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직무 분석 절차
1) 과업(Task) 지향적 절차
○ 과업 지향적 분석이란?
: 수행하는 작업을 이해하기 위해 작업에서 중요하거나 자주 수행하는 과업들을 찾아내는
작업 분석의 절차
(1) 요소(Element)
: 일의 가장 작은 단위
: 요소가 합쳐지면 과업(Task)이 됨
: 과업은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일과 관련된 활동들
예) 택시기사에게 요구되는 요소 : 승객에게 목적지를 묻는 것, 시동 거는 것, 변속하는 것,
가속 페달을 밟는 것 등
->이러한 요소가 모이면 ‘택시를 운전하는 것’이라는 과업이 됨
(2) 직위(Position)
: 수행된 과업으로 정의되는 조직에서 유사한 직무를 하는 개인들
(3) 직무군(Job): 공통의 직무를 공유하는 서로 유사한 직위들의 총체
○ 작업 수행에 관한 활동에 초점, 과업 진술문 개발
예) 고압전선을 잇는다. 시험을 채점한다.
○ 대부분 직무 기술에 필요한 과업/요소 수는 300~500개 사이
○ 과업에 대한 중요도, 빈도, 난이도 등을 평가함
○ 직무 기술서: 직무 분석의 결과로, 재직자들이 실제로 하는 일 그리고 그러한 일을 왜,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진술문
2) 작업자(Worker) 지향적 절차
○ 작업자 지향적 분석이란?
: 수행하는 작업을 이해하기 위해 작업에서 중요하거나 자주 사용하는 인적 속성들을 찾아
내는 작업분석의 절차나 과정
○ 대표적 인적 속성: 지식(Knowledge), 기술(Skill), 능력(Ability), 기타(Others: 성격, 흥미)
○ 직무 명세서
: 직무 수행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KSAOs를 설명하는 직무 분석의 결과물로 종종
‘직무 스펙’이라고 불림
○ 연관 분석(Linkage analysis)
: 작업에서 수행하는 과업과 그 작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인적 속성 간의 관련성을 설
정하는 작업분석 기법으로, 중요하고 자주 하는 과업에 필요한 KSAO를 연결함
예) 직업상담사
- 주로 대인간 상호작용, 구인/구직 상담
->의사소통 기술/능력 필요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8. 역량 모델링 (1) | 2024.01.18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7. 다양한 직무 분석 방법 : 과업 지향, 작업자 지향 기법들 (1) | 2024.01.17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5. 직무 분석의 정의와 직무 분석 정보의 출처 (1) | 2024.01.15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4. 분산 측정치와 상관관계 (2) | 2024.01.14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3. 중심 경향치 (2)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