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생활교육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11. 가족생활교육의 영향

728x90
반응형

11. 가족생활교육의 영향

1) 결혼준비교육


⑴ 안드라고지(Andragogy)이론에 근거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2015). 박무성.
결혼준비도의 상승
자녀양육과 가족·친구 요인에서 가장 큰 상승 변화
의사소통은 결혼준비교육에서 기본적으로 다루어지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변화가 크지 않음. 하지만 이처
럼 단기간에 변하지 않는 영역임에도 프로그램의 효과가 보여졌다는 점에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매우
의미 있음.
⑵ 예비부부를 위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1997). 박미경, 김득성.
결혼준비교육에 참여한 예비부부가 그렇지 않은 예비부부보다 관계향상, 갈등해결, 성에 대한 태도, 평등한
역할이 향상됨.

 

2) 부부관계 향상교육


⑴ Marriage encounter 와 부부 간의 의사소통 및 결혼만족도에 관한연구(1989). 송영란.
의사소통유형 중 감정표출 정도의 증가와 결혼만족도 면에서 결혼생활에 대한 인지요인과 부부의 사회적·심
리적 동료감 요인, 배우자에 대한 존중감 요인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남.
⑵ 부부관계향상을 위한 부부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1996). 최정숙.
부부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이 부부의사소통 향상, 부부적응, 부부응집성에 긍정적인 변화와 효과를 보였으
며 의사소통유형에도 변화를 가져옴.

 

3) 부모교육


⑴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효과(2004). 김정미.
예비부모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과 태도 형성에 매우 효과적이며, 바람직한 부모상을 정립하고 자녀 양육에
대한 자신감을 갖춘 예비부모의 자질을 형성하게 됨.
⑵ 만 3-5세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 맞벌이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2018). 최영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며, 부모의 양육지식에 도움을 줌. 자녀의 정서 상태를 이해하고 수용
하며 이에 대처하는 능력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부모 자신의 감정조절이 보다 용이하게 되면서 양육에
대한 어려움과 부담감이 감소하였고 그 결과 양육스트레스가 감소됨.

 

4) 다양한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⑴ 재혼가족의 생활적응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2014). 김미옥·천성문.
재혼가족 부모의 역할긴장과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고,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

⑵ 이혼가족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2012). 전명희.
이혼부모교육에 참여한 여성 부모들은 이혼 후 자녀양육과 자녀 양육의 파트너로서의 전배우자와의 관계설
정 등에 대하여 유의미한 인식변화를 보였음.
또한 이혼 부모 자신의 주관적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가 상승함.
⑶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심리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2004). 이인수.
교육프로그램 진행 결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됨. 이를 토대로 가족 개입의 목표를 정신장애 자녀와 가
족 모두의 기능 강화를 통해 스트레스와 재발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음.

 

 

728x90
반응형