 이후부터 미국과 유럽에서 산업 재해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어
왔고 73개의 업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산업 재해를 감소
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어 왔음


 

4) 산업 재해 감소의 이익


○  사고 예방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이익들(Health and Safety Executive)
- 정부의 안전 관련 규제를 덜 받는다.
- 고객사, 소비자, 공급사 등 관련 업계에서 더 나은 평판을 가질 수 있다.
- 산업 재해로 인한, 직/간접 비용이 감소한다.
- 직원들의 이직과 결근 가능성이 감소한다.
- 사고로 인한 직원들의 근로 손실일이 감소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