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생활교육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6. 성교육의 실제

728x90
반응형

56. 성교육의 실제

⑴ 목적
중학교 남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성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강의식 성교육에서
벗어나 소그룹의 집단 활동과 토의를 중심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성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성을 성지식의 증가와 성태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평가하고 결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⑵ 프로그램 대상자 집단의 조직 및 구성
대상자 : 공진중학교 3학년 8학급(1학급당 30명)
기간 : 2000년 4월 ~ 12월
횟수 : 월 1회, 총 7회
시간 : 보건교육 시간 45분
장소 : 공진중학교 기술실
진행 인력 : 각 학급당 진행자 2명, 자원봉사자 2명(1명 주진행자, 3명 보조진행자)
운영방법 : 각 학급을 4조로 나누어 조마다 진행자를 두어 총 7회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도록 함.


⑶ 프로그램 내용

⑷ 프로그램 효과
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성지식을 측정할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성지식은
사전·사후에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성태도 역시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나,
참여하지 않은 집단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각 회기별 평가 분석 결과 회기별 진행에 따라 성지식이 유의미 하게 증가하였으나,
성태도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초기에는 성지식의 증가가 많이 있었으며,
말기에는 성태도의 변화가 많이 나타났다.
회기별 평가서 내용분석과 종결 평가서 분석을 볼 때, 성교육 진행방법에 있어 비디오
시청, 집단 토의, 게임, 시범 등의 다양한 진행방법이 성교육 효과를 높이는데 크게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